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3.9. 사순 제3주간                                                                                                                               월요일 열왕기하5,1-15ㄷ 루카4,24ㄴ-30


                                                                                                          거꾸로 살아라

                                                                                                          -발상의 전환-


'거꾸로 살아라'

한 눈에 들어 온 주간경향(2015.3.10) 표지 주제 글입니다. 이어 표지 주제 글에 대한 부연 설명입니다.

'불황시대 서민생존법, 정부정책은 '빚내서 집 사라'고 말하지만, 전문가들은 불황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지금, 자산 가치가 올라갈 일은 없다고 말한다. 개인에게는 절약과 저축이 불황을 건너는 현명한 선택이다. 중산층, 서민이 장기불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과는 거꾸로 가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거꾸로 살아라’

살아남기 위한 생존법으로 영성생활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원리입니다. 고정관념, 선입견, 편견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 전체를 보는 '발상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아, 바로 이것이 자기비움의 겸손입니다. 


언젠가 강론에 인용했던 산티아고 순례때의 깨달음의 일화도 잊지 못합니다. 샤워후 문이 열리지 않아 큰 소리로 도움을 청했던 일화입니다. 옆으로 밀어야 할 문을 앞으로 밀어대니 문이 열릴 리가 없습니다. 잠시 후 밖에서 문을 옆으로 스르르 열어주며 세분 정도의 외국순례객이 빙그레 웃고 있었습니다. 들어갈 때는 옆으로 열고 들어갔는데 나올 때는 순간 잊고 밀어대며 당황하여 소리쳤던 것입니다. 


또 미국 뉴튼수도원에서의 일화도 잊지 못합니다. 어느 분이 사준 작은 영양제의 병을 아무리 열어도 열리지 않았습니다. 우리와는 반대로 오른쪽으로 돌려야 하는데 왼쪽방향으로 계속 돌렸으니 열릴리 만무합니다. 이와 같은 예는 허다합니다. 활짝 열린 문으로 나가야 하는데 문이 아닌 벽을 계속 밀어대는 경우와 흡사합니다. 


이토록 바뀌기 힘든게 고정관념이요 편견입니다. 발상의 전환이, 깨어있는 자기비움의 겸손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하느님은 기존관념을 넘어서는 분입니다. 하느님께는 편애가 없고 모두가 하느님 섭리의 도구입니다. 하느님 섭리의 손길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편견없이 전체를 있는 그대로 보는 활짝 열린 눈이 중요합니다.


엘리야 때에 이스라엘엔 과부가 많이 있었지만 엘리야는 아무에게도 파견되지 않고 이방의 시돈지방 사렙타의 과부에게만 파견되었습니다. 엘리사 때 역시 이스라엘에는 나병환자가 많았지만 그들 가운데 아무도 깨끗해지지 않고 시리아 사람 나아만만 깨끗해 졌습니다. 아, 바로 이것이 이스라엘 사람들이 전혀 예상못한 이들의 의표를 찌르는, 편견의 벽을 깨는 하느님의 일하시는 방식입니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어떠한 예언자도 자기 고향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한다.“


바로 편견을 깨지 못한 고향사람들은 물론 우리 모두를 향한 말씀입니다. 죄라기 보다는 영혼의 불치병과도 같은 편견입니다. 한번 고착된 편견은 정말 고치기 힘든 병같습니다. 역시 답은 깨어있는 자기비움의 겸손, 발상의 전환뿐입니다. 진정 이것이 영적수행의 요체입니다. 외골수가 아닌 이런저런 관점에서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오늘 나병환자 나아만의 이야기도 흥미롭습니다. 이스라엘 땅에서 사로잡아온 어린소녀가 나아만의 나병 치유를 위한 계기가 되리라곤 누가 상상이나 할 수 있겠습니까? 너무 하찮아 그냥 넘길 이야기지만 나아만은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요르단 강에서 일곱 번 몸을 씻으라는 엘리사의 명령은 또 얼마나 평범합니까? 모두 나아만의 의표를 찌르는, 나아만의 겸손에 대한 하느님의 시험입니다. 


바로 이것이 하느님이 일하시는 방법입니다. 하느님의 눈에는 시시한 것도, 작은 것도 없습니다. 나아만은 현명한 측근들의 권유에 생각을 바꿔 하느님의 사람 엘리사가 일러준대로 요르단 강에 일곱 번 몸을 담그자 완전 치유입니다. 나병의 치유와 더불어 교만이란 영혼의 나병까지 치유되어 완전히 겸손한 사람이 된 나아만입니다. 다음 겸손한 하느님 고백이 그의 완전치유를 입증합니다.


"이제 저는 알았습니다. 온 세상에서 이스라엘 밖에는 하느님께서 계시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은혜로 천형(天刑)인 나병이 치유되어 천복(天福)을 누리게 된 겸손한 나아만입니다. 진정 주님을 닮아갈 때 부단한 발상의 전환이요 자기비움의 겸손이요 치유되는 편견의 병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의 영육의 아픔과 더불어 교만과 편견의 영적나병도 치유해 주시어 우리 모두 겸손한 삶을 살게 하십니다. 


"나 주님께 바라며 그분 말씀에 희망을 두네. 주님께는 자애가 있고 풍요로운 구원이 있네."(시편130,5.7). 아멘.





  • ?
    부자아빠 2015.03.10 05:47
    아멘! 게을러서 하루지나 어제의 말씀을 봅니다.
    말씀은 지나서 읽어도 좋습니다.
    신부님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74 영원한 생명 -예수님이 답이다-2019.5.2.목요일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295-37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5.02 120
2973 예닮의 여정 -청할 것은 단 하나 ‘사랑’뿐이다- 2020.5.23.부활 제6주간 토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5.23 120
2972 멋지고, 맛있고, 아름다운 삶 -말씀 예찬-2020.9.22.연중 제2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2 120
2971 예닮의 여정 -스승이자 치유자이신 착한목자 예수님-2020.12.5.대림 제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05 120
2970 삶은 선물이자 과제이다 -온유와 겸손-2020.12.9.대림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0.12.09 120
2969 구원은 선물이자 선택이다 -빛이냐 어둠이냐, 생명이냐 죽음이냐, 진리냐 거짓이냐-2021.4.14.부활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14 120
2968 회개의 표징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1.7.19. 연중 제1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9 120
2967 무지(無知)에 대한 답(答)은 “진리(眞理)이신 주님과 ‘만남의 여정’뿐이다”2024.4.6.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6 120
2966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 -"평화가 너희와 함께!"-부활하신 주님과 만남의 삶, 회개의 삶, 증인의 삶- 2024.4.14.부활 제3주일 프란치스코 2024.04.14 120
2965 참 자유롭고 행복한 삶 -예수님을 늘 삶의 중심에 모신 삶-2024.4.16.부활 제3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4.16 120
2964 주님의 ‘평생 사랑의 학인(學人)’인 우리들 “내 사랑 안에 머물러라” 2024.5.2.목요일 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295-37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02 120
2963 성전 정화 “여러분이 바로 하느님의 성전입니다”2024.5.30.목요일 요셉수도원 성전 봉헌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4.05.30 120
2962 인간은 ‘하느님의 자녀子女’이다-결코 소모품消耗品이 아니다-2017.1.3. 주님 공현 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1.03 121
2961 오늘이 바로 구원의 날이다-희망을 하느님께 두라-2017.1.12. 연중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1.12 121
2960 사랑은 연대連帶다-참된 단식-2017.3.3. 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3.03 121
2959 우리의 궁극 평생 목표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것-2017.3.13. 사순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03.13 121
2958 세가지 가르침 -이웃, 섭리, 놀라움-2017.10.9. 연중 제27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0.09 121
2957 항구한 기다림의 인내가 답이다 -인내와 희망-2018.7.13. 연중 제1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8.07.13 121
2956 영원한 삶 -지금 여기서부터-2017.11.25. 연중 제3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1.25 121
2955 회개의 표징 -가난한 과부, 주님의 마음-2018.11.11.연중 제32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1.11 121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