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9.6.연중 제23주간 화요일                                                                   1코린6,1-11 루카6,12-19


                                                                      공동생활의 축복祝福

                                                            -빛과 어둠이 공존共存하는 공동체-


공동체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어떤 형태든 공동체에 몸 담고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혼자서는 못삽니다. 고립단절의 순전한 혼자가 바로 지옥입니다. 아무리 튼튼한 하나의 다리로 못 걸어가듯 혼자서의 삶은 불편하기 짝이 없습니다. 불편하더래도 두 발이 있어야 하듯 최소한 둘은 되어야 공동체 삶입니다. 


좋은 공동체에 속해 있는 것보다 큰 축복은 없습니다. 좋은 공동체는 그대로 하느님의 신비입니다. 그러니 공동체를 가꾸고 돌보는 것보다 중요한 일은 없습니다. 서로 돌보고(care), 나누고(share), 섬기고(serve), 떠받쳐주는(support) 공동생활의 노력입니다. 이상적인 엘리트 유토피아 공동체는 환상입니다. 내 몸 담고 있는 현재의 공동체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현실적 지혜입니다. 아주 예전 면담 중 어느 자매와의 문답 내용도 잊지 못합니다.


“서로 미워하고 죄지으면서 함께 사는 것보다 이혼하여 혼자 죄짓지 않고 사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천만에요. 결국은 내가 문제입니다. 죄짓더라도 함께 살아야 구원이지 혼자서는 아무리 잘 살아도 구원받지 못합니다. 우리는 공동체에서 상처도 받지만 위로도, 치유도 받습니다.”


빛과 어둠이 공존하는 공동체입니다. 모두가 건강할 수 없습니다. 모두가 똑똑할 수 없습니다. 모두가 부지런할 수 없습니다. 참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사는 문제 많은 공동체입니다. 오히려 문제 없는 것보다 문제 있는 공동체가 건강한 정상적 공동체입니다. 그러니 상호경쟁, 각자도생이 아닌 상호보완, 상호협력의 공동체가 좋은 공동체입니다.


수도생활 역시 별것이 아닙니다. 저는 항상 수도생활을 세가지로 정의합니다. ‘수도생활은 주님을 중심으로 하여 함께 사는 것이다. 수도생활의 어려움은 함께 사는 것이다. 함께 사는 것이 도닦는 것이다.’ 이렇게 함께 살면서 서로를 알아감으로 둥글둥글 원만해지는 내외적 사랑의 성장과 성숙입니다.


어제에 이어 제1독서는 코린토 교회 공동체의 어둠이 집중적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어제는 코린토 교회 공동체 내의 ‘불륜에 대한 단죄’ 였고, 오늘은 교우끼리의 송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이것이 살아있는 공동체의 현실입니다. 이런 문제의 해결을 통해 성장, 성숙해 가는 공동체입니다. 특히 어제 불륜을 저지른 형제는 공동체에서 내쫓으로라는 구절에 대한 주석을 잊지 못합니다.


‘그러한 자를 사탄에게 넘겨 그 육체는 파멸하게 하고 그 영은 주님의 날에 구원을 받게 한다는 것입니다.’(1코린5,5)


이 구절에 대한 주석입니다. ‘사탄의 힘을 막을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는 공동체에서 내쫓김으로써, 그 죄인은 사탄의 세력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 벌은 치료의 성격을 지닌다. 사탄의 권세 아래에서 고통을 받으면 회개를 하여 주님의 날, 곧 마지막 심판때에 구원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사탄의 힘을 막을 수 있는 힘을 지닌 공동체요 이 공동체에서 벗어날 때 사탄의 세력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입니다. 바로 살아계신 주님께서 공동체의 중심에 현존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공동체에 속해 있는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공동체에서 벗어나는 것이 얼마나 위태로운지 깨닫습니다. 


교회 공동체를 오염시키고 파괴시키는 어제의 불륜에 이어 오늘은 교우들의 송사에 관한 것입니다. 웬만하면 세상 법정에 가지 말고 좀 손해를 보더라도 자체적으로 성도聖徒답게 조용히 지혜롭게 해결하라는 강력한 권고입니다. 이 모두가 사탄의 유혹에 빠진 결과입니다. 공동체 밖은 물론이고 공동체내에서도 사탄의 유혹은 끝이 없습니다.


이래서 분도 수도회의 모토인 ‘기도하고 일하라’입니다. 공동체의 하느님 중심의 일치에 기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한 것이 기도입니다. 한결같은 항구한 공동기도가 공동체는 물론 개인을 사탄의 유혹에서, 분열의 유혹에서 구원해 줍니다. 기도할 때는 찬미 감사이지만 기도하지 않을 때에는 불평 불만입니다.


바로 오늘 복음의 예수님이 기도의 모범입니다. 산으로 나가시어 밤을 새우며 하느님께 기도하신후 날이 새자 제자들을 부르시어 그들 가운데에서 열둘을 뽑아 사도라 부르십니다. 열두 사도는 순전히 주님의 기도의 열매입니다. 열두 사도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주님이십니다. 


이어 예수님을 중심으로 무수한 이들이 모여들었으니 예수님의 말씀도 듣고 질병도 고치려고 온 사람들이었습니다. 하여 더러운 영들에게 시달리는 이들은 낫게 되고 예수님께 손을 댄 이들은 모두 그분에게서 나온 힘으로 고침받았다 합니다. 이 모두가 기도의 힘, 하느님의 힘임을 깨닫습니다. 그대로 오늘 복음은 미사장면을 상징하는 듯 합니다. 


주님을 중심으로 모여 함께 기도할 때 평화와 기쁨, 위로와 치유의 선물입니다. 좋은 미사가 좋은 공동체를 만들어 주고, 좋은 공동체에 속한 것보다 큰 축복은 없습니다. 인간은 약하나 하느님은 강하십니다. 사실 한없이 약하고 부족한 우리 수도공동체가 이렇게 내외적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음은 순전히 하느님의 은총임을 깨닫습니다. 다음 제1독서의 마지막 바오로 사도의 말씀은 그대로 우리 모두를 향한 미사은총을 가리킵니다.


“여러분은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우리 하느님의 영으로 깨끗이 씻겨졌습니다. 그리고 거룩하게 되었고 또 의롭게 되었습니다.”(1코린6,11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7 슬기로운 삶-2016.11.2. 위령의 날 (All souls) 프란치스코 2016.11.02 119
666 희망성월-우리는 모두 성인들입니다-2016.11.1. 화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11.01 240
665 그리스도 중심의 삶-2016.10.31. 연중 제3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0.31 104
664 하느님의 기쁨 -오, 하나하나의 사람! -하느님 그대의 자랑이듯이 그대 하느님의 자랑이어라-2016.10.30. 연중 제31주일 프란치스코 2016.10.30 309
663 무아無我의 삶-자유인自由人의 삶-2016.10.29. 연중 제30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9 98
662 기도의 힘-2016.10.28. 금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6.10.28 161
661 영적전쟁-주님의 전사戰士-2016.10.27.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7 135
660 “아, 여기가 천국이구나!” -구원의 좁은 문-2016.10.26. 연중 제3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6 142
659 하느님의 나라 -하늘과 산-2016.10.25.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5 116
658 귀가歸家준비 -기도의 계절, 자비의 계절-2016.10.24.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4 143
657 복음선포의 삶 -그리스도 닮기-2016.10.23. 연중 제30주일(민족들의 복음화를 위한 미사) 프란치스코 2016.10.23 108
656 회개의 여정 -사랑의 성장-2016.10.22. 연중 제2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2 113
655 한계限界의 영성 -지옥에는 한계가 없다-2016.10.21.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1 150
654 예언자 예수님의 고뇌-하늘 나라 비전-2016.10.20. 연중 제29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10.20 203
653 깨어있으라 -늘 새로운 시작-2016.10.19. 연중 제29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0.19 139
652 믿음이 답이다-믿음의 영약靈藥-2016.10.18. 화요일 성 루카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16.10.18 178
651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늘에 보물을 쌓는 삶-2016.10.17. 월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11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17 143
650 하느님의 쌍지팡이 -낙심하지 말고 끊임없이 기도하라-2016.10.16. 연중 제29주일 프란치스코 2016.10.16 348
649 무슨 맛으로 삽니까? -영적 삶이냐 육적 삶이냐?-2016.10.15. 토요일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515-158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0.15 125
648 그리스도께 희망을 두라 -하느님의 영광을 찬양하는 삶-2016.10.14. 연중 제2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0.14 183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