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0.24. 연중 제29주간 토요일                                                                                        로마8,1-11 루카13,1-9


                                                                                 성령을 따르는 삶

                                                                                     -회개의 삶-


우리 삶은 회개의 여정이요 눈만 열리면 모두가 회개의 표징들입니다. 한 번으로 끝나는 부르심이 아니듯 한 번으로 끝나는 회개가 아니라 평생과정의 회개입니다. 요즘 계속되는 강론 주제는 회개입니다. 


우리가 불우한 일을 당했을 때 본능적으로 떠오르는 것은 죄책감일 것입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가? 우리의 죄때문이 아니겠는가? 하는 의문입니다. 


오늘 복음의 사람들 역시 빌라도가 갈릴래아 사람들을 죽여 그들이 바치려던 제물을 피로 물들게 한 비극을 접했을 때, 또 실로암에 있던 탑이 무너지면서 열여덟 사람이 깔려 죽었을 때, 우선 생각한 것이 이들의 죄였음이 분명합니다. 바로 인과응보의 생각입니다. 하느님은 결코 인과응보의 틀에, 상선벌악의 틀에 넣으실 수 있는 분이 아니십니다. 이에 대한 주님의 반응이 아주 단호합니다.


“아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도 회개하지 않으면 모두 그처럼 멸망할 것이다.”


죄의 원인을 찾을 것이 아니라 회개의 표징으로 삼아 즉각 회개할 것을 촉구하는 주님이십니다. 우리가 지금 이렇게 살아있는 것은 죄가 없어서가 아니라 하느님의 은총이니 회개를 지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자각이 우리를 겸손하게 하고 끊임없는 회개의 삶을 살게 합니다. 


살아있을 때 회개이지 죽으면 회개도 못합니다. 살아있을 때 하느님 찬미이지 죽으면 찬미도 못합니다. 우리의 날이 연장되는 것은 회개하라, 찬미하라 주시는 주님의 은총입니다. 


바로 이어지는 무화과 나무의 비유가 이를 입증합니다. 열매들 없는 무화과 나무에 실망하여 베어버리려는 주인을 극구 만류하는 포도 재배인이 흡사 아버지께 심판을 유예해 달라 청하는 예수님을 닮았습니다. 


“주인님, 이 나무를 올해만 그냥 두시지요. 그동안에 제가 그 둘레를 파서 거름을 주겠습니다. 그러면 내년에는 열매를 맺겠지요. 그러지 않으면 잘라 버리십시오,”


참으로 절박한 상황입니다. 그대로 우리의 처지를 상징합니다. 회개하라 주어진 남은 여생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의 은총에 우리가 회개로 응답할 때 따라오는 믿음, 희망, 사랑, 평화, 기쁨 등 풍요로운 삶의 열매들입니다.


우리가 앞으로 얼마동안 살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분명한 것은 낭비할 시간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오늘 지금 여기가 회개의 출발점입니다. 하여 ‘회개의 시스템’ 같은 매일의 일과표에 따라 하루 일곱 번 성전에서 시간경을 바치며 ‘회개의 생활화’로 깨어 있는 삶을 추구하는 우리 수도자들입니다.


오늘 로마서는 회개의 구체적 삶에 대한 언급입니다. 루가는 물론 바오로에게도 회개는 단지 죄로 부터의 전환만이 아니라, 믿음으로 예수님께 향하는 것입니다. 예수님 안에 머물러 성령에 따라 사는 회개의 삶입니다.


“이제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있는 이들은 단죄를 받는 일이 없습니다.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생명을 주는 성령의 법이 죄와 죽음에서 해방시켜 주었기 때문입니다. 무릇 육을 따르는 자들은 육에 속한 것을 생각하고, 성령을 따르는 이들은 성령에 속한 것을 생각합니다. 육의 관심사는 죽음이고, 성령의 관심사는 생명과 평화입니다.”


육에 따른 '죽음의 삶'에서 성령에 따른 '생명과 평화의 삶'으로의 전환이 바로 회개입니다. 하느님이 보시는 것은 과거도 미래도 아닌 오직 현재 회개한 우리들입니다. 우리가 지금 그분과 함께 있는 한 걱정할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회개한 우리 모두가 성령충만한 삶을 살게 하십니다.


“누가 주님의 산에 오를 수 있으랴? 누가 그 거룩한 곳에 설 수 있으랴? 손이 깨끗하고 마음이 결백한 이, 헛된 것에 정신을 팔지 않는 이라네.”(시편24,3-4ㄱ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87 영적 전쟁 -주님의 전사戰士로 삽시다-2022.1.19.연중 제2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19 188
2086 주님과 항상 함께 하는 삶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2020.4.2.사순 제5주간 목요일 ​​​​ 프란치스코 2020.04.02 188
2085 “탈리타 쿰! 일어나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믿음의 여정, 믿음의 전사-2020.2.4. 연중 제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2.04 188
2084 회개와 겸손 -하느님 은총으로 구원받는다-2019.10.17.목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11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0.17 188
2083 주님의 기도 -예수님을 닮게 하는 기도-2019.10.9. 연중 제27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09 188
2082 참 자유인 -하느님은 나의 닻이자 돛이자 덫이다-2019.1.22.연중 제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22 188
2081 '사랑의 사도'가 됩시다 -‘무지의 너울’을 날로 얇게 해주는 사랑의 수행-2018.12.27.목요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27 188
2080 임마누엘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7.12.18. 월요일 12월18일 프란치스코 2017.12.18 188
2079 평생 공부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아는 공부-2016.9.9. 연중 제2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9.09 188
2078 행복의 발견-2015.6.8. 연중 제1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6.08 188
2077 영원한 생명 -삶은 선물膳物이자 과제課題이다-2022.5.5.부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5.05 187
2076 우리가 하느님의 성전聖殿입니다 -전례와 성전정화-2021.11.19.연중 제3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19 187
2075 구원의 여정 -예수님, 형제들과 함께-2020.4.29.수요일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 학자(1347-1380)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4.29 187
2074 순도純度 높은 삶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와 삶-2019.10.10.연중 제2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0 187
2073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인가?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2019.1.29.연중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29 187
2072 승천의 삶 -주님과 함께 하는 삶-2018.5.13. 주님 승천 대축일 2 프란치스코 2018.05.13 187
2071 파스카의 삶 -날마다 새로운 시작-2018.4.1. 주일 주님 부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4.01 187
2070 주님은 누구를 부르시는가? -철부지 인생들-2017.7.19.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7.19 187
2069 영원한 생명의 양식-2016.4.11. 월요일 성 스타니슬라오 주교 순교자(1030-1079)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4.11 187
2068 새 하늘과 새 땅 -말씀을 통한 새로운 창조-2016.3.7. 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3.07 187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