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8.10. 수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2코린9,6-10 요한12,24-26



                                                                         기쁨과 은총의 삶

                                                                        -섬김과 따름의 삶-


“그 공동체에 모든 것이 다 있었는데 한가지가 없었습니다.”

여러번 인용했던 예화입니다. 수도형제의 말에 즉시 궁금하여 물었습니다.

“그 한 가지가 무엇입니까?”

“기쁨입니다. 다 있는 데 기쁨이 없었습니다.”


공감했습니다. 개인이든 공동체든 재산, 명예, 건강 모두 갖췄는데도 기쁨이 없다면, 희망이 없다면, 평화가 없다면 그 소유들 무슨 쓸모가 있겠는지요. 진정 행복한 내적 부자는 기쁨의 사람, 희망의 사람, 평화의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이웃에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도 이런 기쁨, 희망, 평화일 것입니다. 진정 영적 삶의 표지도 기쁨과 유우머이지 우울함이나 심각함은 아닙니다. 심각함은 하느님께 대한 모독이란 말도 생각이 납니다.


“주님 안에서 늘 기뻐하십시오. 거듭 말합니다. 기뻐하십시오.”(필립4,4).


작년 성탄 때 선물 받아 출입구에 붙여놓은 바오로 사도의 옥중 서간에 나오는 성구입니다. 말 그대로 언제 어디서나 기쁘게 살았던 ‘기쁨의 사도’ 바오로입니다.


“항상 기뻐하십시오.”

고백성사 보속시 말씀의 처방전 가장 많이 써드리는 1테살5,16-18절 까지 말씀 중 맨 첫구절입니다. 오늘 제1독서 사도 바오로의 코린토 2서 말씀을 읽으며 첫 번에 마음에 와닿은 말마디 역시 기쁨이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에게 모든 은총을 넘치게 주실 수 있는 분이십니다. 그리하여 여러분은 언제나 모든 면에서 모든 것을 가져 온갖 선행을 넘치도록 할 수 있게 됩니다.”


얼마나 고무적인 말씀인지요. 모든 것이 은총의 선물입니다. 하느님께 받은 은총이 차고 넘칩니다. 살아있다는 자체가 은총의 선물입니다. 이런 깨달음에서 저절로 솟아나는 감사와 기쁨입니다. 매사 기쁘게 살 수 있고, 기쁘게 줄 수 있는 삶입니다. 가진 것 없어도 이런 기쁨을 지닌 이들이 진정 부자요 자유인입니다. 


얼마 전의 유우머도 잊지 못합니다. 잠시 오전 간식 시간중 하우스에 들리니 일하다 휴식중인 두 자매가 농장 수사님이 준 수박을 먹고 있었습니다. 저도 몇 조각을 먹고 떠나면서 남긴 덕담에 모두 폭소를 터뜨렸습니다.


“‘먹고 싶어서’ 온 것이 아니라 ‘보고 싶어서’ 왔습니다. 또 보고 싶으면 오겠습니다.”


말 한마디 천량 빚을 갚는다 했습니다. 진실한 기쁨이 담긴 생각, 말, 행동 자체가 이웃에게는 참 좋은 선물입니다. 오늘 복음이 기쁨의 삶의 비밀을 보여줍니다. 끊임없이 자기를 비우는 삶입니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끊임없이 사랑의 비움으로 죽는 삶이 열매 풍성한 부활의 기쁜 삶이 되게 합니다. 예수님은 물론이요 제자들의 삶이, 성인들의 삶이 그러했습니다. ‘비움의 여정’은 그대로 ‘기쁨의 여정’이 되었습니다. 


‘이 세상에서 자기 목숨을 미워하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에 이르도록 목숨을 간직할 것이다.’라는 구절이 바로 비움의 여정에 대한 축복을 말해 줍니다. ‘자기집착’이 아닌 ‘자기이탈’에서 오는 참 기쁨입니다. 그러니 우리 삶의 길은 분명해 졌습니다. 주님을 섬기고 따르는, 섬김과 따름의 자기이탈의 삶이 바로 우리 삶의 길입니다.


“누구든지 나를 섬기려면 나를 따라야 한다. 내가 있는 곳에 나를 섬기는 사람도 함께 있을 것이다. 누구든지 나를 섬기면 아버지께서도 그를 존중해 주실 것이다.”


하여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라 정의하는 분도수도공동체입니다. 주님을 따름으로 주님을 섬기는 삶이 바로 기쁨의 원천이요 하느님도 이런 삶을 사랑하고 존중하십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기쁘게, 주님을 잘 따르며 섬기는 삶에 항구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잘되리라, 후하게 꾸어 주고, 자기 일을 바르게 처리하는 이! 그는 언제나 흔들리지 않으리니, 영원히 의인으로 기억되리라.”(시편112,5).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7 우리 삶의 영원한 모범이신 성모 마리아 -성모 마리아 예찬禮讚-2022.12.20.화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22.12.20 343
1426 우리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2017.3.25. 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3.25 203
1425 우리 삶의 중심(中心) -하느님의 아드님, 주 예수 그리스도님-2021.6.30.연중 제3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6.30 126
1424 우리 삶의 중심이신 하느님 -관계의 깊이-2018.12.20.대림 제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20 100
1423 우리 영혼의 본향(本鄕)이신 예수님 -집에서 집을 그리워함- (homesick at home)2024.2.5.월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231-25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2.05 150
1422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 -삶의 목표, 삶의 방향, 삶의 중심, 삶의 의미-2024.1.6.주님 공현 대축일 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1.06 126
1421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왕 -온 누리의 참 임금-2021.11.21. 주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성서주간) 1 프란치스코 2021.11.21 198
1420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오늘 지금 여기-2020.11.12.목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2 84
1419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이다 -하느님 꿈의 현실화-2021.10.18.성 루카 복음 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10.18 132
1418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겨자씨같은 사람, 누룩같은 사람-2021.10.26.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26 169
1417 우리 함께 '믿음의 전사戰士''로 살아갑시다-2016.10.2. 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 프란치스코 2016.10.02 164
1416 우리가 바로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행복은 선택, 천국을 삽시다”-2022.11.10.목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10 256
1415 우리가 하느님의 성전聖殿입니다 -전례와 성전정화-2021.11.19.연중 제3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19 187
1414 우리는 '주님의 종'입니다 -우연偶然이 아니라 섭리攝理입니다-2016.6.24. 금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6.06.24 342
1413 우리는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戰士, 주님의 학인學人, 주님의 형제兄弟- ​​​​​​​2020.1.9.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9 153
1412 우리는 모두 성인입니다 --내 성덕 점수는 얼마나 될까?-2020.11.1.주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01 138
1411 우리는 모두 주님의 '선교사'이다 -사랑, 꿈, 제자, 선교사-2022.10.23.연중 제30주일(전교주일) PACOMIO 2022.10.23 179
1410 우리는 모두 주님의 소작인이다 -착한 소작인의 삶-2023.10.8.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 프란치스코 2023.10.08 213
1409 우리는 모두가 “하느님의 참 좋은 선물”입니다. -욕심없으면 어디나 천국(天國)-2023.12.19.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2.19 144
1408 우리는 언제 ‘너울(veil)’을 벗을까? -주님을 만날 때-2017.8.2. 연중 제17주간 수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02 384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