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7.20.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이사38,1-6.21-22 7-8 마태12,1-8



분별의 잣대는 사랑

-사랑이 답이다-



분별의 잣대는 사랑입니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사랑이 답입니다. 오늘 강론 제목입니다. 요즘 계속되는 무더위가 한창입니다. 이런 무더위중에도 곳곳에서 산책중 발견되는 말없이 피어나는 나리꽃, 백합꽃, 능소화꽃, 달맞이꽃, 메꽃 등 이런저런 꽃들이 참 아름답고 청초해 보입니다. 이렇듯 하느님의 사랑은 세상 곳곳에서 아름다움으로 표현되고 있습니다. 어제 써놓은 짧은 자작시도 생각납니다.


-어디에나/때되면/피어나는 꽃들

 “참되다/좋다/아름답다

 말그대로 진선미眞善美다”

 더/무엇을/바라겠는가

 임이/봐주시고/알아주시는 데-


흡사 누가 알아주든 말든 하느님이 봐주시고 알아주시기에 자기 일에 충실한 성인들에 대한 묘사같습니다. 바로 오늘 제1독서 이사야서의 히즈기야 임금의 경우가 이와 일치합니다. 하느님 중심의 일편단심一片丹心의 사랑의 삶이 감동적입니다. 중병의 치유가 아닌 살아 온 삶을 봐주십사 하느님께 기도합니다.


“아, 주님, 제가 당신 앞에서 성실하고 온전한 마음으로 걸어왔고, 당신 보시기에 좋은 일을 해 온 것을 기억해 주십시오.”


히즈키야는 하느님 앞에 얼마나 당당하고 의연한 삶을 살아왔는지요. 온전히 하느님 처분에 맡기는 히즈키야의 신뢰의 사랑이 부럽습니다. 임종 전 이렇게 고백할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하겠는지요. 두려움 없이 모두를 하느님께 맡기고 선종의 죽음도 맞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하느님 중심의 사랑의 삶을 살아갈 때, 깊은 평화와 안정은 물론 분별의 지혜도 선사받습니다. 하느님은 이사야를 통해 즉시 응답하십니다.


“나는 네 기도를 들었고 네 눈물을 보았다. 자, 내가 너의 수명에다 열다섯해를 더해 주겠다. 그리고 아시리아 임금의 손아귀에서 너와 이 도성을 구해 내고 이 도성을 보호해 주겠다.”


오늘로서 제1독서 이사야서는 끝납니다만, 마지막으로 히즈키야 임금이 아름답게 대미를 장식합니다. 오늘 독서에서는 생략됐지만 즉시 이어지는 하즈키야의 하느님 찬미가(이사38,9-20)의 응답입니다. 하느님 찬미가를 통해 다시 입증되는 히즈키야의 하느님 사랑과 신뢰입니다.


이런 하느님 사랑의 진위는 이웃 사랑으로 판별됩니다. 하느님 중심의 삶에서 저절로 샘솟는 사랑의 용기요, 전체를 넓고 깊이 바라보는 ‘하느님은 눈’도 지닙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의 눈은 그대로 하느님의 눈이요, 예수님의 마음은 그대로 하느님의 마음임을 깨닫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어제의 묵상을 나누고 싶습니다.


예전 왜관수도원 아빠스님에 대한 일화입니다. 모두가 아빠스님의 이면을 칭송합니다. 수도공동체의 연로한 분들과 병자들을 사랑의 관심으로 늘 잘 보살피셨다는 것입니다. 잘 들여다 보면 약하고 아픈 형제들은 공동체의 중심임을 깨닫습니다. 예전 그 아빠스님의 말씀중 생각나는 말마디입니다.


“나는 아침마다 병실에 계신 연로한 분들을 찾아 조배하는 것이 일과의 시작이었다.”


공동체는 하나의 몸과 같고, 장상의 역할은 몸의 영혼과도 같습니다. 세월이 지나면서 누구나 체험하게 되는 아프고 약해지는 몸의 각부분들입니다. ‘젊을 때는 공부와 싸우고 중년에는 일과 싸우고 노년에는 병마病魔와 싸운다’는 말을 요즘 조금 실감하고 있습니다. 이럴수록 몸전체를 돌보고 하나로 모으는 영혼의 역할이 참 중요하다는 확신입니다. 


사랑이 답입니다. 영혼을 튼튼히, 부지런히 하는데 사랑보다 더 좋은 약은 없습니다. 나이들어 갈수록 영혼은 하느님 중심의 사랑으로 더욱 튼튼해지고 부지런해야 된다는 것이지요. 영혼이 약해져 육신을 잘 통솔하지 못하면 곳곳에서 무너져 내리는 육신을 감당하기 힘들 것입니다. 영혼이 하느님 중심이 확고하여 튼튼할 때 육신도 영혼에 순종합니다.


이렇듯 공동체의 장상 역할과 몸의 영혼의 역할은 흡사합니다. 오늘 복음을 보십시오. 당신의 약한 제자들을 두둔하고 변호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이 참 인상적입니다. 바리사이들은 안식일법, 율법의 잣대로 밀이삭을 뜯어 먹는 예수님 제자들을 단죄하는 반면, 예수님은 제자들의 배고픈 현실을 직시하여 사랑의 잣대로 분별하시며, 다윗과 그 일행들, 성전의 사제들, 그리고 신명기를 인용하며 이들을 적극적으로 두둔하시고 변호하십니다. 


율법의 잣대로는 죄이지만 사랑의 잣대로는 무죄입니다. 복음의 결론과도 같은 말씀이 분별의 잣대는 사랑임을 웅변합니다.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지 너희가 알았더라면, 죄 없는 이들을 단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참 용기있고 멋있는 예수님의 처신입니다. 바로 애오라지 하느님 중심의 사랑의 삶에서 나온 용기요 멋있는 삶에 분별의 사랑임을 깨닫습니다. 사실 사랑이 없어 죄 없는 이들을 단죄했던 어리석은 경우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사람 눈에 죄인이지 하느님 사랑의 눈에는 무죄한 이들도 참 많을 것입니다. 어찌보면 약하고 아픈 형제들은 하느님이 공동체에 맡겨주신 사랑의 선물일 수 있습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성전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사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우리 삶의 중심에, 공동체의 중심에 늘 현존해 계신 성전보다 더 크신, 안식일의 주인이신 파스카의 예수님이십니다. 모든 법을 상대화 시키는 절대적 법은 사랑의 법뿐이요, 하느님 사랑의 현현이신 예수님 자신이 분별의 잣대임을 깨닫습니다. 사실 예수님 마음으로, 예수님 사랑으로 분별하면 실수하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공동체의 영혼’으로 ‘각자의 영혼’으로 오시는 사랑의 주님은 당신 사랑과 하나된 우리 모두의 병과 아픔을 치유해주시며 분별의 사랑과 지혜도 선사하십니다. 아멘.

  • ?
    안젤로 2018.07.20 07:38
    주님 저희가 세상속 만물보다 주님 중심의 사랑삶을 확고 하도록
    하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49 평생공부, 평생과제 -완전한 사람, 사랑이 되는 것-2024.2.24.사순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4 150
3348 참으로 정의롭고 지혜로운 의인(義人)의 삶 “회개하라, 그러면 살리라” -구원은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24.2.23.사순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3 145
3347 참 목자 영성 -“자비와 지혜, 온유와 겸손, 사랑과 섬김”-2024.2.22.목요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프란치스코 2024.02.22 178
3346 회개의 여정(旅程)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4.2.21.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1 164
3345 주님의 기도 “기도와 회개, 그리고 사랑” -기도가 궁극의 답이다-2024.2.20.사순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0 149
3344 최후심판 -나는 오른쪽인가 왼쪽인가?- “우리 모두가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에 ‘한 사람’이다”2024.2.19.사순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9 159
3343 “어떻게 살 것인가?” -더불어 광야 인생 순례 여정" "주님의 전사, 말씀의 전사, 사랑의 전사, 믿음의전사, 평화의 전사로"-2024.2.18.사순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24.02.18 149
3342 “나를 따라라” -더불어(together) 주님을 따름의 여정- “늘 새로운 시작”2024.2.17.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7 101
3341 참된 단식 -하느님께서 좋아하는 단식-2024.2.16.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6 175
3340 삶은 선택입니다 -짐이 아닌 늘 선물 인생을 사십시오- “생명의 길, 행복의 길, 구원의 길, 성인의 길”2024.2.15. 재의 예식 다음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5 165
3339 하느님 중심의 참된 삶 -“회개하라, 사랑하라, 진실하라”-2024.2.14.재의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4 157
3338 깨달음 예찬 “무지에 대한 답은 깨달음뿐이다” -깨달음의 은총, 깨달음의 사랑, 깨달음의 훈련, 깨달음의 여정-2024.2.13.연중 제6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3 159
3337 예닮의 여정 -무지에 대한 답은 예수님뿐이다- “행복하여라, 지혜로운 이들!”2024.2.12.연중 제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2 150
3336 치유의 구원 -갈망과 찾음, 만남과 치유, 선포와 영광-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2024.2.11.연중 제6주일(세계 병자의 날) 프란치스코 2024.02.11 139
3335 성화의 여정 -존엄한 품위의 삶- “감사하십시오, 겸손하십시오, 깨어 있으십시오”-2024.2.10.토요일 설 프란치스코 2024.02.10 163
3334 들어라! -“에파타(열려라)!”-2024.2.9.연중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9 148
3333 하느님 중심의 정주 영성과 믿음의 -한결같이, 간절하고, 절실하고, 절박한 삶-2024.2.8.연중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8 147
3332 하느님 중심의 마음 관리 “회개의 여정, 자아초월의 여정” 삶은 은총의 선물이자, '부단한 선택-훈련-습관'의 평생과제이다 2024.2.7.연중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7 172
3331 “하느님은 어디에서 사시는가?” -존엄한 품위의 우리 안에, 우리와 더불어- “우리가 바로 성전입니다”2024.2.6.성 바오로 미키(1564-1597)와 25위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2.06 134
3330 우리 영혼의 본향(本鄕)이신 예수님 -집에서 집을 그리워함- (homesick at home)2024.2.5.월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231-25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2.05 15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