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3.3. 사순 제2주간 화요일                                                                                         이사1,10.16-20 마태23,1-12


                                                                              겸손의 수련


겸손은 모든 덕의 어머니입니다. 겸손한 사람이 참 사람입니다. 겸손할 때 아름답습니다. 성덕의 빛나는 표지가 겸손입니다. 악마가 모방할 수 없는 것도 겸손입니다. 겸손할 때 진실합니다. 우리 믿는 이들의 삶 역시 '겸손의 여정'이요 모든 삶의 계기 역시 '겸손의 수련'으로 삼는 것이 지혜입니다. 오늘은 겸손에 대한 묵상입니다.


1.겸손은 비움입니다.

새벽 잠깨어 얼마전 선물받은 무념이라는 그림을 보는 순간 벼락같은 깨달음이 비움이었습니다. 무념, 무욕, 무심, 무아, 모두 비움의 겸손을 상징합니다. 날마다 자기를 버리라는 말씀은 날마다 자기(ego)를 비우라는 말씀입니다. 바로 이것이 겸손의 수련입니다. 이래야 자기만족의 허영에서 벗어날 수 있고 남에게 보이기위한 수행을 하지 않습니다. 복음의 율법학자들이나 바리사이들처럼 윗자리를, 높은 자리를, 인사받기를 좋아하지 않고, 스승이라고 불림 받기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2.겸손은 사랑입니다.

사랑할 때 비웁니다. 그 누구보다 하느님을,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것입니다. 우리의 아버지는 오직 한 분, 하늘에 계신 하느님 한분뿐이시고. 우리의 스승이자 선생님은 그리스도 한분뿐이시며 우리는 모두 형제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우선적으로 열렬히 사랑해야 할 분은 하느님 아버지이시며 그리스도이십니다. 이런 사랑과 더불어 함께 가는 자기 비움의 겸손입니다.


3.겸손은 앎입니다.

사랑할 때 압니다. 머리로만 아니라 온몸과 온맘으로 하느님을 알게 되고 나를 알게 되고 형제들을 알게 되니 바로 이게 지혜이자 겸손입니다. 역시 사랑과 앎(지혜)은 함께 갑니다. 앎에 선행하는 것이 들음이며 배움입니다. 하여 겸손한 사람은 듣는 사람이며 배우는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이사야 예언자 역시 소돔의 지도자들이 주님의 말씀을 들을 것을 촉구하며, 고모라의 백성들이 하느님의 가르침에 귀를 기울일 것을 촉구합니다. 하느님을 사랑하여 평생 그 말씀을 듣고 배울 때 앎도 깊어져 비로소 겸손한 사람이 됩니다. 


4.겸손은 자유입니다.

겸손할 때 비로소 자유인입니다. 하느님과 자기를 알아 갈수록 세상 모든 우상들로, 자기로 부터의 자유입니다. 이것이 진정 참 자유입니다. 알게 모르게 세상 우상들에 종되어, 중독되어 참 나를 잃고 병들어 살아가는 이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어제 읽은 동방수도승의 고백에 전적으로 공감했습니다.


"본질적으로 자유는 그리스도께 속한 것이다. 그리스도만이 우리를 참으로 자유롭게 한다. 우리 수도승들에게 그리스도는 모든 것이다. 그는 우리의 자유, 우리의 평화, 우리의 성공, 우리의 행복이다. 진정한 자유는 '개인적 자유들(individual liberties)'의 추상적 개념들에 대한 철학적 사변이 아니다.“참으로 겸손히 하느님을, 그리스도를 사랑할 때 우상으로부터 해방되어 참 자유인의 삶입니다.


5.겸손은 섬김입니다.

겸손의 최종 목표는 섬김입니다. 하느님을 섬기고 이웃을 섬기는 것입니다. 하여 분도수도원을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라 명명합니다. 섬김을 통해 완성되는 자유요 겸손입니다. 주님 역시 섬김과 겸손으로 오늘 복음을 끝맺습니다.

"너희 가운데에서 가장 높은 사람은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이사야 예언자 역시 섬김의 삶을 구체적으로 적시합니다.

"내 눈앞에서 너희의 악한 행실들을 치워 버려라. 악행을 멈추고 선행을 배워라. 공정을 추구하고 억압받는 이를 보살펴라.“


겸손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합니다. 평생이 '겸손의 여정'이요, 모든 삶의 자리가 '겸손의 수련소'입니다. 겸손은 사랑이요, 비움이요, 앎이요, 자유요, 섬김입니다. 사랑-비움-앎-자유-섬김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봅니다. 겸손의 열매가 참 풍부합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겸손의 여정에 항구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올바른 길을 걷는 이는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시편50,23ㄴ). 아멘.

  • ?
    부자아빠 2015.03.03 05:54
    아멘! 이프란치스코 신부님 말씀 감사히 읽고 갑니다.
    신부님 오늘도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8 순교적 삶 -믿음, 희망, 사랑-2017.7.5. 수요일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아드레아 사제 순교자(1821-1896)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7.05 286
1527 순교적 삶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2017.9.20. 수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09.20 220
1526 순교적 삶 -이상과 현실-2019.12.26.목요일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2.26 145
1525 순교적 삶 -“어떻게 살 것인가?”-2022.7.5.화요일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1821-184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7.05 184
1524 순교의 여정 -십자가의 길-2019.9.20. 금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1821-1846)와 성 정하상 바오로(1795-1839)와 동료순교자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9.09.20 217
1523 순교영성의 시대 -신망애(信望愛) 향주삼덕-2021.7.5.월요일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1821-1846) 1 프란치스코 2021.07.05 178
1522 순교영성과 참된 품위의 삶 -기도, 인내, 지혜, 겸손-2021.11.24.수요일 성 안드레아 등락 사제(178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1.24 202
1521 순교영성-2016.7.5. 화요일 한국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1-1846) 순교자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07.05 256
1520 순교 영성, 파스카 영성 -섬김과 따름-2024.5.29.수요일 윤지충 바오로(1759-1791)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9 108
1519 순교 영성 -희망과 기쁨-2019.12.14. 토요일 십자가의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2.14 170
1518 순교 영성 -기쁨, 희망, 평화-2019.7.5.금요일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순교자(1821-1846) 기념미사 1 프란치스코 2019.07.05 162
1517 수행자의 참행복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일-2018.9.25. 연중 제2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9.27 105
1516 수행의 궁극목표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 둥글게 사는 것-2018.2.26. 사순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6 330
1515 속도速度보다는 하느님 방향方向이다 -아름다운 삶-2015.7.23. 연중 제16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7.23 207
1514 소통의 대가大家-2015.8.12. 연중 제19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8.12 150
1513 소통疏通의 천국天國 -생명의 집, 죽음의 무덤-2016.2.1. 연중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2.01 179
1512 소통疏通의 대가大家-2015.7.7. 연중 제1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7.07 204
1511 소명召命의 여정 -만남, 발견, 버림, 따름-2022.2.6.연중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22.02.06 158
1510 소명召命의 발견 -나는 누구인가?-2017.9.21. 목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7.09.21 125
1509 세상의 소금이자 빛인 우리들 -주님은 발광체發光體, 우리는 반사체反射體-2021.6.8.연중 제1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6.08 193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