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8.22. 월요일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2티모1,1-5.11ㄴ-12 마태23,13-22


                                                                              진실과 겸손


오늘 마태복음은 일곱 차례 불행 선언 중 세 차례까지의 불행 선언을 소개합니다. 마태오는 이 단락에서 율사들과 바리사이들을 위선자들이라 낙인찍습니다. 그들이 율법의 세칙들을 곧 잘 지키면서 율법의 기본정신을 망각했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중요한 것이 율법의 기본정신인 사랑을 잊지 않는 것입니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기 때문입니다. 


“불행하여라, 너희 위선자 율법학자들과 바리사이들아!”

“불행하여라, 너희 눈먼 인도자들아!”


여기서 ‘불행하여라’는 말마디는 단순한 저주가 아니라, 예수님의 깊은 아픔, 또는 심판예고로 까지 이어지는 분노를 들어냅니다. ‘행복하여라’로 시작되는 행복선언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불행선언의 대상은 물론 행복선언의 대상도 될 수 있는 두 가능성의 인간입니다. 누구나 혐오하는 사람이 속과 겉이 다른 표리부동의 위선자일 것입니다. 


진실과 겸손의 반대가 거짓과 교만의 위선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진실한 삶이 아닌 위장된 삶의 위선자들입니다. 여기에다 본말전도의 분별력까지 결여된 눈먼 인도자들이라는 비판까지 받게 되니 참 문제의 사람들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소개되는 율사와 바리사이의 불행선언의 내용입니다.


1.하늘나라의 문을 잠가 버리고 자기도 들어가지 않으면서 들어가려는 이들마저 들어가게 놓아두지 않는다. 2.개종자 한 사람이 생기면 갑절이나 못된 지옥의 자식으로 만들어 버린다. 3.제단을 두고 한 맹세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제단 위에 놓인 제물을 두고 한 맹세는 지켜야 한다는 완전히 분별력을 잃은 어리석고 눈먼 인도자들이다. 


위 셋의 불행선언을 보면 어떻게 이렇게 상식을 벗어난 일이 가능할 수 있겠는가 생각이 듭니다만 현실입니다. 생각없이 살다가는 누구나 이렇게 될 수 있음은 작금의 현실을 봐도 짐작이 됩니다. 똑같은 사실을 두고도 양 극단의 관점을 보이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실을 예수님이 예리하게 직시하고 통찰할 수 있음은 바로 그분의 겸손임을 깨닫습니다. 진정 겸손한 자만이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통찰하는 지혜를 지니기 때문입니다. 어제 독서 중 두 대목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어떻게 이 모든 걸 알아냈소? 당신은 악마란 말입니까?”

“나는 인간입니다.”

그는 엄숙하게 대답했다.

“그렇기 때문에 마음속에 모든 악마를 가지고 있지요.”-


바로 이것이 인간입니다. 끊임없이 자기를 비우는 겸손의 수행이 없으면 악마도, 위선자도, 눈먼 인도자도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어 겸손에 관한 설명도 의미심장합니다.


“겸손함은 거인의 어머니입니다. 골짜기에 있는 사람들은 거대한 것을 봅니다. 하지만 정상에 있는 사람들은 작은 것들을 볼뿐이지요.”


마치 복음의 예수님과 율법학자와 바리사이들의 대조같습니다. 겸손으로 내려간 이들은 실상을 정확히 보지만 저 위의 정상에 있는 교만한 이들은 지엽적인 작은 것들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려가야 보이는 삶의 진실이며 바로 겸손한 이들의 특권입니다.


오늘 복음의 분위기가 어둡고 무겁다면 독서의 분위기는 아주 밝고 역동적입니다. 진실과 겸손이 바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복음의 율법학자나 바리사이들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독서의 바오로, 실바누스, 티모테오 그리고 테살로니카 교회의 분위기입니다. 우선 테살로니카 교회에 주님의 은총과 평화를 내리시기를 빈 다음 이어지는 사도의 격려 서간 내용이 참으로 고무적입니다.


“형제 여러분, 우리는 여러분 때문에 늘 하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여러분의 믿음이 크게 자라나고 저마다 서로에게 베푸는 여러분 모두의 사랑이 더욱더 커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여러분이 그 모든 박해와 환난을 겪으면서도 보여 준 인내와 믿음 때문에, 하느님의 여러 교회에서 여러분을 자랑합니다.”


은총, 평화, 감사, 믿음, 사랑, 인내 등 모두 겸손과 관련된 긍정적이고 고무적인 말마디들입니다. 복음의 율법학자들이나 바리사이들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는 박해와 환난을 통해 정화된 믿음과 사랑의 테살로니카 교회의 신도들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의 믿음과 사랑을 북돋아 주시고 거짓되고 위선된 마음을 진실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바꿔 주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7 삶의 중심 -영원한 도반, 주님과의 관계-2022.4.13.성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3 179
2166 삶의 중심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주님-2020.5.8.부활 제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08 135
2165 삶의 중심 -주님과의 만남인 기도-2021.9.1.연중 제22주간 수요일 피조물 보호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9.01 167
2164 삶의 중심 -하느님, 하느님의 나라, 예수님-2018.10.3. 연중 제26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3 113
2163 삶의 중심 -생명의 원천原泉, 생명의 강江-2016.3.8. 사순 제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3.08 226
2162 삶의 중심 -자유, 겸손, 섬김-2017.8.26. 연중 제20주간 토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8.26 113
2161 삶의 중심 -정주定住의 영성-2017.11.28. 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28 217
2160 삶의 중심 -중심, 정주, 성숙-2015.8.17. 연중 제2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8.17 141
2159 삶의 중심 -항구한 기도와 믿음-2017.8.1.화요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 기념일 2 프란치스코 2017.08.01 131
2158 삶의 중심-2015.7.28. 연중 제17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7.28 214
2157 삶의 중심-2015.9.24. 연중 제2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09.24 280
2156 삶의 중심-외딴곳의 기도처(祈禱處)-2015.1.14. 연중 제1주간 수요일(뉴튼수도원 65일째) 프란치스코 2015.01.14 459
2155 삶의 중심; 주 예수님 -구원의 표징, 영광의 표징, 믿음의 표징-2023.1.7.주님 공현 대축일 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1.07 243
2154 삶의 중심中心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입니다”-2018.1.29. 연중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1.29 312
2153 삶의 중심中心 -삶의 허무虛無에 대한 유일한 처방處方-2016.9.22. 연중 제2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9.22 295
2152 삶의 중심中心 -강江과 바다海-2015.9.28. 연중 제2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9.28 192
2151 삶의 중심中心 잡기 -“용기를 내어라.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2020.1.8.주님 공현 대축일 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8 196
2150 삶의 중심과 질서 -기도와 일-2024.1.10.연중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1.10 135
2149 삶의 중심인 예수님 -기본에 충실한 본질적인 삶-2021.9.17.금요일 성녀 힐데가르트 동정 학자(1098-1179)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9.17 139
2148 삶의 중심인 예수님 -사랑하라, 배우라, 실천하라-2023.10.1.연중 제26주일(군인주일) 프란치스코 2023.10.01 220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