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0.13. 연중 제28주간 화요일                                                                                     로마1,16-25 루카11,37-41


                                                                            품위있는 멋진 삶

                                                                               -꿈과 현실-


광야와 같은 침묵과 고독의 뉴튼수도원에서 수도형제들이 성당에서 함께 기도하고, 식당에서 함께 먹고, 일터에서 함께 일할 때 진정 살아 있음을 실감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하느님 보시기에 바른 생각, 바른 마음, 바른 자세, 바른 행동으로 살아갈 때 멋지고 품위있는 삶임을 깨닫습니다.


인생을 일장춘몽一場春夢으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이룰수 없는 꿈을 백일몽白日夢이라 합니다. 꿈이 상징하는 바 참 깊고도 중요합니다. 가끔 생각은 나지 않지만 악몽惡夢같은 복잡하고 혼란한 꿈에 시달릴 때는 그대로 현실같아 꿈에서 깨어나면 현실이 아님에 안도할 때도 있습니다. 이런 꿈 중에는 의도적으로 꿈을 깨어 눈을 뜹니다. 때로 꿈 중에 강론을 다 써놓고 좋아하다 꿈에서 깨어나 실망한 적도 있습니다


“야, 꿈깨라.”

간혹 농담처럼 던지는 이야기지만 아주 상징하는바 깊습니다. 평생을 살아도 자기를 몰라 지금 여기의 현실을 살지 못하고 꿈속에서, 환상 속에서, 착각 속에서 살 수 있습니다. 아니 많은 이들이 평생 이렇게 살다가 제대로 참 나를 살지 못하고 죽기도 합니다.


‘깨닫다’ ‘깨어나다’ 모두 거짓 꿈에서 깨어나 오늘 지금 여기 현실을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느님 안에서 깨어 일어나 오늘 지금 여기 현실을 사는 것이 바로 깨어 있는 삶입니다. 아, 진정 깨어 있는, 살아 있는 삶을 살아가는 이들은 몇이나 될까요?


자기를 더럽히는 것은 바로 자기입니다. 누구도, 무엇도 나를 더럽힐 수 없습니다. 바로 미몽迷夢속에 살아가는 어리석음에 자기 탓 아닌 남탓을 합니다. 반대의 경우도 그대로 성립합니다. 자기를 품위를 높이는 것은 바로 자기입니다. 누구도 무엇도 자신의 품위를 높여주지 못합니다. 스스로 깨어 자신을 지키며 자존감 높은 삶을 사는 사람이 멋지고 품위있는 사람입니다.


하느님을 만나는 자리는 과거도 미래도 아닌 바로 '오늘 지금 여기'이며, 하느님이 보시는 것도 바로 오늘 지금 여기의 '나'입니다. 외적 성공이나 실패는 문제가 안됩니다. 중요한 것은 무슨 기회든 겸손의 기회로, 내적성장과 성숙의 기회로 삼는 것입니다. 이런 이들이 진정 주님 안에서 현실을 살아가는 현자賢者요 겸자謙者입니다. 말 그대로 멋지고 품위있는 사람들입니다. 


바로 복음의 예수님이, 로마서의 바오로 사도가 여기에 속하는 분들입니다. 성인들 역시 참으로 깨어 산 분들입니다. 산 햇수가 문제가 아니라 주님 안에서 깨어 참으로 살아가는 멋지고 품위있는 삶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하느님을 떠나 선 참된 삶은 불가능합니다. 비현실적 꿈속에 살다가 인생을 마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복음의 바리사이가 그러합니다. 


“정녕 너희 바리사이들은 잔과 접시의 겉은 깨끗이 하지만, 너희의 속은 탐욕과 사악으로 가득하다. 어리석은 자들아, 겉을 만드신 분께서 속도 만들지 않으셨느냐? 속에 담긴 것으로 자선을 베풀어라. 그러면 모든 것이 깨끗해질 것이다.”


바리사이가 상징하는바 꿈속에 살아가는 표리부동, 내적분열의 우리 보편적 사람들입니다. 참으로 자유롭지 못한 사람들입니다. 주님 안에서 깨어 있는 이들은 마음 속이 깨끗한 이들입니다. 속에 있는 것을 사랑으로 나눌 때 저절로 겉도 깨끗해지기 마련입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을 하느님을 볼 것이다.”


이런 이들이 참으로 하느님 안에서 깨어있는 멋지고 품위 있는 사람들입니다. 깨어 있을 때 깨끗한 마음이요 하느님을 봅니다. 오늘 로마서의 ‘불의로 진리를 억누르는 사람들’이 바로 어리석은 꿈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에 대한 바오로의 묘사에 공감합니다.


“그들은 지혜롭다고 자처하지만 바보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하느님의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어 버리고, 창조주 대신에 피조물을 받들어 섬겼습니다.”


하느님을 떠난 이들, 십중팔구 깨어 있다 하나 잠들어 있는 이들이요, 지혜롭다하나 어리석은 바보들이요, 하느님의 진리를 믿는다 하나 세상의 거짓을 믿는 자들이요, 하느님을 섬긴다 하나 피조물을 섬기는 우상 숭배자들입니다. 사실 이들은 하느님을 알면서도 그분을 하느님으로 찬양하거나 그분께 감사를 드리기는커녕, 오히려 생각이 허망하게 되고 우둔한 마음이 어두워진 자들입니다.


“창조주께서는 영원히 찬미 받으실 분이십니다. 아멘.”


우리 모두 헛된 꿈에서 깨어나 지금 여기서 하느님의 현실을 살 수 있게 하는 것은 끊임없는 찬미의 감사의 기도 수행뿐입니다. 항구한 하느님 찬미와 감사의 기도와 삶이, 우리 모두 꿈에서 깨어나 주님 안에서 오늘 지금 여기의 현실을, 또 멋지고 품위있는 삶을 살게 합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27 우정의 여정 -주님과 더불어 도반 형제들과의 우정-2023.5.31.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 프란치스코 2023.05.31 276
2926 지상 순례 여정중인 -이상적 천상 교회 가정 공동체-2023.5.7.부활 제5주일(생명 주일) 프란치스코 2023.05.07 276
2925 배움의 여정 -믿음도 배우고 훈련해야 합니다-2023.4.15.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4.15 276
2924 사랑은 율법의 완성 -하늘 나라에서 가장 큰 사람-2023.3.15.사순 제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5 276
2923 참되고 멋진 믿음 -선입견, 편견이 없는, 겸손하고 순수한 믿음-2023.3.13.사순 제3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3 276
2922 참으로 “의로움”은 무엇인가? -예언자, 프란치스코 교황, 예수님, 에제키엘의 가르침- 프란치스코 2023.03.03 276
2921 하느님 중심의 삶 -외딴곳-2023.2.4.연중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2.04 276
2920 주님 은총의 선물 셋 -천상비전, 평화, 분별력-2016.5.1. 부활 제6주일(생명주일, 이민의 날) 프란치스코 2016.05.01 276
2919 승리勝利의 삶 -믿음과 사랑-2016.1.20. 연중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1.20 276
2918 예닮의 여정 -사랑의 성체성사의 은총-2023.6.11.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6.11 275
2917 하느님 찬미가 답이다 -찬미 예찬-2023.6.9.연중 제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9 275
2916 파스카의 기쁨, 신록의 기쁨 -“기쁨도 은총의 선물이자 훈련이다”-2023.5.19.부활 제6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5.19 275
2915 “서로 사랑하여라”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2023.5.12.부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5.12 275
2914 참 거룩하고 신비롭고 아름다운 꿈, 미사전례 -꿈과 현실, 그리고 변모의 삶-2023.3.5.사순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23.03.05 275
2913 주님 안에서 지혜롭고 품위있는 삶 -초연과 이탈의 훈련-2023.2.13.연중 제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2.13 275
2912 하느님 중심의 삶 -중용의 지혜, 분별의 지혜-2022.11.5.연중 제3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11.05 275
2911 “눈 먼 이들에게 빛을 -그리스도의 빛으로 살 수 있는 길-Lumen Caecis)!”-2015.12.14. 월요일 성녀 오딜리아(662-720)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12.14 275
2910 파스카 신비-2015.4.11. 부활 팔일 축제 내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4.11 275
2909 관계의 깊이-하느님과 나-2015.3.26. 사순 제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3.26 275
2908 영적승리의 삶 -예수성심의 성인들-2023.6.5.월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675-75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05 274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