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9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3.2. 사순 제2주간 월요일                                                                       다니9,4ㄴ-10 루카6,36-38


                                                                                 삶의 목표


삶의 목표를 잃어 방황입니다. 살아갈수록 목표가 분명해야 힘을 모을 수 있고 방황하지 않습니다. 구체적 목표라기 보다는 인생의 궁극 목표입니다. 어제 70세가 넘은 자매와의 면담성사시 마지막 조언입니다.

"이제 성인이 되는 길뿐이 없습니다. 성인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십시오, 아주 확실한 목표입니다. 이래야 삶이 허무하지 않습니다.“

성인이 되는 목표보다 더 좋은 목표도 없습니다. 바로 하느님이 원하시는 바입니다.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대자대비하신 하느님이십니다. 하느님을 닮아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것, 바로 이것이 성인이 되는 지름길이요 우리의 평생목표입니다. 그러니 삶의 모든 계기를 하느님의 자비를 배워가는 계기로 삼는 것입니다. 


자비의 마음은 연민의 마음이요 하느님의 마음입니다. 불쌍히 여기는 마음, 가엾이 여기는 마음, 측은히 여기는 마음입니다. 가만히 깊이 들여다보면 인간존재 자체가 가난임을 깨닫습니다. 얼마나 약하고 부족한 인간인지요. 이런 자각에서 샘솟는 연민의 사랑, 자비심입니다. 주님은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구체적 네가지 지침을 주십니다.


1.남을 심판하지 마라.

2.남을 단죄하지 마라.

3.용서하여라.

4.주어라.


남을 심판하지 않은 이가, 남을 단죄하지 않는 이가, 용서하는 이가, 주는 이가 바로 자비로운 사람이요 그대로 하느님을 닮은 성인들입니다. 몰라서 심판과 단죄이지, 하느님을 알고 나와 너를 알수록 심판하지 않고 끊임없이 용서하며 나눌 것입니다. 이렇게 자비로워야 하느님의 축복을 받습니다. 바로 이게 우리의 평생 목표인 성인이 되는 구체적 실행지침입니다. 


하느님과의 우정을, 친교를 깊이하면서 저절로 하느님을 닮아갈 때 자비로운 사람이, 성인이 됩니다. 이또한 평생과정입니다. 회개하는 기도의 사람, 다니엘 예언자가 그 좋은 모범입니다.


"주님, 당신께서는 의로우십니다. 그러나 저희는 오늘 이처럼 얼굴에 부끄러움만 가득합니다. 저희가 당신께 죄를 지었기 때문입니다. 주 저희 하느님께서는 자비하시고 용서를 베푸시는 분이십니다.“


그대로 오늘 미사에 참여한 우리의 기도입니다. 이렇게 부단히 회개하며 하느님의 자비와 용서를 청할 때 하느님의 자비와 용서를 입어 저절로 자비로운 사람이 됩니다. 하여 이 은총의 사순시기, 우리의 집중적 수행이 회개와 자비의 수행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을 닮아 자비로운 사람이 되게 하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4 참된 그리스도인의 영적 삶 -옷(衣), 밥(食), 집(住)-2021.8.29.연중 제22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8.29 169
1673 삶의 궁극 목표 -충실하고 슬기로운 참 사람이 되는 것-2021.10.20.연중 제29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20 169
1672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겨자씨같은 사람, 누룩같은 사람-2021.10.26.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26 169
1671 외딴곳 -주님과 만남의 자리-2022.1.12.연중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12 169
1670 그리스도 중심의 한몸 공동체 -주님과 상호내주의 일치-2022.5.18.부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5.18 169
1669 하늘에 보물을 쌓는 삶 -땅에 보물을 쌓지 마시오-2022.6.17.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6.17 169
1668 참 좋은 겸손의 덕 -“끝자리의 겸손을 사랑합시다!”-2023.10.4.토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04 169
1667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파거불행(破車不行), 노인불수(老人不修)- 오늘 지금 여기를 살라2023.11.28.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8 169
1666 예지의 삶-2015.8.16. 연중 제20주일 프란치스코 2015.08.16 170
1665 주님과 우정友情의 관계-2016.3.17. 사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3.17 170
1664 하늘 나라 축제祝祭의 삶 -삶은 은총恩寵이자 평생 과제課題이다-2016.8.18.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8 170
1663 참된 권위 -비움, 겸손, 섬김, 순종-2018.2.27. 사순 제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7 170
1662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사랑 예찬-2019.7.29.월요일 성녀 마르타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7.29 170
1661 예닮의 여정 -하느님 말씀의 생활화-2019.10.12.연중 제2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2 170
1660 순교 영성 -희망과 기쁨-2019.12.14. 토요일 십자가의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2.14 170
1659 떠남의 기쁨, 만남의 기쁨 -성령의 은총-2020.5.21.부활 제6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0.05.21 170
1658 영적 승리와 축복의 원천 -찬미, 겸손, 우정-2020.8.15.토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8.15 170
1657 우리 믿는 이들은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 주님의 소작인, 주님 공동집의 수호자-2020.10.4.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2-122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0.04 170
1656 성인聖人이 되십시오 -끊임없는 기도와 회개의 생활화-2021.10.1.금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0.01 170
1655 하느님 중심의 삶 -하느님이냐, 돈이냐?-2021.11.6.연중 제3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06 170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