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6.17. 연중 제11주간 수요일                                                                                                      2코린9,6ㄴ-11 마태6,1-6.16-18


                                                                                                       진실과 겸손


오늘은 '진실과 겸손'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진실하고 겸손한 삶이 아름답습니다. 진실과 겸손이 우리를 감동케 합니다. 에바그리우스의 여덟가지 악한 생각들이 떠오릅니다. 가시아노는 이를 일컬어 여덟가지 악덕이라 말하는데 순서는 탐식, 음욕, 탐욕, 슬픔, 분노, 나태(아케디아), 허영, 교만입니다. 여기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되겠는지요. 아, 바로 여덟가지 악덕을 지닌 사람, 바로 이것이 인간입니다. 


그대로 우리의 실존적 체험입니다. 기본적인 몸의 본능적 욕구 순서대로 해도 식(食;밥)이 우선이고 다음은 성(性;섹스)이요 다음은 돈입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회문제도 깊이 들여다보면 밥, 성, 돈에서 시작되지 않습니까? 오늘 복음에서 말하는 단식, 기도, 자선의 수행도 바로 이에 대한 치유의 처방입니다. 탐식에서 자유롭기 위한 단식이요, 성의 욕구에서 자유롭기 위한 기도요, 돈의 탐욕에서 자유롭기 위한 자선입니다. 하여 기본적인 몸의 본능적 에너지를 하느님과 이웃을 향한 순수한 사랑의 에너지로 전환하게 됩니다.


오늘 복음에서 우리는 예수님의 단식과 기도, 자선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수행의 진수를 배웁니다. 모든 수행은 진실하고 겸손해야 합니다. 진실은 바로 허영에 대한 치유이며, 겸손은 교만에 대한 치유입니다. 에바그리우스 여덟가지 악한 생각 중 가장 힘든 것이 우리 존재에 뿌리내리고 있는 허영과 교만입니다. 이 둘의 반대인 진실과 겸손이 진정 하느님을 닮은 참 사람의 면모입니다. 사랑도 믿음도 진실하고 겸손해야 참 사랑, 참 믿음입니다. 새삼 우리가 끊임없이 바치는 시편의 찬미 감사기도가 진실하고 겸손한 삶을 위한 최고의 수행임을 깨닫습니다.


그러나 인간 현실은 허영과 교만입니다. 예수님은 이 사실을 예리하게 직시하시며 제자들은 물론 우리를 향해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그들 앞에서 의로운 일을 하지 않도록 조심하여라.“

"네가 자선을 베풀 때에는, 위선자들이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으려고 회당과 거리에서 하듯이, 스스로 나팔을 불지 마라.“

"너희는 기도할 때 위선자들처럼 해서는 안된다.“

"너희는 단식할 때에 위선자들처럼 침통한 표정을 짓지 마라.“


주목되는 공통적인 말마디가 위선자입니다. 부풀리는 허영의 자기기만을 뜻합니다. 마치 가면을 쓴 것과 같습니다. 아, 정말 힘든 것이 허영과 교만의 가면을 벗고 진실하고 겸손해 지는 것입니다. 사람은 정도의 차이일뿐 모두가 위선자이고 허영과 교만의 사람입니다. 가난, 정결, 순종의 복음삼덕을 잘 지켜도 여전히 영적허영과 교만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어제 읽은 세계적 석학인 진화생물학자 로버트 트리버스의 '자기기만'에 대한 인터뷰 기사입니다.


"자기기만은 내가 나를 속이는 것입니다. 동물들이 상대 앞에서  털을 곤두세우듯 자기기만은 인간의 본능입니다. 조직의 상층부에 있을수록 스스로에 대한 평가가 지나치게 됩니다. 자기기만에 빠지는 경향이 높아요. 현명한 지도자라면 자기성찰을 하며 자기기만에 빠지지 않으려 하겠죠. 저는 중요한 결정을 할 때 반드시 잠시 멈춥니다. 모든 일을 멈추고 인터넷도 끄고 그 일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죠. 그러고는 명상을 합니다. 기도를 할 수도 있겠죠.“


'너희는 멈추고 하느님 나를 알라'는 시편 말씀도 떠오릅니다. 가만히 멈출 줄 모르고 계속 움직이는 활동주의의 중독이 영혼의 심각한 질병이 된 시대입니다. 오늘 복음을 보면 예수님은 정말 자기기만으로부터 자유로웠던, 위선의 가면이 없었던 진실하고 겸손했던 분임을 깨닫게 됩니다.


진실하고 겸손한 참 사람이 되는 단 하나의 길은 하느님 중심의 삶뿐입니다. 하느님께 가까이 갈수록 저절로 두려움과 불안은 사라져 자기방어와 보호를 위한 위선의 가면을 벗게 되고 진실하고 겸손해 집니다. 자선이든 기도든 단식이든 사람의 인정을 받기 위한 눈에 드러나는 수행은 저절로 피하게 되고, 하느님 안에 숨겨진 삶을 즐기고 행복해 합니다. 


"그러면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갚아 주실 것이다.“

거듭 세 번 반복되는 말마디입니다. 하느님만 알아 주시면 만족하고 행복한, 진실과 겸손의 사람들이 진정 자유롭고 행복한 내적부요의 사람들입니다. 위선의 자기기만의, 허영과 교만의 가면을 벗었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도달했던 우리 수행의 궁극의 목표지점입니다. 


바오로의 말씀대로 하느님께서는 우리에게 모든 은총을 넘치게 주실 수 있습니다. 진실과 겸손으로 텅 비워진 마음 자리에 가득 채워지는 하느님의 은총입니다.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 바로 하느님 가까이에서 하느님 중심의 진실과 겸손의 삶을 사는 이들이 언제나 모든 면에서 모든 것을 넉넉히 가져 온갖 선행을 기쁘게 넘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위선의 가면을 벗겨 주시어 우리 모두 진실하고 겸손한 삶을 살게 해주십니다. 


"행복하여라, 주님을 경외하는 이!"(시편112.1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8 축제祝祭의 삶 -오늘 지금 여기가 구원救援의 자리다-2020.8.20.목요일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 학자(1090-115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8.20 142
1387 가장 큰 계명 -경천애인敬天愛人-2020.8.21.금요일 성 비오 10세 교황(1835-191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8.21 136
1386 주님의 제자弟子다운 삶 -주님의 영광榮光이 가득한 주님의 집-2020.8.22.토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8.22 168
1385 천국의 기적 -사랑, 찬미, 감사-2020.8.23.연중 제21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8.23 134
1384 하늘 나라의 희망과 삶 -관상과 순수-2020.8.24.월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8.24 164
1383 하느님 중심의 정주의 삶 -지혜와 겸손, 안정과 평화, 성장과 성숙- 2020.8.25.연중 제21주간 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8.25 124
1382 무지無知의 죄 -회개 은총이 답이다-2020.8.26.연중 제2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8.26 102
1381 미래는, 희망은, 길은, 문은, 보물은 어디에? -주님이, 내가 미래요 희망이요 길이요 문이요 보물이다-2020.8.27.목요일 성녀 모니카(332-38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0.08.27 159
1380 진리의 연인戀人 -진리 추구의 슬기롭고 참된 삶-2020.8.28.금요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354-43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8.28 168
1379 삶과 죽음 -깨어 있어라!-2020.8.29.토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8.29 92
1378 참으로 삽시다 -사랑하라, 새로워져라, 겸손하라-2020.8.30.연중 제22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8.30 118
1377 개안開眼의 여정 -끊임없는 주님과의 만남-2020.8.31.연중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8.31 105
1376 참 권위의 삶 -주님으로부터 오는 것-2020.9.1.연중 제22주간 화요일 피조물 보호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9.01 100
1375 하느님 중심에 깊이 뿌리 내린 삶 -기도, 일치, 치유, 선포-2020.9.2.연중 제2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2 134
1374 주님의 종 -섬김의 삶에 항구하고 충실한 사람-2020.9.3.목요일 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 학자(540-604)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03 97
1373 그리스도의 시종, 하느님의 관리인 -하늘 나라 축제의 삶-2020.9.4.연중 제2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4 121
1372 비움의 여정 -텅빈 충만의 자유와 행복-2020.9.5.연중 제2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5 111
1371 더불어 여정중의 공동체 생활 -사랑, 기도, 교정-2020.9.6.연중 제23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9.06 97
1370 참나(眞我)의 꽃자리 삶 -순결과 진실-2020.9.7.연중 제2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7 165
1369 믿는 이들의 영적 족보 -전통의 뿌리, 정체성-2020.9.8.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08 102
Board Pagination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