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7.15. 금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274) 기념일

                                                                                                         이사38,1-6.21-22,7-8 마태12,1-8


                                                                      사랑은 분별의 잣대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 제물이 아니라 자비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결코 율법이 분별의 잣대가 아닙니다. 아니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사랑보다는 연민(compassion)이, 자비(mercy)가 더 깊어 좋습니다. 하느님의 이름은 자비입니다. 사랑은 상식에 기초합니다. 사랑의 기적입니다. 사랑은 책임감입니다. 제가 불편한 다리를 이끌고 순례를 완성할 수 있음도 책임감의 사랑이었습니다. 


사랑은 만민 보편언어입니다. 어디에서나 다 통하는 만민보편언어가 사랑입니다.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제물이 아니라 자비다.”(호세6,6).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호세아 예언자를 통한 하느님의 말씀을 전해 주십니다. 예수님이나 1독서의 이사야 예언자나 이런 하느님의 자비를 고스란히 닮으셨던 분입니다. 


역시 어제 고향순례의 마지막 여정을 잠시 나누면서 강론을 시작합니다. 제 고향에 인근에 있는 유명한 두 곳을 순례함으로 순례의 대미를 장식했습니다. 우선 단군이래 최고의 천재이자 명필인 추사 김정희 선생 고택을 순례했습니다. 비록 가톨릭은 아니더라도 그 깨달음의 깊이는 관상의 정점에 도달한 분이셨습니다. 그분의 몇 깨달음의 단편들입니다.


“세상에서 두 가지 큰 일은 밭갈고 독서하는 일이다.”

“한나절은 정좌하고 한나절은 책읽고.”

“봄바람처럼 큰 아량은 만물을 용납하고,”

“가을물같이 맑은 문장은 티끌에 물들지 않는다.”

“늙어서도 특이한 글자를 보면 눈이 맑아진다.”

“멀리서 훌륭한 선비의 소문을 들으면 금방 마음을 터놓게 되고,”


몇 인상적인 구절을 인용했습니다. 그분의 깊은 깨달음의 편린들입니다. 충남 예산 신암면의 추사 김정희의 고택에 이어 당진 송산 솔뫼에 있는 성 김대건 안드레아 생가를 순례했습니다. 목사님인 사촌형님이 저를 배려한 사랑이었습니다. 천주교 신자는 아무도 없었지만 마지막으로 모두 경건한 마음으로 성지를 순례함으로 이번 1박2일의 휴가는 성지순례가 되고 말았습니다. 사촌 목사 형님은 저와 함께 미사에도 참석했습니다. 


새삼 가톨릭교회는 말뜻 그대로 보편적인 종교요 가톨릭 신심이 깊어짐에 따라 자비의 ‘보편인(universal man)’이 될 수 있음을 깨닫습니다. 떠나 올 때 목사 형님은 예산에서 산 짠지를 수사님들과 반찬을 하라며 선물했고, 또 한 형님은 약값에 보태 쓰라고 성금誠金도 주었습니다. 이 또한 종파를 초월한 하느님 자비의 표현입니다. 하느님은 자비로운 분이십니다. 히즈키야의 통곡의 기도가 하느님의 자비에 닿았습니다.


“아, 주님, 제가 당신 앞에서 성실하고 온전한 마음으로 걸어왔고, 당신 보시기에 좋은 일을 해 온 것을 기억해 주십시오.”


자비로운 주님은 즉시 당신 자비를 닮은 이사야를 통해 히즈키야에게 응답하십니다.


“너의 조상 다윗의 하느님인 주님이 이렇게 말한다. 나는 네 기도를 들었고 네 눈물을 보았다. 자, 내가 너의 수명에다 열다섯 해를 더해 주겠다.”


이사야를 통해 하느님의 자비로운 면모가 잘 드러나는 일화입니다. 이어 복음의 배가 고파서 밀이삭을 뜯어 먹은 제자들에 대한 예수님의 반응에서도 하느님의 자비는 잘 드러납니다. 예수님이 직시한 것은 율법이 아니라 제자들의 배고픈 현실이었습니다. ‘사람이 먼저다’라는 옛 모 대선후보의 모토와도 이와 일치합니다. 주님은 제자들을 전적으로 변호, 두호하십니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성전보다 더 큰 이가 여기에 있다. ‘내가 바라는 것은 희생제물이 아니라 자비다.’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지 너희가 알았더라면, 죄없는 이들을 단죄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사실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


정작 큰 죄는 무자비한 언행입니다. 하느님의 자비를 잊을 때 죄없는 이들을 단죄하는 죄를 짓게 마련입니다. 사람의 아들이 안식일의 주인이라는 것은 사랑의 예수님이 분별의 잣대라는 말입니다. 자비하신 예수님은 어떻게 처신하셨을까 잘 생각하면 처방의 답은 저절로 나올 것입니다. 자비하신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치유의 구원을 베푸시며 말씀하십니다.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루카6,36).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7 파스카의 기쁨, 신록의 기쁨 -사랑, 믿음, 희망-2023.4.9.주님 부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4.09 309
586 파스카의 기쁨, 파스카의 여정 -부활하신 주님과의 만남- “평생 날마다 주님 ‘파스카의 꽃’으로 삽시다!” ​​​​​​​2024.4.3.부활 팔일 축제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4.03 124
585 파스카의 꽃-그리스도 예수님 중심의 삶-2021.8.23.연중 제2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8.23 114
584 파스카의 꽃같은 삶 -“오늘 지금 여기”-2022.7.13.연중 제1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7.13 210
583 파스카의 사랑, 파스카의 아름다움, 파스카의 기쁨 -주님의 참 좋은 선물-2020.5.22.부활 제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22 153
582 파스카의 삶 -하늘로부터, 위로부터, 영에서 태어난 삶-2021.4.19.부활 제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19 106
581 파스카의 삶 -기도가 답이다-2019.4.12.사순 제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2 239
580 파스카의 삶 -날마다 새로운 시작-2018.4.1. 주일 주님 부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4.01 187
579 파스카의 삶 -내적여정의 순례자-2018.4.16. 부활 제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16 154
578 파스카의 삶 -세상을 이기는 승리의 길-2021.5.17.부활 제7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5.17 113
577 파스카의 삶 -자유의 여정-2019.9.2.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02 142
576 파스카의 삶 -어둠에서 빛으로-2017.4.26. 부활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4.26 118
575 파스카의 삶 -주님과 함께 늘 새로운 시작-2017.9.25. 연중 제2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25 120
574 파스카의 삶, 늘 새로운 시작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2019.7.6.연중 제1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06 155
573 파스카의 삶, 의인의 삶 -지혜, 섬김, 환대-2021.9.19.연중 제25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9.19 148
572 파스카의 신비 -‘섬김service’과 ‘종servant’의 영성-2020.3.11.사순 제2주간 수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3.11 136
571 파스카의 신비, 파스카의 기쁨, 파스카의 승리 -절망은 없다-2021.3.30. 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3.30 104
570 파스카의 신비, 파스카의 은총 -온전한 치유와 구원-2021.4.21.수요일 성 안셀모 주교 학자(1033-1109)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4.21 113
569 파스카의 여정 -고난, 죽음, 부활-2021.9.28.연중 제26주간 화요일 2 프란치스코 2021.09.28 147
568 파스카의 예수 그리스도님 -“사랑하라, 선포하라, 추구하라”-2022.4.17.주님 부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2.04.17 190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