?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6.12. 금요일 예수 성심 대축일(사제 성화의 날)

                                                                                                                                      호세11,1.3-4.8ㅁ-9 에페3,8-12.14-19 요한19,31-37


                                                                                             예수 성심(聖心) 예찬


주님부활대축일로부터 시작한 주님의 축일이 지난 주일의 그리스도의 성체성혈대축일에 이어 오늘의 예수성심대축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느낌입니다. 주님의 대축일들을 관통하는 것은 하느님의 사랑입니다. 하느님 사랑의 현현이 예수님이요 오늘은 하느님의 사랑이 결정적으로 계시된 예수성심대축일이자 사제성화의 날로 모든 사제들이 예수성심을 닮기를 기도하는 날입니다.


참 사랑스럽고 유익한 예수성심 신심입니다. 예수성심에 대한 공경은 중세때부터 시작하여 점차 보편화되었고 1856년 비오9세 교황님때 교회 전례력에 도입되었습니다. 이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대축일로 지내고 있으며 1995년부터 요한 바오로 2세의 권고에 따라 사제성화의 날로 지내고 있습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하느님의 사랑은 예수 성심의 꽃으로 활짝 피어났습니다. 오늘 말씀도 예수성심대축일에 맞게 적절히 배치되어있습니다. 비단 사제들만이 아니라 모두가 배워 닮아야 할 하느님의 사랑인 예수성심의 사랑입니다. 하느님의 사람이 되신 궁극의 목표도 여기있습니다. 


하느님이 사람이 되신 것은 사람이 하느님이 되기 위해서입니다. 바로 하느님의 사랑의 현현이 되는 것은 우리의 목표요 우리의 목표로 제시된 영원한 과제가 예수성심의 사랑입니다. 호세아 예언자를 통해 실감나게 묘사되는 하느님의 사랑입니다. 


"이스라엘이 어렸을 때에 나는 그를 사랑하여, 나의 그 아들을 이집트에서 불러내었다. 나는 인정의 끈으로, 사랑의 줄로 그들을 끌어 당겼으며, 젖먹이처럼 들어 올려 볼을 비비고, 몸을 굽혀 먹여 주었다. 내 마음이 미어지고, 연민이 북받쳐 오른다. 나는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이다.“


사람의 변덕스런 이기적인 사랑과는 달리 한결같은 사람들을 위한 하느님의 사랑입니다. 끊임없이 우리 부족한 사랑을 반성케 하는 하느님의 사랑이요 이런 하느님의 사랑에 불붙여야 하는 우리 마음입니다. 이집트에서 이스라엘을 불러내신 하느님은 똑같이 우리를 그리스도 예수님을 통해 죄와 죽음의 종살이로부터 우리를 불러내어 자유의 몸이 되게 하셨고 이 거룩한 사랑의 성체성사 잔치에 불러주셨습니다. 바오로의 에페소서를 통해 드러난 그리스도의 사랑은 얼마나 장엄한지요. 그리스도의 사랑, 예수성심의 사랑을 깨닫기를 바라는 하느님의 간절한 원의가 바오로의 기도를 통해 잘 드러납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이 모든 성도와 함께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가 어떠한지 깨닫는 능력을 지니고, 인간의 지각을 뛰어넘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게 해 주시기를 빕니다. 이렇게 하여 하느님의 온갖 충만하심으로 충만하게 되기를 빕니다.“


참 아름다운 하느님의 사랑, 예수성심의 그리스도의 사랑입니다. 하느님의 온갖 충만하심으로 우리를 충만하게 할 수 있는 사랑은 그리스도의 사랑뿐입니다. 그리스도의 사랑만이 우리의 허무를 충만으로 바꿀수 있습니다. 이런 사랑에 굶주리고 목마른 '허무의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우리의 지각을 뛰어넘는 측량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사랑의 너비와 길이와 높이와 깊이입니다. 


문제는 우리 안에 있고 답은 하느님 안에, 그리스도의 사랑 안에 있습니다. 문제는 무엇입니까? 사랑의 결핍입니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아니곤 무엇으로도 채울수 없는 우리의 텅 빈 가슴입니다. 진정 우리를 치유하고 위로할 수 있는 사랑은, 텅빈 충만의 사랑이 되게 할 분은 십자가와 부활의 그리스도뿐입니다. 바로 오늘 복음의 다음 대목이 이런 진리를 입증합니다.


'예수님께 가서는 이미 숨지신 것을 보고 다리를 부러뜨리는 대신, 군사 하나가 창으로 그분의 옆구리를 찔렀다. 그러자 곧 피와 물이 흘러나왔다.‘


예수성심의 사랑의 심장으로부터 흘러나온 피는 바로 성체성사를, 물은 세례성사를 상징합니다. 하느님의 사랑, 예수성심의 결정적 표현이 바로 세례성사에 이은 평생 성사인 사랑의 성체성사입니다. 매일 이 거룩한 성체성사를 통해 예수성심의 사랑을 먹고 살아가는 우리들입니다. 예수성심의 하느님 사랑만이 우리를 치유하고 위로하며 기쁨과 평화를 줍니다. 우리 모두 예수성심의 사랑을 살 수 있도록 주님의 자비를 청합시다. 주님은 우리 모두 당신의 사랑을 배우는 평생학인이 되어 살라 하십니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마태11,29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8 참 좋으시고 아름다운 주님 -“에파타! 열려라!”-2021.9.5.연중 제23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9.05 156
1447 영적전쟁 -하느님 중심의 승리勝利의 삶-2021.7.16.연중 제1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6 156
1446 어떻게 살아야 하나? -신뢰, 꿈, 시야, 한결같음-2021.3.5.사순 제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3.05 156
1445 거룩하고 아름다운 순교적 삶 -회개, 희망, 인내-2020.7.5.연중 제14주일 한국 순교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1-1846) 순교자 프란치스코 2020.07.05 156
1444 참 멋진 주님 제자의 삶 -사랑, 추종, 환대-2020.6.28.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6.28 156
1443 새 하늘과 새 땅 -창조와 구원-2020..3.23.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0.03.23 156
1442 더불어 구원의 여정 -날마다, 자기 버림, 제 십자가, 주님 따름-2020.2.27.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27 156
1441 기도와 삶 -공동체 일치의 중심인 그리스도 예수님-2019.10.28.월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0.28 156
1440 배움의 여정 -기쁨이 넘치는 아름다운 형제애의 공동체-2019.9.30.월요일 성 예로니모 사제 학자(347-419/42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9.30 156
1439 하늘에 보물을 쌓는 삶 -모든 사랑의 수행들-2019.6.21.금요일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수도자(1568-159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6.21 156
1438 기쁨의 공동체 -예수님의 참가정 공동체-2018.11.21.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자헌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1.21 156
1437 삼감三感 가득한 하루의 순례여정 -주님의 길을 닦으십시오-2017.12.23. 대림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3 156
1436 지상에서 천국을 삽시다 -공정이 물처럼, 정의가 강물처럼-2018.7.4. 연중 제1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4 156
1435 예수살이공동체 -지상에서 천국처럼-2017.9.10. 연중 제23주일 1 프란치스코 2017.09.10 156
1434 감사의 노래를-파스카의 주님과 함께-2016.11.23.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3 156
1433 어떻게 살아야 하나? 예수님처럼 -주님의 섬김의 종답게, 순종의 대사제답게, 진리의 왕답게-2024.3.29.주님 수난 성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3.29 155
1432 너무나 자비하신 아버지 하느님 -"나는 누구인가?"-2024.3.2.사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2 155
1431 주님 반석 위의 인생집 -한결같이 주님 말씀을 실행하는 삶-2023.12.7.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2.07 155
1430 영원한 하늘 나라 잔치, 꿈의 실현 -성체성사-2023.12.6.대림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6 155
1429 귀가(歸家)의 여정 -종(servant)과 섬김(service)의 삶-2023.11.14.연중 제3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14 155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