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12. 연중 제28주간  수요일                                                                 갈라5,18-25 루카11,42-46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은총이자 선택이다.

                                                                           -성령에 따른 삶-


어제는 그리스도인의 자유를 주제로 한 강론이었고, 오늘 강론 주제는 자유의 내용이 되겠습니다. 결국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은총이자 선택이라는 것입니다. 자유인이냐 종살이의 삶이냐, 성령에 따른 삶이냐 육에 따른 삶이냐 모두 우리의 가능성이라는 것입니다. 성령에 따라 살 때 성령의 열매요 자유인의 매력적인 삶입니다. 바로 다음 성령의 열매는 그리스도인의 자유의 내용을 밝혀줍니다. 


“성령의 열매는 사랑, 기쁨, 평화, 인내, 호의, 선의, 성실, 온유, 절제입니다. 이러한 것들을 막는 법은 없습니다.”


순전히 은총의 선물이자 성령에 따른 삶을 선택한 결과입니다. 육의 행실이 아니라 성령의 열매입니다. 결코 인간이 성취한 업적이 아니라 그리스도께 속할 때 성령의 선물입니다. 바오로 사도에게 도덕은 ‘덕virtue’이 라기 보다는 ‘생명력vitality’입니다. 그것은 부활하신 그리스도 예수님의 생명의 나눔에서 오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그리스도인의 자유의 정체입니다.


자신의 내적자유의 상태를 점검해볼 수 있는 항목입니다. 한 번 자신의 내적자유 상태가 어느 수준인지 한 번 점수를 계산해 보기 바랍니다. 100점 만점에 기본 점수 10점에다 ‘사랑, 기쁨, 평화, 인내, 호의, 선의, 성실, 온유, 절제’ 9개 항목을 각각 10점 만점으로 하여 계산해 보면 나의 내적자유의 수준을 대강 헤아려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성령에 따라 살아감으로 그리스도 예수님과 일치가 깊어질 때 더불어 성장, 성숙되는 내적자유임을 깨닫습니다. 이런 성령의 열매를 맺는 삶이 진정 자유인의 삶이요 진짜 살아있는 삶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래야 행복이요 자유인의 삶입니다. 


이와 반대가 육적 삶에 따른 육의 행실입니다. 성령에 따른 삶이 빛이라면 육에 따른 삶은 어둠입니다. 빛과 어둠이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천국과 지옥, 두 가능성의 인간 존재임을 깨닫습니다. 


“육의 행실은 자명합니다. 그것은 곧 불륜, 더러움, 방탕, 우상 숭배, 마술, 적개심, 분쟁, 시기, 격분, 이기심, 분열, 분파, 질투, 만취, 흥청대는 술판, 그밖에 비슷한 것들입니다.”


이 또한 우리 인간의 부정적 어둔 현실입니다. 성령의 열매가 9가지인 반면 육의 행실의 항목을 보니 15가지입니다. 성령에 따른 삶에 항구하지 않을 때 늘 상존하는 육적 삶의 유혹입니다. 


이런 삶이 바로 육정에 따른 종살이의 삶이요 존엄한 인간품위를 상실한 삶입니다. 결코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바오로 사도는 이런 짓을 저지르는 자들은 하느님의 나라를 차지하지 못할 것이라 단언합니다. 바로 이런 이들이 회개가 절실한 회개의 대상이요 오늘 복음의 바리사이가 이에 속합니다. 


주님은 육에 따른 삶을 사는 바리사이들에 대해 불행을 선언하십니다. 바리사이에 이어 율법교사도 불행선언의 대상이 됩니다. 주님은 불행선언의 내용을 반면교사로 삼아 우리 모두 회개할 것을 촉구하십니다.


1.십일조는 꼬박 바치면서 의로움과 하느님 사랑을 소홀히 하는 바리사이의 분별력의 결여가 불행의 원인임을 밝힙니다. 십일조는 물론 의로움과 하느님 사랑도 실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회당에서는 윗자리, 장터에서는 인사받기를 좋아하는 바리사이의 외적 허영의 삶이 불행의 원인입니다.

3.드러나지 않는 무덤과 같은 바리사이의 삶이 불행하다는 것입니다. ‘드러나지 않는 무덤’이라는 말씀은 그들이 드러나지 않게 사람들을 부정하게 만드는 존재라는 것입니다.

4.율법교사에 대한 불행선언은 힘겨운 짐을 사람들에게 지워 놓고 자신들은 그 짐에 손가락 하나 대려고 하지 않는 위선적, 이기적 삶이 그 원인입니다.


이런 육적 삶 역시 우리 모두의 가능성입니다. 하여 끊임없는 회개로 성령에 따른 삶으로의 방향전환이 절실합니다. 성령에 따른 자유인의 삶은 은총이면서 의지적 선택의 결단임을 깨닫게 됩니다. 바오로 사도의 단호한 말씀이 오늘 강론의 결론입니다. 


“그리스도 예수님께 속한 이들은 자기 육을 그 욕정과 욕망과 함께 십자가에 못박았습니다. 우리는 성령으로 사는 사람들이므로 성령을 따라 갑시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성령에 따라 자유인의 삶을 살려는 우리 모두에게 9가지 성령의 풍성한 열매를 선물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7 대림待臨의 기쁨-내적혁명-2016.12.11. 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16.12.11 181
706 나의 멘토는 누구인가?-네적시야內的視野의 심화深化와 확장擴張-2016,12,10 대림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2.10 160
705 말씀의 수행자修行者-‘평화가 강물처럼, 의로움이 바다 물결처럼’-2016.12.9. 대림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9 104
704 “너 어디 있느냐?”-“예, 여기 있습니다”-2016.12.8. 목요일 한국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12.08 192
703 위로하여라, 나의 백성을!-우리를 언제나 환대歡待하시는 하느님-2016.12.7. 수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2.07 218
702 가장 아름다운 섬-그래도-2016.12.6. 대림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6 155
701 우리를 찾아 오시는 하느님-하느님 찬양讚揚의 삶-2016.12.5. 대림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5 167
700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회개, 겸손, 정의, 평화-2016.12.4. 대림 제2주일(인권 주일, 사회 교리 주간) 프란치스코 2016.12.04 148
699 복음 선포의 사명-세상의 중심, 세상의 빛-2016.12.3. 토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축일 프란치스코 2016.12.03 161
698 주님과의 만남-주님은 나의 빛, 나의 구원이시다-2016.12.2. 대림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2 191
697 반석위에 인생집-기본에 충실하고 항구한 삶-2016.12.1. 대림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1 103
696 버림, 떠남, 따름의 여정旅程-착한 목자 이형우 시몬 베드로 아빠스를 추모追慕하며-2016.11.30. 수요일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6.11.30 207
695 ‘하느님의 꿈’의 현실화-오늘이 바로 그날이다-2016.11.29. 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9 207
694 꿈의 현실화現實化-오늘이 그날이다-2016.11.28. 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8 218
693 사랑의 기적-2016.11.27.. 대림 제1주일 석진호 발렌티노 형제와 홍신실 루시아 자매의 혼인미사 프란치스코 2016.11.27 397
692 주님의 빛 속에 걸어가자!-평화의 길-2016.11.27. 대림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16.11.27 235
691 복락원復樂園-해피엔드 happy end-2016.11.26. 연중 제3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6 131
690 때를 아는 지혜知慧-지금이 바로 그때이다-2016.11.25. 연중 제3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5 125
689 하느님의 시야視野-허리를 펴고 머리를 들어라-2016.11.24. 목요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8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24 146
688 감사의 노래를-파스카의 주님과 함께-2016.11.23.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11.23 156
Board Pagination Prev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