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2.27. 화요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축일                                                                 1요한1,1-4 요한20,2-8



'생명의 말씀'이신 그리스도

-충만한 기쁨-



오늘 복음도 아름답고 제1독서인 요한1서도 아름답습니다. 주간 첫날 ‘사도들의 사도’라는 마리아 막달레나는 빈무덤의 소식을 시몬 베드로와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다른 제자에게 달려가서 전합니다. 전자는 예수님의 수제자이고 후자는 예수님의 애제자입니다. 소식을 전해 들은 둘은 쏜살같이 무덤을 향해 달려갑니다. 얼마나 아름다운 정경의 묘사인지요.


‘두 사람은 함께 달렸는데, 다른 제자가 베드로보다 빨리 달려 무덤에 먼저 다다랐다.’


사랑의 우월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그만큼 애제자의 예수님 사랑이 절실했기에 수제자를 앞섰다는 것입니다. 먼저 도착한 애제자이지만 수제자에게 무덤에 들어갈 우선권을 줍니다. 이런 공동체의 질서있는 모습 또한 아름답습니다. 뒤따라온 시몬 베드로가 먼저 무덤에 들어가 아마포가 놓여 있는 것을 봅니다.


‘예수님의 얼굴을 쌌던 수건은 아마포와 함께 놓여 있지 않고, 따로 한곳에 개켜져 있었다.’


이 빈무덤의 묘사가 얼마나 깊은 뜻을 암시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수제자 베드로는 이것을 보았어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사랑의 애제자 요한은 달랐습니다. 사랑하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안다는 말도 있습니다. 요한의 ‘사랑의 눈’은 빈무덤을 보는 순간 전광석화電光石火, 보고 믿었습니다. 보는 순간 예수님의 부활을 알았고 믿었다는 것입니다. ‘봤다-알았다-믿었다’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심오한 해석을 소개합니다.


애제자는 무엇을 보았습니까? 베들레헴의 동굴이 아니라 빈무덤입니다. 애제자는 아기 예수님을 싼 강보가 아닌 잘 개켜져 있는 아마포와 수건이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계시된 생명의 말씀을 선포하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이어지는 해석도 참 심오합니다.


-애제자는 예수님의 얼굴을 가렸던 수건이 한곳에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을 보는 순간, 그것은 그에게 모든 것을 말해 주었다. 그 수건은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하느님을 뵙고 내려 왔을 때, 바로 모세의 얼굴을 가렸던 수건과 똑같은 것임을 알았다. 하느님의 얼굴을 대면한 다음, 모세의 얼굴은 너무 빛나서, 수건으로 가려야만 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은 모세를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황은 반전된다. 


이 수건은 ‘예수님 인성의 베일(the veil of Jesus’humanity)’을 상징한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인성의 베일을 하셨기에 하느님의 아드님을 직접 뵐 수 있는 것이 가능했다. 이제 예수님은 직접 그분의 아버지를 뵙게 되었고 다시는 수건을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 바로 애제자는 그의 스승이 부활하여 아버지께 돌아가셨음을 알았고 믿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베드로는 이것을 볼 수 없었다. 오직 주님께 사랑받던 애제자만이 이것을 분별해낼 수 있었다.- 


바로 이렇게 예수님을 통해 생명의 신비, 말씀의 신비를 깊이 깨달은 애제자 사도 요한이 우리에게 생명의 말씀을 선포합니다. 우리의 가톨릭 교회공동체가 실로 사도적임을 깨닫게 됩니다. 실제로 생명의 말씀을 들었고, 보았고, 만져봤던 사도들의 믿을만한 증거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애제자 요한의 생명의 말씀이신 그리스도 예수님께 대한 선포는 얼마나 아름답고 장엄한지요. 흡사 시공을 초월하여 미사에 참석한 우리 모두를 향한 말씀 같습니다. 성탄시기에 참 적절합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처음부터 있어 온 것, 우리가 들은 것, 우리 눈으로 본 것, 우리가 살펴보고 우리 손으로 만져 본 것, 이 생명의 말씀에 관하여 말하고자 합니다. 그 생명이 나타나셨습니다. 우리가 그 생명을 보고 증언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에게 그 영원한 생명을 선포합니다. 영원한 생명은 아버지와 함께 계시다가 우리에게 나타나셨습니다.”


그대로 성탄의 의미가 고스란히 계시되고 있지 않습니까? 바로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에게 나타나신 영원한 생명의 말씀이신 그리스도 예수님을 모시는 우리들이요, 시공을 초월하여 사도들과 함께 아버지와 그 아드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와 친교를 나눔으로 기쁨 충만한 삶을 살게 된 우리들입니다.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네. 그분의 충만함에서 우리 모두 은총에 은총을 받았네.”(요한1,14.16).


“의인에게는 빛이 내리고, 마음 바른 이에게는 기쁨이 쏟아진다. 의인들아, 주님 안에서 기뻐하여라. 거룩하신 그 이름 찬송하여라.”(시편97,11-1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7 만남의 기쁨, 만남의 여정 -도반道伴과의 만남-2021.12.19. 대림 제4주일 1 프란치스코 2021.12.19 133
766 마지막 유언 -섬기는 사람이 되어라-2018.9.3. 월요일 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 학자(540-604)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09.03 207
765 마음의 순수를 지니기 위한 방법 -사랑, 정주, 찬미-2016.6.4. 토요일 티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6.04 206
764 마음의 순수純粹-사랑, 기도, 회개, 깨어있음-2016.2.19. 사순 제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2.19 226
763 마음의 순수 -성모 성심의 사랑-2018.6.9.토요일 티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6.09 228
762 마음의 순결-2015.2.27. 사순 제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5.02.27 248
761 마음의 병의 치유와 구원 -주님과의 만남; 기도와 믿음-2020.12.4.대림 제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04 105
760 마음의 병病과 죄罪 -예방豫防과 치유治癒-2016.2.3. 연중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2.03 210
759 마음의 눈 -사랑, 봄, 앎-2018.4.30. 부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8.04.30 159
758 루멘 체치스!(Lumen Caecis;눈 먼이에게 빛을!) -개안開眼의 여정, 사랑의 여정-2023.12.13.수요일 우리 연합회의 수호자 성녀 오딜리아 동정 대축일 이사35,1-4ㄷ.5-6.10 1코린1,26-31 루카11,33-36 프란치스코 2023.12.13 150
757 로고스(말씀) 찬미가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2022.12.25.주일 주님 성탄 대축일 낮미사 프란치스코 2022.12.25 199
756 렉시오 디비나의 생활화 -풍요로운 영적 삶-2020.6.5.금요일 성 보니파시오 주교 순교자(675-75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6.05 133
755 또 하나의 ‘라자로’인 우리를 살리시는 예수님 -“라자로야, 이리 나와라.”-2020.3.29.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29 186
754 떠남이 답이다 -멈춤, 만남, 떠남-2017.3.12. 사순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03.12 107
753 떠남의 여정-2016.2.4. 연중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2.04 161
752 떠남의 여정- 2015.2.5. 목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 3 프란치스코 2015.02.04 748
751 떠남의 여정, 파스카 여정 -만남, 축복, 도반, 약속, 말씀, 떠남-2020.3.8.사순 제2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3.08 157
750 떠남의 여정, 떠남의 기쁨 -늘 말씀과 함께-2019.10.3. 연중 제26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03 186
749 떠남의 여정, 귀가歸家의 여정, 파스카의 여정 -성 베네딕도 예찬禮讚- 2020.3.21.토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 별세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21 285
748 떠남의 여정 -파스카의 삶, 파스카의 꽃, 주님의 전사-2023.10.3.연중 제26주간 화요일(개천절) 프란치스코 2023.10.03 209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