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3.28. 부활 팔일 축제 내 월요일                                                                사도2,14.22-33 마태28,8-15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

                                                                   -늘 새로운 시작-


부활하신 주님을 만날 때 늘 새로운 시작입니다. 참으로 두려움이 없어 자유롭습니다. 부활하신 주님의 빛이 우리 마음 속 두려움과 불안의 어둠을 몰아내기 때문입니다. 부활하신 주님을 체험하지 못하면 오늘 복음에 대한 두가지 견해에 결정을 주저할 수 있겠습니다. 


당시에도 '예수님은 진정 부활하셨는가, 또는 제자들이 예수님의 시신을 훔쳐갔는가?' 두가지 견해가 있었음을 봅니다. 분명 둘 중 하나일 것이고 하나가 진리라면 다른 하나는 유언비어입니다. 아마 경비병의 매수설을 모르는 사람은 경비병들의 말을 듣고 예수님 부활을 유언비어로 치부했을 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언로가 막혔을 때 들불같이 번져가는 유언비어가 진실일 수 있습니다. 바로 예수님 부활 이야기가 그러합니다.


예수님 부활은 막을 수 없는 대세였습니다. 거짓이 진리에 승리할 수는 없습니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부활하신 주님을 체험한 제자들의 선포와 증언을 아무도 막을 수는 없습니다. 바로 오늘 제1독서 사도행전의 제자들이 그 생생한 증거입니다.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지 않고는 열두제자들이 이렇게 담대할 수는 없습니다. 부활을 선포하는 베드로의 열화와 같은 오순절 설교입니다. 


“여러분은 그분을 무법자들의 손을 빌려 십자가에 못 박아 죽였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그분을 죽음의 고통에서 풀어 다시 살리셨습니다. 그분께서는 죽음에 사로잡혀 계실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이어 베드로는 다윗의 시편16장을 인용하여 부활하신 주님의 기쁨에 벅찬 고백을 들려줍니다. 바로 오늘 화답송 시편의 예언이 예수님 부활을 통해 그대로 실현되었음을 믿는 제자들임이 분명합니다. 새삼 초대교회 사도들이나 교부들의 성경 렉시오 디비나가 얼마나 깊었는지 깨닫습니다. 시편 16장의 내용이 아름다워 적절한 내용을 대부분 인용합니다.


“주님께 아뢰옵니다. 당신은 나의 주님, 

 내 좋은 것 당신밖에 또 없나이다. 

 주님을 언제나 내 앞에 모시오니,

 내 오른편에 계시옵기, 흔들리지 않으오리다.

 그러기에 내 마음 즐겁고, 영혼은 봄놀고, 

 육신마저 편안히 쉬오리니

 내 영혼을 지옥에다 버리지 않으시리이다.

 썩도록 당신 성도를 아니 버려 두시리다.

 당신은 나에게 생명의 길을 가르치시어

 당신을 모시고 흐뭇한 기꺼움을,

 당신 오른편에서 영원히 누릴 즐거움을 보여 주시리이다.”


정말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하느님께 드리는 고백 기도 같은 시편입니다. 부활하신 주님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의 평생 고백으로 삼아도 좋을 시편입니다. 한 번으로 끝난 부활사건이 아니라 오늘 지금 여기서 계속되는 예수님 부활사건입니다. 바로 우리는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기 때문입니다. 오늘 복음 말씀은 그대로 부활하신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두려워하지 마라. 가서 내 형제들에게 갈릴래아로 가라고 전하여라. 그들은 거기에서 나를 보게 될 것이다.”


주님께서 사람들을 만나실 때 주시는 일성一聲이 ‘두려워하지 마라’는 말씀입니다. 빛이신 부활하신 주님을 만날 때 사라지는 두려움의 어둠입니다. ‘내 형제들’이라는 말마디가 참 정겹고 위로가 됩니다. 우리 모두 주님의 정다운 형제들임을 깨닫습니다. 


갈릴래아가 상징하는바 오늘 우리 삶의 현장이며, 부활하신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삶의 현장인 갈릴래아에 당신 형제들인 우리를 찾아 오시어 당신 생명과 사랑으로 가득 채워 주십니다. 끝으로 오늘 새벽에 쓴 ‘하느님 품의 행복한 아기’란 자작시를 나눕니다.


-불암산/두 봉우리

 하느님의 두 젖가슴


 날마다

 거룩한 미사를 통해


 주님의

 한 젖가슴에서 


 말씀의 

 젖을 먹고


 한 젖가슴에서 

 성체의 젖을 먹는 나는


 천생天生/평생平生

 하느님 품의 행복한 아기이구나-.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7 삼감三感 가득한 하루의 순례여정 -주님의 길을 닦으십시오-2017.12.23. 대림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3 156
1086 아름답다! ‘빈 손’, ‘빈 마음’이여! -빈 마음에서 샘솟는 하느님 찬미-2017.12.22. 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2 127
1085 영원한 연인戀人이자 도반道伴이신 주님-2017.12.21. 대림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1 133
1084 “주님, 저를 축복하소서!” -사랑, 기도, 순종-2017.12.20. 수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17.12.20 128
1083 “들어라!” -갈망, 깨어있음, 들음-2017.12.19. 화요일 12월19일 프란치스코 2017.12.19 109
1082 임마누엘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7.12.18. 월요일 12월18일 프란치스코 2017.12.18 188
1081 아름답고 온전한 영적 삶 -성령, 기쁨, 기도, 감사, 분별, 증언-2017.12.17. 대림 제3주일(장미주일, 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7 209
1080 선물 인생 -삶은 선물이요 과제(짐)이다-2017.12.16. 대림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6 93
1079 회개가 답이다 -회개와 겸손-2017.12.15. 대림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5 134
1078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077 행복한 삶 -정주定住, 순수純粹, 대림待臨-2017.12.13.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3 132
1076 나는 누구인가? -착한 목자 예수님-2017.12.12. 대림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2 196
1075 믿음이 답이다 -교회공동체에 뿌리 내린 우리의 믿음-2017.12.11. 대림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1 153
1074 어떻게 주님의 길을 잘 닦을 것인가? -회개, 위로, 기쁨-2017.12.10. 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0 172
1073 약속과 실현 -영원한 구원의 희망이신 주님-2017.12.9. 대림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9 118
1072 동정 마리아는 어떤 분이신가? -정주, 찬미, 순종-2017.12.8. 금요일 한국교회의 원죄없이 잉태되신 동정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12.08 153
1071 누가 진정 슬기로운 수행자修行者인가? -주님 반석 위에 인생집을 짓는 사람-2017.12.7. 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07 153
1070 영원한 위로와 평화의 힘의 원천 -하느님 나라의 꿈과 실현-2017.12.6. 대림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6 243
1069 성령의 내적 혁명가가 됩시다 -유토피아의 실현-2017.12.5. 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5 131
1068 참사람의 본질 -간절하고 겸손한 믿음-2017.12.4. 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4 136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