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2.26. 사순 제1주간 목요일                                                                         에스4,17(12.14-16.23-25) 마태7,7-12


                                                               간절(懇切)하고 항구(恒久)한 기도


기도와 믿음은 함께 갑니다. 간절하고 항구한 믿음의 표현이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입니다.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한 것이 기도입니다. 기도의 힘은 믿음의 힘이며, 바로 하느님의 힘입니다. 인도의 성자 간디는 웬만한 병은 '하느님'이름으로 다 고쳤다 합니다. 저 또한 불편한 몸 부위가 있으면 '예수님'이름을 부르며 조용히 손을 대곤 합니다. 얼마전 예수님 곁에 있고 싶어 감실 옆에서 찍은 사진 역시 일종의 기도입니다. 간절하고 항구한 몸과 맘의 기도를 통해 늘 주님 가까이 머물게 됩니다.


몸과 마음은 하나입니다. 몸의 건강에 선행하는 마음의 건강입니다. 완고하고 교만한 마음이 참 큰 병입니다. 동방수도승을 찾은 구도자가 그 스승과의 나눈 대화 일부를 소개합니다.


-우리는 하느님께 늘 마음을 모으기 위해 깨어 있을 필요가 있다. 수도승이든, 은수자든, 세상 누구에나 해당된다. 우선 깨어 일어나면 그날을 기도로 시작하는 것이다. 그가 일어나는 순간부터 마음을 하느님으로 채움으로 출발하는 훈련에 충실할 때, 그의 날은 기도 안에 있게 될 것이고 어떤 내적평화가 자리잡을 것이다.-


"바로 그것이 화강석(granite) 같은 마음을 깨기 시작하는 길입니까?“


-그렇다. 첫 단계다. 바위같이 완고한 마음을 깨기 위해서는 큰 노력과 인내를 필요로 한다. 기도를 통해 마음을 부숴 달라고 하느님의 도움을 청하는 것이다. 다윗 임금의 '하느님은 부숴지고 낮춰진 마음을 업신여기지 않으신다.'라는 시편 한 구절 처럼 말이다. 바로 이것이 성인들이 기도한 방법이다. 그들은 하느님께 그들의 마음을 부숴달라(crush)고 간청했다.-


바로 복음의 예수님은 이런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의 내적자세를 가르쳐 주시며 1독서의 에스텔은 그 모범을 보여줍니다.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 찾아라, 너희가 얻을 것이다. 문을 두드려라, 너희에게 열릴 것이다.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고, 찾는 이는 얻고, 문을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다.“

참으로 백절불굴의 겸손한 기도의 자세, 믿음의 자세입니다. 이래야 영적탄력도 떨어지지 않습니다. 우리가 악해도 자녀들에게는 좋은 것을 줄 줄 알거든,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서야 당신께 청하는 이들에게 좋은 것을 얼마나 더 많이 주시겠는지요. 


기도는 간절하고 항구해야 합니다. 산티아고 순례에 대한 조언을 청한다면 역시 저는 다음과 같이 말할 것입니다.

"간다하면 말리진 않겠다. 그러나 가라고 권하지는 않겠다. 체력이나 정신력보다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간절한 원의다."

도저히 나이나 체력으로보나 어렵게 생각되는 분들의 완주를 보고 깨달은 결론입니다.


위기에 처한 에스텔의 간절한 기도가 심금을 울립니다.

"저의 주님, 저희의 임금님, 당신은 유일한 분이십니다. 외로운 저를 도와주소서. 기억하소서. 주님, 저희 고난의 때에 당신 자신을 알리소서. 저에게 용기를 주소서. 당신 손으로 저희를 구하시고, 주님, 당신밖에 없는 외로운 저를 도우소서. 당신께서는 모든 것을 알고 계십니다.“


사순시기는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수련에 참으로 적절한 은총의 시기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미사전례기도를 통해 우리의 완고한 마음을 부숴뜨려 온유하고 겸손하게 만들어 주십니다. 마음의 치유에 저절로 따라오는 몸의 치유입니다. 


"주님, 제가 부르짖던 날, 당신은 응답하셨나이다."(시편138,3ㄱ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55 누가 오는 봄을 막을 수 있는가? -예수님은 봄이시다-2020.4.13.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13 168
1754 하느님의 자녀답게 삽시다 -개안開眼의 여정-2020.1.3.주님 공현 대축일 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3 168
1753 믿음 예찬 -믿음의 내적 여정-2019.8.11.연중 제19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8.11 168
1752 늘 우리와 함께 계신 하느님 -늘 기도하십시오-2019.7.12.연중 제1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2 168
1751 참 좋은 선물 -평화-2019.5.21.부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5.21 168
1750 영원한 생명 -“가서 너도 그렇게 하여라.”-2018.10.8.연중 제27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8 168
1749 유토피아 하늘나라 공동체 -하느님 꿈의 실현-2018.4.8. 부활 제2주일(하느님의 자비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4.08 168
1748 부활의 증인證人들 -주님의 담대한 용사勇士들-2018.4.2. 부활 팔일 축제내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02 168
1747 부활이요 생명이신 예수님 -허무虛無가 아닌 충만充滿한 삶-2017.4.2. 사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17.04.02 168
1746 예수님의 족보-하느님의 은혜로운 발자취-2016.12.17. 대림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2.17 168
1745 말씀의 깨달음-깨달음 예찬-2015.7.24.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07.24 168
1744 어떻게 살아야 하나? -주님의 제자이자 복음 선포의 사도로-2023.10.18.수요일 성 루카 복음 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23.10.18 167
1743 하느님 중심의 의인義人의 삶 -더불어(together), 반듯하고 한결같은 삶-2022.7.30.연중 제1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7.30 167
1742 우리 모두 성인聖人이 됩시다 -은총, 선택, 훈련-2022.2.9.연중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2.09 167
1741 주님의 참된 선교 제자들 -꿈, 고백, 실천-2021.10.24.연중 제30주일(전교주일) 민족들의 복음화를 위한 미사 1 프란치스코 2021.10.24 167
1740 영원한 생명은 발견이자 선택 -주님, 지혜, 말씀-2021.10.10.연중 제28주일 1 프란치스코 2021.10.10 167
1739 주님과 일치의 여정 공동체 -중심, 일치, 개방, 인내-2021.10.3.연중 제27주일 1 프란치스코 2021.10.03 167
1738 하느님의 기쁨 -회개의 삶-2019.11.7.연중 제3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07 167
1737 평생 공부 -서로 사랑하시오-2019.5.19. 부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5.19 167
1736 생명의 빵 -파스카의 신비, 파스카의 영약靈藥-2019.5.7.부활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5.07 167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