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4.23. 부활 제4주간 토요일                                                                         사도13,44-52 요한14,7-14


                                                        기쁨과 성령으로 충만充滿한 삶

                                                             -주님과의 일치一致-


“주님,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 주십시오.”


필립보의 예수님께 대한 청원은 우리 모두의 근원적 소망을 반영합니다. ‘하느님을 찾는 인간’, 바로 이것이 인간의 정의입니다. 사람은 마음 깊이에서는 하느님을 찾는 수도자라고 토마스 머튼은 말합니다. 근원적 목마름과 배고픔은 아버지를 뵈올 때 비로소 해소됩니다. 아버지를 뵈올 때 그것만으로 충분합니다. 예수님은 필립보는 물론 우리 모두를 향해 말씀하십니다.


“필립보야, 내가 이토록 오랫동안 너희와 함께 지냈는데도, 너는 나를 모른다는 말이냐?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저희가 아버지를 뵙게 해 주십시오.’하느냐? 내가 아버지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다는 것을 너는 믿지 않느냐? 내가 너희에게 하는 말은 나 스스로 하는 말이 아니다. 내 안에 머무르시는 아버지께서 당신의 일을 하는 것이다.”


예수님은 당신과 아버지가 완전 하나임을 고백하십니다. 필립보 대신 우리 이름을 넣어도 그대로 통합니다. 그토록 오랫동안 세례 받고 주님과 함께 지냈는데도 나를 모르느냐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나를 본 사람은 곧 아버지를 뵌 것이다.”


우리는 매일 미사를 통해, 말씀 공부를 통해, 끊임없는 기도를 통해 예수님과 늘 함께 해 왔습니다. 사실 예수님은 마태복음 마지막에서도 ‘보라, 내가 세상 끝날까지 언제나 너희와 함께 있겠다.’ 말씀하셨습니다. 늘 함께 계신 예수님인데 예수님은 물론 하느님을 잊고 지내는 경우는 얼마나 많은지요. 


예수님과 아버지는 하나입니다. 마음의 눈만 열리며 예수님을 뵈옵게 되고 동시에 아버지를 뵙게 되는 것입니다. 이미 다음 두 말씀에서도 예수님과 아버지는 하나임을 깨닫게 됩니다.


“나는 생명의 빵이다. 나에게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을 것이며, 나를 믿는 사람은 결코 목마르지 않을 것이다.”(요한6,35).


우리의 궁극의 배고픔과 목마름을 해결해 주실 수 있는 분은 아버지뿐이십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생명의 빵인 당신께 오는 사람은 결코 배고프지 않고 당신을 믿는 사람은 결코 목마르지 않겠다고 하시니 은연중 당신과 아버지는 하나임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나를 통하지 않고서는 아무도 아버지께 갈 수 없다.”(요한14,6).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는 말씀이, ‘당신을 통하지 않고서는 아버지께 갈 수 없다’는 말씀이 바로 당신과 아버지는 하나임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이런 예수님을 모심으로 예수님과 하나 될 때 우리 역시 아버지와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나와 아버지는 하나다.”


우리도 예수님과 하나될 때, 예수님처럼 감히 이렇게 고백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아, 이게 우리 본래의 진면목입니다. 이 진리를 깨달아 고백할 때 비로소 온전한 참 나의 실현이요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그러니 모든 문제의 답은 예수님을 곧이 곧대로 믿는 데 있습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나를 믿는 사람은 내가 하는 일을 할 뿐만 아니라. 그보다 더 큰 일도 하게 될 것이다.”


아버지와 하나되어 모든 일을 하시는 예수님처럼, 우리 역시 예수님을 믿어 예수님과 하나될 때 그대로 예수님처럼 일하면서 살 수 있습니다. 내가 하는 일이 아니라 나를 통해 아버지께서 하시는 일입니다. 예수님을 통해 아버지와 하나될 때 나오는 능력입니다. 바로 오늘 사도행전에서 담대하게 말하는 바오로와 바르나바 두 사도가 그 생생한 증거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말씀을 먼저 여러분에게 전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그것을 배척하고 영원한 생명을 받기에 합당하지 못하다고 판단하니, 이제 우리는 다른 민족들에게 돌아섭니다.”


오늘 사도행전에 ‘주님의 말씀’이란 말마디가 무려 4회 나옵니다. 주님의 말씀을 통해 아버지를 만날 때 영원한 생명의 구원입니다. 주님의 말씀의 위력은 얼마나 놀라운지요.


사람들은 두 사도의 말을 듣고 기뻐하며 주님의 말씀을 찬양했으며,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 정해진 이들은 모두 믿게 되었고, 주님의 말씀은 그 지방에 두루 퍼지니 얼마나 신바람 나는 장면인지요. 그대로 사도들을 통한 예수님의 생전 활동의 재현입니다. 박해를 당해 추방당하는 상황에서도 제자들은 발의 먼지를 털어 버리고 기쁨과 성령으로 가득 차 있었다 합니다.


예수님을 믿어 하나됨으로 아버지와 하나될 때 기쁨과 성령으로 충만한 삶입니다. 기쁨과 성령이 충만할 때 모든 문제는 저절로 해결됩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을 믿어 당신과 하나된 우리 모두를 당신의 기쁨과 성령으로 가득 채워주십니다.


“우리 하느님의 구원을 온 세상 땅끝마다 모두 보았네.”(시편98.3ㄷㄹ).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7 그리스도 중심의 공동체 삶-2015.10.3.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11.03 183
2006 내적성장과 성숙-2015.9.19. 연중 제2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09.19 183
2005 권위있는 삶-2015.9.1. 연중 제2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9.01 183
2004 지옥(地獄)같은 세상에서 천국(天國)의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23.8.29.화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8.29 182
2003 지혜로운 성인의 삶 -분별력, 황금률, 좁은문- 프란치스코 2022.06.21 182
2002 하느님의 기쁨 -“부끄러워 합시다. 그리고 회개합시다”-2022.3.27.사순 제4주일(장미주일, Laetare 주일) 프란치스코 2022.03.27 182
2001 야생화 달맞이꽃 영성 -구도자의 모범-2019.8.22.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8.22 182
2000 ‘씨뿌리는 삶’에 항구한 사람들 -믿음이 답이다-2019.7.24.연중 제16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24 182
1999 하느님 중심의 삶 -올바른 수행자의 자세-2019.6.19.수요일 성 로무알도 아빠스(951-102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6.19 182
1998 사랑과 ‘마음의 순수’ -사랑이 답이다-2019.6.13.목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6.13 182
1997 무지로부터 해방된 행복하고 충만한 삶 -말씀 찬미와 공부가 답이다-2018.12.31.성탄 팔일 축제 제7일 1 프란치스코 2018.12.31 182
1996 “누가 의로운 사람인가?” -연민, 기도, 순종-2018.12.18.대림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18 182
1995 믿음이 답이다 -간절하고 겸손한 기도와 믿음-2017.9.18. 연중 제2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18 182
1994 빛의 자녀답게 -기뻐하고 즐거워하여라-2017.3.26. 사순 제4주일 사무상16,1ㄱㄹㅁㅂ.6-7.10-13ㄴ 에페5,8-14 요한9,1-41 프란치스코 2017.03.26 182
1993 백제의 미소 -고향순례- 이사26,7-9.12.16-19 마태11,28-30 프란치스코 2016.07.14 182
1992 회개의 생활화生活化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끊임없는 회개悔改뿐이다-2022.6.13.월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6.13 181
1991 회심의 여정 -회심과 성체성사-2022.5.6.부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2.05.06 181
1990 자아초월自我超越의 여정 -부활하신 파스카 예수님과의 만남-2022.5.2.성 아타나시오 주교 학자(296-373)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5.02 181
1989 복음 선포의 삶 -경청敬聽, 순종順從, 선포宣布-2022.4.23.부활 팔일 축제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3 181
1988 하느님만 찾는, 하느님 중심의 행복한 삶 -지혜, 겸손, 진실, 섬김-2021.10.13.연중 제28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13 181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