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6.11. 토요일 성 바르나바 기념일                                                 사도11,21ㄴ-26;13,1-3 마태10,7-13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자유와 섬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오늘 복음을 묵상하는 순간 마음에 와 닿은 구절을 그대로 강론 제목으로 택했습니다. 참으로 무욕의 자유로운 삶이자 홀가분한 삶입니다. 도대체 잘 들여다보면 내 것이 없습니다. 모두가 선물로 거저 받은 것입니다. 그대로 선물 인생입니다. ‘무엇으로부터의 자유’에 앞서 ‘무엇을 위한 자유’인가가 먼저입니다. 사도들의 삶을 통해 환히 드러나는 참 자유의 비결입니다.


“가서 ‘하늘 나라가 왔다.’하고 선포하여라.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어라. 나병 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어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주님께로부터 사도들에게 먼저 주어진 것이 삶의 목표요 삶의 방향입니다. 삶의 목표가, 삶의 방향이 뚜렷해야 방황하지 않습니다. 삶은 단순해지고 자유로워집니다. ‘나이 30에 죽어 70에 묻힌다.’라는 아주 예전에 들은 말이 생각납니다. 목표없이, 방향없이 표류하는 삶을 지칭합니다.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목표를 잃고, 존재감 없이 표류하는 삶은 얼마나 많은지요. 


삶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입니다. 무엇을 위한 자유인가가 중요합니다. 섬김을 위한 자유입니다. 이래야 자유의 완성입니다. 자유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닙니다. 하느님과 이웃을 섬기는 사랑으로 표현될 때 자유의 완성입니다. 


하늘나라를 선포하고, 앓는 이들을 고쳐 주고, 죽은 이들을 일으켜 주고, 나병환자들을 깨끗하게 해 주고, 마귀들을 쫓아내는 사도들의 삶이 그대로 자유와 섬김의 삶입니다. 예수님의 일을 그대로 전수받은 사도들의 자유와 섬김의 삶입니다. 똑같은 주님께서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사도들에게 명령하신 일을 친히 하십니다. 우리를 고쳐주시고, 일으켜 주시고, 깨끗하게 해 주시고, 온갖 마귀들을 쫓아내 주십니다.


이런 삶의 목표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가벼워져야 합니다. 무거워지기는 쉬워도 가벼워지기는 어렵습니다. 최대한 무소유의 삶이어야 합니다. 안팎의 짐을 줄이고 비워야 주님의 능력으로 가득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주님으로부터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면 됩니다. 말 그대로 자유와 섬김의 삶의 실현입니다.


“전대에 금도 은도 구리 돈도 지니지 마라. 여행 보따리도 여벌 옷도 신발도 지팡이도 지니지 마라. 일꾼이 자기 먹을 것을 받는 것도 당연하다.”


삶의 목표와 방향이 분명해 졌으니 이런 무소유의 삶입니다. 문자 그대로 실천할 수 없어도 최대한 안팎으로 비우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이래야 삶은 짐이 아닌 선물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비움의 자리에 가득 차는 주님의 평화입니다. 우리가 줄 수 있는 제일의 선물이 주님의 평화입니다. 


“집에 들어가면 그 집에 평화를 빈다고 인사하여라.”


이런 평화의 선물이 제일입니다. 우리 역시 매일미사 때 마다 주님의 평화를 선물로 받습니다. 거저 받았으니 거저 나누는 주님의 평화의 선물입니다. 이런 사도들의 모범이 바로 오늘 기념하는 바르나바입니다. 


안티오키아 교회에 도착한 바르나바는 하느님의 은총이 내린 것을 보고 기뻐하며, 모두 굳센 마음으로 주님께 계속 충실하라고 격려합니다. ‘바르나바는 착한 사람이며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었다.’라는 묘사에서 ‘텅 빈 충만’의 자유인을 연상케 합니다. 바르나바 사도는 말 그대로 순수한 사람이며 자유와 섬김의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를 당신 평화로 가득 채워 주시어 평화의 사도로 세상에 파견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27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2020.4.8.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8 142
1926 하느님 중심의 삶 -영광과 자유-2020.4.7.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7 126
1925 모든 사람을 공경恭敬하라 -주님의 종- 2020.4.6.성주간 월요일 ​​​​​​​ 프란치스코 2020.04.06 162
1924 하루하루 성인聖人을 목표로 삽시다 -참 좋은 삶과 죽음-2020.4.5.주님 수난 성지 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4.05 152
1923 사랑의 일치 -그리스도 중심의 공생共生, 평화平和, 조화調和의 아름다움-2020.4.4.사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4 134
1922 배경의 힘 -주님은 우리의 참 좋은 배경이시다-2020.4.3.사순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3 271
1921 주님과 항상 함께 하는 삶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2020.4.2.사순 제5주간 목요일 ​​​​ 프란치스코 2020.04.02 188
1920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 -아브라함의 참 자손-2020.4.1.사순 제5주간 수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4.01 135
1919 광야 여정은 예닮의 여정 -참 희망이자 영원한 인도자, 도반이신 예수님-2020.3.31.사순 제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31 118
1918 주님의 눈빛 -부드럽고 따뜻한, 연민의 눈빛-2020.3.30.사순 제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30 144
1917 또 하나의 ‘라자로’인 우리를 살리시는 예수님 -“라자로야, 이리 나와라.”-2020.3.29.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29 186
1916 무지의 편견에서 벗어나는 일 -주님과의 만남- 2020.3.28.사순 제4주간 토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3.28 128
1915 의롭고 신비롭고 거룩한 삶 -하느님과 함께 하는 ‘임마누엘’의 삶-2020.3.27.사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27 141
1914 무지無知와의 전쟁 -기도와 말씀, 회개와 겸손-2020.3.26.사순 제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26 112
1913 “하닮의 여정” -“우리 모두가 ‘임마누엘’입니다”-2020.3.25.수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25 181
1912 생명의 샘, 생명의 강 -주님은 생명의 샘이자 생명의 강이십니다-2020.3.24.사순 제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24 153
1911 새 하늘과 새 땅 -창조와 구원-2020..3.23.사순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0.03.23 156
1910 개안開眼의 여정 -“빛의 자녀답게 살아가십시오”-2020.3.22.사순 제4주일(Laetare;장미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22 206
1909 떠남의 여정, 귀가歸家의 여정, 파스카의 여정 -성 베네딕도 예찬禮讚- 2020.3.21.토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 별세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21 285
1908 사랑밖엔 길이 없습니다 -회개와 사랑 실천-2020.3.20.사순 제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20 130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