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0.27.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로마8,18-25 루카13,18-21


                                                                                    희망의 사람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오늘은 희망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희망의 사람’이 진정 오늘 복음의 겨자씨요 누룩같은 사람입니다. ‘희망의 사람’보다 이웃에 더 좋은 선물은 없습니다.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느님의 나라를 사는 이가 바로 희망의 사람입니다. 


좌우사방 어디를 봐도 희망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끊임없이 희망을 찾는 사람입니다. 구름 넘어 빛나는 태양이듯 절망 넘어 빛나는 희망의 태양 하느님입니다. 어둠을 환히 밝히며 떠오르는 태양처럼 우리 내면의 어둠을 환히 밝히는 희망의 하느님입니다.


희망이 있는 곳에 기쁨이 있습니다. 희망은 기쁨의 샘입니다. 희망과 기쁨은 함께 갑니다. 하느님을 사랑할 때 하느님은 우리의 희망이 되고 저절로 피어나는 기쁨이요 하느님을 믿게 됩니다. 사랑에서 생겨난 희망은 바로 우리 믿음의 근거가 됩니다. 


예수님의 영원한 희망은 ‘하느님의 나라’였습니다. 하느님의 나라가 예수님의 희망이자 꿈이요 비전이었습니다. 희망의 겨자씨, 희망의 누룩같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바로 복음의 예수님이 희망의 겨자씨, 희망의 누룩입니다. 예수님 자신이 하느님 나라의 실현입니다.


예수님을 모시고 살아갈 때 우리 역시 희망의 겨자씨요 희망의 누룩이 됩니다. 하느님의 나라는 장소가 아니라 ‘관계의 그물망’입니다. 우리의 희망이신 예수님을 중심에 모시고 사랑의 관계 속에 희망의 겨자씨로, 희망의 누룩으로 살아갈 때 하느님 나라의 실현입니다. 


오늘 복음의 바오로가 진정 희망의 사람입니다. 희망의 겨자씨, 희망의 누룩같은 바오로입니다. 고난중에도 희망하는 바오로입니다. 절망의 어둠중에 태양처럼 떠오르는 희망의 하느님입니다. 희망의 빛이 절망의 어둠을 몰아냅니다.


“장차 우리에게 계시될 영광에 견주면, 지금 이 시대에 겪는 고난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장차 계시될 영광이 바로 희망의 하느님입니다. 이런 희망의 힘이 현재의 고난을 상대화하여 능히 견뎌낼 수 있게 합니다. 피조물 역시 하느님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으며 희망의 날을 기다리고 있음을 고백하는 바오로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희망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피조물도 멸망의 종살이에서 해방되어, 하느님의 자녀들이 누리는 영광의 자유를 얻는 것입니다.”


성령을 첫 선물로 받은 우리만이 아니라 모든 피조물이 멸망의 종살이에서 벗어나 해방의 날을, 희망의 그날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모두가 하느님의 구원을 기다리고 있는 희망의 존재들임이 환히 드러납니다. 우리가 고대하는 하느님의 선물인 희망은 이미 우리 안에 겨자씨처럼 자라나고 있음을, 누룩처럼 우리를 변화시키고 있음을 깨닫습니다. 


“사실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 보이는 것을 희망하는 것은 희망이 아닙니다. 보이는 것을 누가 희망합니까? 우리는 보이지 않는 것을 희망하기에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립니다.”


희망의 하느님을 기다리는 우리들입니다. 하느님은 우리의 영원한 희망입니다. 아니 이미 희망의 주님을 모시고 살아가는 우리들입니다. 주님 말씀의 겨자씨요 주님 성체의 누룩입니다. 매일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희망의 겨자씨같은, 희망의 누룩같은 주님을 모심으로 ‘희망의 사람’이 되어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느님의 나라를 살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아, 이제부터 영원토록 네 희망을 하느님께 두어라.”(시편131,3).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7 영원한 도반道伴, 영원한 청년靑年 -주님과 아브라함-2017.6.26. 연중 제1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06.27 79
906 우리의 소원 -남북평화통일-2017.6.25. 연중 제12주일(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프란치스코 2017.06.27 95
905 ‘생각’에 대한 묵상2017.6.24. 토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06.27 113
904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사랑예찬-2017.6.23. 금요일 예수 성심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6.27 85
903 주님의 기도2017.6.22. 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6.27 64
902 참된 수행자들의 그리스도의 향기 -수행의 원리-2017.6.21. 수요일 성 알로이시아 곤자가 수도자(1568-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6.21 97
901 원대한 목표 -완전한 사람이 되는 것-2017.6.20. 연중 제1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20 105
900 하느님의 전사戰士 -비폭력적 사랑의 저항-2017.6.19. 월요일 성 로무알도 아빠스(951/2-102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6.19 123
899 왜 우리는 미사(성체성사)를 봉헌하는가? -하느님 자랑-2017.6.18. 주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2 프란치스코 2017.06.18 443
898 그리스도 중심의 삶 -진실한 삶과 참말-2017.6.17. 연중 제10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17 107
897 사랑의 수행자, 사랑의 신비가 -질그릇 속에 담긴 보물-2017.6.16. 연중 제1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16 115
896 순수한 마음 -얼굴의 가면을, 마음의 너울을 벗자-2017.6.15. 연중 제10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15 107
895 사랑이 답이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2017.6.14.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14 113
894 어떻게 살아야 하나? -세상의 소금, 세상의 빛-2017.6.13. 화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6.13 137
893 참행복 -행복의 발견-2017.6.12. 연중 제1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06.12 224
892 삼위일체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개방, 나눔, 관계, 겸손-2017.6.11. 주일 삼위일체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6.11 205
891 참 멋있고 아름다운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17.6.10. 연중 제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10 97
890 사랑의 찬미, 찬미의 기쁨, 찬미의 행복 -참 기쁨과 참 행복-2017.6.9. 연중 제9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09 143
889 사랑의 여정, 사랑의 학교 -경천애인敬天愛人의 사랑-2017.6.8. 연중 제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08 116
888 기도가 답이다 -기도와 삶-2017.6.7. 연중 제9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6.07 117
Board Pagination Prev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