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6.화요일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사도6,8-10;7,54-59 마태10,17-22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

-영적승리의 순교영성-

 

 

어제 주님 성탄 대축일에 이어 오늘은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천상탄일 축일입니다. 주님을 위한 순교의 죽음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삶의 시작임을 암시하는 성 스테파노를 비롯한 순교성인들의 천상탄일입니다. 또 오늘은 순교적 사랑과 헌신으로 수도생활에 정진중인 우리 요셉 수도원의 김기룡 스테파노 부원장 수사의 영명축일이기도 합니다.

 

나이 77세 노령에도 불구하고 후배들의 사랑과 신뢰, 존경을 한몸에 받으며 부원장직과 더불어 주방장, 채소밭 책임을 다하는 영원한 현역의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인 스테파노 수사입니다. 스테파노 수사와 저는 오랫동안 2주 간격으로 매금요일마다 서로 삭발에 가까울 정도로 머리를 깎아줍니다. 2주마다 새롭게 시작한다는 상징적 의미가 중요합니다. 과장하여 머리 깎는 재미로 산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새삼 순교적 삶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샘솟는 희망의 원천은 살아 계신 하느님이심을 깨닫습니다. 오늘 축일의 새벽 성무일도 1.초대송 후렴도, 2.찬미가도, 3.즈카르야 후렴도 아름다웠습니다. 

 

1.“탄생하신 그리스도께서 오늘 복되신 스테파노를 월계관으로 꾸미셨으니, 어서 와 조배드리세.”

 

2.“순교자 스테파노 기쁜축일을, 모두다 정성다해 경축하세나

주님을 위한투쟁 목숨을바쳐, 최초로 승리빨마 얻어냈도다”

 

3.“첫 순교자인 스테파노에게 천국문이 열리고, 그는 승리의 월계관을 받았도다.”

 

내용 모두가 순교 영성의 아름다움을 표현합니다. 순교영성은 우리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영성이요 1-2세기는 순교영성의 세기라 할만큼 무수한 순교자들을 배출했습니다. 많은 이들이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때문에 순교를 열망했고 자발적 거룩한 사랑의 순교의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그래서 순교는 성체와의 결합이라 말합니다. 죽어서만 순교가 아니라 살아서도 순교입니다. 제 주변에는 자발적 사랑으로 순교적 삶을 살아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말그대로 살아 있는 순교자들입니다. 연옥같은 환경중에도 영적승리의 삶을 살아가는 분들입니다. 우리가 경축하는 순교축일은 비단 기념, 기억할뿐 아니라 각자 삶의 자리에서 순교적 삶을 살도록 우리를 격려하고 분발하게 합니다.

 

삶은 전쟁입니다. 인류사는 전쟁사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계속되는 야만의 전쟁입니다. 문명의 야만시대의 역설을 보여주는 전쟁이요, 인간 무지의 적나라한 표현이 전쟁입니다. 우리 믿는 이들에게 삶은 영적전쟁이라 일컫곤 합니다. 영적전쟁에 영적전사, 영적승리란 주제는 제 초창기 수도사제 시절부터 강론에 참 많이 인용됐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입니다. 바로 순교자들의 후예이자 순교영성을 살아가는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인 우리 믿는 이들이기 때문입니다.

 

죽어야 끝나는, 살아 있는 그날까지 계속될 영적전쟁입니다. 그러니 우리 믿는 이들에게는 제대가 없는 죽어야 제대인 영원한 현역의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인 것입니다. 그러니 결코 영적 전의(戰意)를, 영적 투지(鬪志)를 잃지 않고 하루하루 분투(奮鬪)의 노력을 다해 영적훈련에 전념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영적전의를 새로이 하는, 제가 참 좋아하는 자작 애송시, “담쟁이”를 나누고 싶습니다. 25년전 쓴 시이지만 지금도 여전히 좋아하여 자주 인용하는 시입니다.

 

“이제부터 다시 시작이다

 작년 가을

 붉게 타오르다 사라져갔던 담쟁이

 어느새 다시 시작했다

 

 초록빛 열정으로 힘차게

 하늘 향해 

 담벼락, 바위, 나무들 타오르기 시작했다

 

 마침내

 붉은 사랑으로 타오르다

 가을 서리 내려 사라지는 날까지

 또 계속이다

 

 해마다 반복되는

 제자리 정주(定住)의 삶에도 지칠줄 모르는

 초록빛 열정

 

 다만 오늘 하루

 하늘 향해 타오를뿐

 내일은 모른다

 

 타오름 자체의 과정이

 행복이요 충만이요 영원이다

 오늘 하루만 사는 초록빛 영성이다”-1998.6.3.

 

이렇듯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가 되어 봄, 여름, 가을, 겨울, 하루하루 평생 날마다 나이와 무관하게 초록빛 열정으로, 초록빛 영성으로 영적승리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순교영성의 사람들이요 순교성인들의 후예입니다. 우리 가톨릭 교회의 신자들에게 면면히 계승되고 있는 참으로 고맙고 자랑스런 순교영성의 유전자 디엔에(DNA)입니다.

 

이런 순교자의 모범, 순교영성의 모범이 바로 오늘 경축하는 첫 순교자 성 스테파노입니다. 순교적 삶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성령의 은총, 성령의 힘입니다. 오늘 복음에서도 주님은 어려운 상황중에도 어떻게 말할까, 무엇을 말할까 걱정하지 말라 말씀하십니다. 바로 그때 아버지의 영이, 성령이 무엇을 말해야 할지 알려주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제1독서 사도행전에서 스테파노의 적대자들은 은총과 능력이, 성령이 충만한 스테파노를 당해낼 수 없었다 합니다. 참으로 순교영성의 사람은 성령의 사람이자 동시에 인내의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지극한 인내로 참아견디는 이에게 영적승리의 구원이 주어진다고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내 이름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끝까지 견디는 이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

 

어떤 역경중에도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인내의 노력을 다하는 것이 바로 순교영성이요, 이에 성령이 결정적 도움이 됩니다. 사부 성 베네딕도의 “형제들의 육체나 품행상의 약점들을 지극한 인내로 참아 견디라”(성규72,5)는 말씀도 생각납니다. “사랑의 성령, 사랑의 전사, 사랑의 순교자”로서의 진면목이 성 스테파노의 임종어를 통해서도 환히 드러납니다. 사람들이 스테파노에게 돌을 던짐으로 순교의 죽음을 맞이할 때 그의 임종어는 그대로 사랑의 주님을 닮았고 한없는 감동을 줍니다.

 

“주 예수님, 제 영을 받아 주십시오.”

“주님, 이 죄를 저 사람들에게 돌리지 마십시오.”

 

주님의 섭리는 참 오묘합니다. 순교의 피는 믿음의 씨앗이 됩니다. 주님은 바로 순교자 스테파노에 이어 사울을 예비하십니다. 적대자들이 돌을 던질 때 그 증인들은 겉옷을 벗어 사울이라는 젊은이 발 앞에 두었고 사울은 시종일관 스테파노 순교장면을 체험합니다. 장차의 사도 바오로, 사울은 내심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며 결국은 회심에 이르게 하는 동인(動因)이 되었음을 봅니다. 스테파노는 순교의 죽음을 끝난 듯 하지만 사울은, 사도 바오로가 되어 그 뒤를 이음으로 하느님의 일은 계속됩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로 순교적 삶에 충실함으로 영적승리의 삶을 살도록 이끌어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69 순교영성의 시대 -신망애(信望愛) 향주삼덕-2021.7.5.월요일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1821-1846) 1 프란치스코 2021.07.05 178
1068 영적 전쟁 -진짜 '꿈쟁이’는 진짜 ‘쌈쟁이’다-2021.7.6.연중 제1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06 129
1067 하늘 나라 꿈의 실현 -제자(弟子)이자 사도(使徒)-2021.7.7.연중 제1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1.07.07 119
1066 관계의 힘 -관계는 저절로 성장, 성숙하지 않는다-2021.7.8.연중 제1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08 127
1065 ‘늙어가는 삶’이 아닌, ‘익어가는 삶’ -하루하루, 한결같은 삶-2021.7.9.연중 제1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09 180
1064 두려워하지 마라 -주님은 늘 우리와 함께 계신다-2021.7.10.연중 제1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0 157
1063 참된 구도자(求道者)의 삶 -찾아라, 사랑하라, 섬겨라-2021.7.11.주일 유럽의 수호자 사부 성 베네딕도 아빠스(480-547)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7.11 122
1062 참 좋은 삶과 죽음 -하루하루 날마다 한결같이-2021.7.12.월요일 이 정우 바오로 수사(1933-2020) 선종 1주기 미사 1 프란치스코 2021.07.12 111
1061 회개悔改의 여정旅程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 2021.7.13.연중 제15주간 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7.13 136
1060 주님과 만남의 여정 -참나의 실현, 참나의 발견-2021.7.14.연중 제15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4 139
1059 주님의 초대, 주님의 환대 -영원한 안식처-2021.7.15.목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8-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1.07.15 161
1058 영적전쟁 -하느님 중심의 승리勝利의 삶-2021.7.16.연중 제1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6 156
1057 늘 새로운 하루 -참으로 절실한 관상적 삶-2021.7.17.연중 제1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7 116
1056 참 목자이자 참 농부農夫이신 하느님 - 참 목자, 참 농부 영성이 절박切迫한 시대-2021.7.18.연중 제1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7.18 128
1055 회개의 표징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1.7.19. 연중 제1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9 120
1054 “저에게 가장 큰 스승은 수도공동체입니다" -주님 중심의 참가족-2021.7.20.연중 제1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0 114
1053 하늘 나라의 삶 -묵묵히, 한결같이 씨뿌리는 정주의 삶-2021.7.21.연중 제16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1 123
1052 참 삶, 참 행복 -“사랑하라, 찾아라, 만나라, 선포하라”-2021.7.22.목요일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 프란치스코 2021.07.22 159
1051 사람이, 우리의 내면인 마음밭이 문제다 -답은 은총과 수행-2021.7.23.연중 제1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3 141
1050 선과 악이 공존하는 영적전장(靈的戰場) -“심판은 하느님께 맡기고 끝까지 기다리십시오!”-2021.7.24.연중 제1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24 109
Board Pagination Prev 1 ...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