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7.16.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미카2,1-5 마태12,14-21


                                                                        우리 삶의 指標

                                                                          -주님의 종-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의 모습이 감동적입니다. 바리사이들이 예수님을 어떻게 없앨까 모의하는 위기 상황에도 전혀 동요하지 않고 주님은 묵묵히 당신의 사명을 수행하십니다. 이들과 정면 대결을 하지 않고 조용히 물러나십니다만 많은 군중은 그분를 따랐고 주님은 그들을 모두 고쳐 주시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지 말라고 엄중히 이르십니다. 


바로 복음 전반부의 예수님 모습입니다. 이런 예수님의 모습에서 마태복음 사가는 이사야에 나오는 주님의 종을 연상했습니다. 주님의 종의 첫째 노래인 이사42,1-4절을 인용하면서 예수님의 신원을 확인합니다. 당시 그리스도인들은 주님의 종을 예수 메시아로 간주하고 신봉했습니다. 


오늘 주님의 종에 대한 묘사는 예수님의 모습이지만 그대로 우리 믿는 이들에게도 삶의 지표가 됩니다. 진정 주님이 선택한, 사랑하는, 마음에 드는 종은 누구입니까? 주님은 이런 당신의 종들인 우리에게 당신 영을 주시어 우리 모두 그 사명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게 하십니다. 저는 주님의 종으로서 우리 삶의 지표를 세 측면에 걸쳐 확인했습니다. 


첫째, 주님의 종은 ‘침묵의 사람’입니다.

닫힌 침묵이 아니라 주님께 활짝 열린 깨어있는 침묵입니다. 이의 모범이 바로 예수님이십니다. 그분은 결코 선동가가 아닌 깊은 침묵의 관상가였습니다. 관상과 활동이 이상적 조화를 이룬 분이셨습니다. 낮의 활동에는 아버지와 일치했던 밤의 관상의 기도가 늘 받침이 되어 주었습니다. 밤의 침묵과 관상을 잃으면 삶의 깊이도 기대하기 힘듭니다. 


“그는 다투지도 않고 소리치지도 않으리니, 거리에서 아무도 그의 소리를 듣지 못하리라.”


소유가 아닌 존재의 삶에 충실하셨던 주님의 종입니다. 하여 예수님은 싸우기보다는 물러나셨고 당신을 선전하지 말도록 함구령을 내리십니다. 참으로 조용한 중에 묵묵히 그의 사명을 수행하셨던 주님의 종 예수님의 모습은 우리 삶의 영원한 지표가 됩니다.


둘째, 주님은 종은 선하고 자비로운 분입니다.

주님의 종, 예수님은 거칠고 떠들썩하고 성급한 분이 아니라 온유하고 겸손하신 분이셨고 한없이 따뜻하고 부드러웠던 분입니다. “그는 올바름을 승리로 이끌 때까지 부러진 갈대를 꺽지 않고, 연기 나는 심지를 끄지 않으리니” 묘사가 바로 이를 입증합니다. 


하여 주님은 구마이적과 치유이적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치유의 구원을 베푸셨습니다. 이런 섬세함과 자비로움은 관상가의 특질이자 우리 삶의 영원한 지표가 됩니다. 


셋째, 주님의 종은 모든 이의 희망의 빛입니다.

“민족들이 그의 이름에 희망을 걸리라.” 오늘 마지막 인용어귀가 이를 입증합니다. 주님의 종만이 희망의 빛입니다. 이사42장 6절이 이를 분명히 합니다.


“나 주님이 너를 부른다. 정의를 세우라고 너를 부른다. 내가 너의 손을 잡아 지켜 주고 너를 세워 인류와 계약을 맺으니니 너는 만국의 빛이 되어라.”


그대로 주님의 종인 예수님께 대한 묘사입니다. 새삼 우리 삶의 영원한 지표는 희망의 빛임을 깨닫습니다. 과연 주님의 빛을 잘 반사하는 우리의 삶인지 성찰하게 합니다.


주님의 종인 예수님을 통해 우리 삶의 지표도 환히 계시되었습니다. 침묵의 사람, 선하고 자비로운 사람, 희망의 빛으로서의 삶입니다. 이런 삶의 지표를 잃어버릴 때 무질서한 삶에 탐욕에 휘말리게 됩니다. 오늘 제1독서는 미카 예언자를 통해 하느님을 떠나 삶의 지표를 잃는 인간이 얼마나 악해 질 수 있는지 잘 보여줍니다.


“불행하여라, 불의를 꾀하고 잠자리에서 악을 꾸미는 자들! 그들은 능력이 있어, 아침이 밝자마자 실행에 옮긴다. 탐이 나면 밭도 빼앗고, 집도 차지해 버린다. 그들은 주인과 그 집 안을, 임자와 재산을 유린하다.”


삶의 지표를 잃었을 때 탐욕은 기승을 부리고 무질서한 방종의 삶이 펼쳐집니다. “경계석을 옮긴 자는 사형에 처한다.”라는 옛 로마법이 있었다 합니다. 사람간의 경계를 유린하여 정의와 질서를 무너뜨림에 대한 강력한 응징을 표현하는 법조문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삶의 지표를 새로이 확인시켜 주시어, 우리 모두 주님의 종으로서 ‘조용하고 자비로운 사람, 희망의 빛의 사람’이 되어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7 삼감三感 가득한 하루의 순례여정 -주님의 길을 닦으십시오-2017.12.23. 대림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3 156
1086 아름답다! ‘빈 손’, ‘빈 마음’이여! -빈 마음에서 샘솟는 하느님 찬미-2017.12.22. 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2 127
1085 영원한 연인戀人이자 도반道伴이신 주님-2017.12.21. 대림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1 133
1084 “주님, 저를 축복하소서!” -사랑, 기도, 순종-2017.12.20. 수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17.12.20 128
1083 “들어라!” -갈망, 깨어있음, 들음-2017.12.19. 화요일 12월19일 프란치스코 2017.12.19 109
1082 임마누엘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7.12.18. 월요일 12월18일 프란치스코 2017.12.18 188
1081 아름답고 온전한 영적 삶 -성령, 기쁨, 기도, 감사, 분별, 증언-2017.12.17. 대림 제3주일(장미주일, 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7 209
1080 선물 인생 -삶은 선물이요 과제(짐)이다-2017.12.16. 대림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6 93
1079 회개가 답이다 -회개와 겸손-2017.12.15. 대림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5 134
1078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077 행복한 삶 -정주定住, 순수純粹, 대림待臨-2017.12.13.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3 132
1076 나는 누구인가? -착한 목자 예수님-2017.12.12. 대림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2 196
1075 믿음이 답이다 -교회공동체에 뿌리 내린 우리의 믿음-2017.12.11. 대림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1 153
1074 어떻게 주님의 길을 잘 닦을 것인가? -회개, 위로, 기쁨-2017.12.10. 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0 172
1073 약속과 실현 -영원한 구원의 희망이신 주님-2017.12.9. 대림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9 118
1072 동정 마리아는 어떤 분이신가? -정주, 찬미, 순종-2017.12.8. 금요일 한국교회의 원죄없이 잉태되신 동정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12.08 153
1071 누가 진정 슬기로운 수행자修行者인가? -주님 반석 위에 인생집을 짓는 사람-2017.12.7. 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07 153
1070 영원한 위로와 평화의 힘의 원천 -하느님 나라의 꿈과 실현-2017.12.6. 대림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6 243
1069 성령의 내적 혁명가가 됩시다 -유토피아의 실현-2017.12.5. 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5 131
1068 참사람의 본질 -간절하고 겸손한 믿음-2017.12.4. 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4 136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