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3.4. 사순 제2주간 수요일                                                                            예레18,18-20 마태20,17-28


                                                                           광야의 하느님

                                                                           -고독과 연대-


삶의 본질은 광야입니다. 어제의 지난 안식년에 대한 깨달음이 새롭습니다. 제 안식년은 '하루하루 살았습니다'라는 좌우명 그대로 수도원을 떠나 하루하루 살았던 광야순례여정이었습니다. 홀로이자 함께, 고독과 연대중에 하느님만을 찾았던 광야순례여정이자 자기비움의 '겸손의 수련기'였습니다. 


하루도 빠짐없이 새벽에 일어나 그날의 독서와 복음을 묵상하며 강론을 써 인터넷에 올려 형제자매들과 나눴고 이어 아침미사를 봉헌함으로 하느님 중심의 삶을 확고히 하며 자신의 삶을 하느님과 튼튼히 연결시켰습니다. 장충동 수도원에서도, 산티아고 순례중에도, 뉴튼수도원 중에도 한결같았습니다. 말그대로 하느님 사랑의 기적입니다. 


무수히 자연스럽게 형제자매들과 나눴던 카톡의 메시지나 사진도 저를 하느님과 연결시켜주는 '관계의 끈'이자 보이지 않는 '광의(廣義)의 공동체'였음을 깨닫게 합니다. 미사의 중심끈과 더불어 무수한 형제자매들의 '사랑의 끈'이 저를 하느님께 단단히 연결시켜 준 것입니다. 


밤이 어둬질수록 밤하늘의 별들은 무수히 나타나 반짝이듯 광야순례여정 중의 별빛같이 빛났던 무수한 형제자매들의 사랑이었습니다. 이제 수도원에 들어오니 더 이상 '관계의 끈들'은, '사랑의 별들'은 사라져 보이지 않지만 여전히 존재함을 느낍니다.


광야의 하느님입니다. 세상이, 공동체가, 마음이 광야입니다. 하느님과 형제들을 만나야 할 곳도 광야입니다. 어제 수도원을 찾아 면담성사를 받았던 두분 자매들의 불우한 내적환경도 그대로 광야였습니다. 바로 광야세상에서 하느님을 만나려고 오아시스 요셉수도원을 찾았던 것입니다. 놀라운 것은 그 힘든 광야여정중에도 두분 자매의 얼굴은 평화로 빛났다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의 상황이나, 독서의 예레미야 예언자의 상황은 똑같이 광야임을 깨닫습니다. 함께 이지만 홀로의 고독한 광야입니다. 예수님 제자들의 공동체는 말 그대로 동상이몽(同床異夢)의 공동체입니다. 스승이자 주님이신 예수님의 수난예고에도 불구하고 동문서답, 자기만 생각합니다. 예수님의 고독이 참으로 깊었을 것입니다. 


고독과 연대입니다. 고독과 연대는 한 실재의 양면이요 함께 갑니다. 이런 고독이 공동체와의 연대를 깊게 합니다. 주님은 광야같은 상황에서 군림이나 통치가 아닌 상호섬김의 공동체 삶을 강조하시며 공동체와의 연대를 깊게 합니다. 


"그러나 너희는 그래서는 안된다. 너희 가운데 높은 사람이 되려는 이는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또한 너희 가운데에서 첫째가 되려는 이는 너희의 종이 되어야 한다.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마태20,26-28).


광야세상에서 하느님 중심의 공동체를 이루어 주는 유일한 영성이 바로 종(servant)과 섬김(servive)의 영성임을 깨닫습니다. 예루살렘 주민들의 공동체에 좌절한 고립무원의 광야같은 환경에서 하느님께 탄원의 기도를 바치는 예레미야 예언자입니다.


"주님, 제 말씀을 귀담아들어 주시고, 제 원수들의 말을 들어 보소서. 제가 당신 앞에 서서 그들을 위해 복을 빌어주고, 당신의 분노를 그들에게서 돌리려 했던 일을 기억하소서.“(예레18,19.20ㄷ).


구원은 하느님께로부터 옵니다. 기도를 통해 자신의 광야 삶을 재점검하는 예레미야 예언자입니다. 주님은 매일,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광야순례여정중인 우리에게 섬김의 은총 공동체를 선사해 주십니다. 아멘.

  • ?
    부자아빠 2015.03.04 06:10
    아멘! 신부님 말씀 감사히 읽고 갑니다.
    오늘도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9 주님의 빛 속에 걸어가자!-평화의 길-2016.11.27. 대림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16.11.27 235
1048 주님의 빛의 자녀 -주님의 신망애信望愛의 사람-2019.12.13.금요일 우리 연합회의 수호자 성녀 오딜리아 동정(660-720)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2.13 202
1047 주님의 빛처럼, 주님의 산처럼 -나의 빛, 나의 구원, 나의 생명이신 주님-2020.5.6.부활 제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06 262
1046 주님의 사람 -사랑의 사람, 말씀의 사람, 성령의 사람-2019.5.20.부활 제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5.20 243
1045 주님의 사람, 기도의 전사戰士 -간절한, 항구한 기도-2020.3.5.사순 제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05 197
1044 주님의 성가정 교회 공동체 -사랑의 형제, 사랑의 학인, 사랑의 전사-2021.12.26.주일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가정 성화 주간) 1 프란치스코 2021.12.26 132
1043 주님의 성전聖殿 -끊임없는 정화淨化와 성화聖化-2019.11.22.금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1.22 185
1042 주님의 성전聖殿 -생명수生命水의 강江이 흘러내리는 세상의 중심中心-2017.5.30. 화요일 수도원 성전 봉헌 축일(2006년) 1 프란치스코 2017.05.30 184
1041 주님의 세가지 당부 말씀 -성 십자가 예찬-2015.9.14. 월요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프란치스코 2015.09.14 403
1040 주님의 소원, 삶의 궁극 목표 -완전한 사람, 성인聖人이 되는 것-2022.6.14.연중 제1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6.14 228
1039 주님의 십자가-자기발견(self-discovery), 자기인식(self-knowledge)-2016.3.15. 사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3.15 375
1038 주님의 아가페 사랑(agape-love)-2016.5.14. 토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6.05.14 285
1037 주님의 애제자 -사랑의 사도, 성 요한-2022.12.27.화요일 성 요한 사도 복음 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22.12.27 207
1036 주님의 연인戀人이자 친구親舊인 우리들 -예닮의 여정-2020.1.2.목요일 성 대 바실리오(330-379)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329/30-389/9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1.02 158
1035 주님의 영광을 추구하는 삶 -주님과의 우정-2016.3.10. 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3.10 190
1034 주님의 위대한 전사戰士 -교회의 양 기둥,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2020.6.29.월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6.29 203
1033 주님의 이름은 찬미받으소서 -찬미가 답이다-2018.10.1.월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0.01 224
1032 주님의 자녀다운 품위있는 삶 -믿음, 인내, 겸손, 지혜-2022.2.14.월요일 성 치릴로 수도자(827-869)와 성 메토디오 주교(815-885) 기념일-제주도 성지 순례 여정 피정1일차- 야고1,1-11 마르8,11-13 프란치스코 2022.02.14 229
1031 주님의 전사 -“사랑밖엔 길이 없었네”-2022.6.8.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6.08 170
1030 주님의 전사 -영적 탄력(靈的 彈力)-2022.8.3.연중 제18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8.03 214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