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2.2. 목요일 주님 봉헌 축일(봉헌생활의 날)                                                          말라3,1-4 루카2,22-40



봉헌奉獻이 허무虛無에 대한 답이다

-봉헌의 축복祝福-



‘봉헌이 허무에 대한 답이다.’ 말씀 묵상 중 떠오른 오늘 강론 제목입니다. 봉헌 말고 허무에 대한 다른 답은 없습니다. 빛이 어둠에 대한 답이듯이 봉헌이 허무에 대한 답입니다. 결국 적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안에 있습니다. 내가 싸워야 할 궁극의 적은 나입니다. 나와의 싸움에 봉헌보다 더 좋은 무기도 없습니다. 하루하루 날마다 새롭게 자신을 주님께 봉헌할 때 나와의 싸움에서도 승리입니다.


오늘은 주님 봉헌 축일입니다. 영어로는 ‘Presentation of the Lord’인데 우리의 ‘봉헌’이란 말마디의 느낌을 맛볼 수 없습니다. 봉헌의 사랑, 봉헌의 기쁨, 봉헌의 축복, 봉헌의 아름다움, 봉헌의 거룩함입니다. 봉헌은 믿는 이들의 삶의 의미입니다. 봉헌은 우리 삶의 모두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세상에 봉헌보다 아름다운 말마디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오늘 복음의 등장 인물들은 모두가 봉헌생활의 모범입니다. 예수님의 부모는 아기를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올라가 주님께 봉헌합니다. 주님의 율법에 ‘태를 열고 나온 사내 아이는 모두 주님께 봉헌해야 한다.’ 기록된 대로 봉헌을 실천하는 예수님의 부모입니다. 예수의 부모인 요셉, 마리아 역시 아기와 함께 자신을 봉헌하는 경건한 심정이었을 것입니다.


시메온 노인 역시 봉헌생활의 모범입니다. 그는 의롭고 독실하며 이스라엘이 위로받을 때를 기다리는 이였고, 성령께서 늘 그 위에 머물러 계셨다 합니다. 봉헌생활에 충실하고 항구한 이에게 늘 함께 하는 주님의 성령이요 축복임을 깨닫습니다. 마침내 봉헌의 사람인 시메온은 ‘너희가 찾던 주님, 그가 홀연히 자기 성전으로 오리라.’ 그대로 말라키 예언대로 성전에서 봉헌되는 아기 예수님을 만나 두 팔에 받아 안고 하느님을 찬미합니다. 


 “주님, 이제야 말씀하신 대로 당신 종을 평화로이 떠나게 해 주셨습니다.

  제 눈이 당신의 구원을 본 것입니다.

  이는 당신께서 모든 민족들 앞에서 마련하신 것으로

  다른 민족들에게는 계시의 빛이며, 당신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입니다.”


끝기도를 마치며 바치는 그 유명한 ‘시메온의 노래’입니다. 이 찬미가를 마치면 장상의 강복을 받고 하루를 끝내고 시메온처럼 평화로운 마음으로 잠자리에 듭니다. 장상의 강복의 기도 역시 아름답습니다.


"전능하시고 자비하신 천주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이 밤을 편히 쉬게 하시고 거룩한 죽음을 맞게 하소서."


바로 하루 봉헌생활을 마감하면서 바치는 참 아름다운 시메온의 노래입니다. 날마다 하루를 마치며 바치는 시메온 노래와 장상의 강복 기도의 은총이 분명 언젠가 아름다운 선종善終의 죽음을 맞이하게 할 것입니다. 시메온은 예수님의 부모를 축복하고, 아기 어머니 마리아에게 봉헌되는 아기 예수 아기에 대한 미래 모습을 알려 줍니다.


“보십시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


봉헌의 기쁨만 있는 게 아니라 봉헌의 아픔도 있습니다. 마리아뿐만 아니라 수도자들은 물론 봉헌의 삶을 사는 모든 믿는 이들이 겪는 봉헌의 기쁨이자 봉헌의 아픔입니다. 봉헌의 아픔을 압도하는 봉헌의 기쁨이 삶의 허무를 몰아내 날마다 생명의 빛 넘치는 삶을 살게 합니다. 나와의 싸움에 지칠줄 모르는 내적힘을 제공해 줍니다. 봉헌의 기쁨과 아픔의 삶의 리듬중에 날로 깊어져 주님을 닮아가는 우리의 삶입니다.


시메온에 이은 한나라는 예언자 역시 봉헌생활에 항구하고 충실했던 결과 성전에서 봉헌되는 아기 예수님을 만나는 축복을 누립니다. 여든 네 살이 되도록 과부로 지내면서, 성전을 떠나는 일 없이 단식하고 기도하며 밤낮으로 하느님을 섬겼다 합니다. 마침내 아기 예수님을 만난 한나는 하느님께 감사드리며, 예루살렘의 속량을 기다리는 모든 이에게 예수 아기의 소식을 전합니다. 


하느님을 찬미하는 시메온과 하느님께 감사드리는 두 '정주定住의 대가大家', 봉헌의 노인들이 참 아름다운 조화를 이룹니다. 새삼 하느님 찬미와 하느님 감사는 봉헌생활의 두 핵심 요소임을 깨닫습니다. 하루하루 날마다 찬미와 감사의 시편성무일도와 미사를 통해 봉헌의 삶을 새롭게 하는 우리 수도자들입니다.


“그는 은 제련사와 정련사처럼 앉아, 레위의 자손들을 깨끗하게 하고, 그들을 금과 은처럼 정련하여, 주님에게 의로운 제물을 바치게 하리라.”(말라3,3).


말라키 예언자의 말씀처럼,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를 깨끗하게 하시고 금과 은처럼 정련하여 당신 마음에 드는 참 좋은 의로운 제물을 바치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7 순수한 마음 -“주님, 순수의 길로 저를 이끌어 주소서.”-2017.11.13. 연중 제3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3 163
1046 슬기로운 사람들 -찬미, 희망, 깨어있음, 말씀실행-2017.11.12. 연중 제32주일 프란치스코 2017.11.12 146
1045 최후의 심판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2017.11.11. 토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7-397)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11 218
1044 인생은 아름다워라(Life is beautiful)! -신속한 분별, 지체없는 회개-2017.11.10. 금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10 144
1043 성전 정화 -성체성사의 은혜-2017.11.9. 목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09 119
1042 예수님의 참 제자가 되고 싶습니까? -사랑밖엔 길이 없습니다-2017.11.8. 연중 제3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8 143
1041 하느님 나라의 현실화 -그리스도인의 생활규범 실천-2017.11.7.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7 193
1040 초월超越과 내재內在의 하느님 -오, 하느님의 풍요와 지혜와 지식의 깊이여!-2017.11.6. 연중 제3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6 117
1039 참으로 살고 싶습니까?-2017.11.5. 연중 제31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1.05 99
1038 누가 겸손한 사람인가?-겸손예찬-2017.11.4. 토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04 106
1037 우리의 우선적 영적 의무 -하느님 사랑의 찬미-2017.11.3. 연중 제3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1.03 238
1036 연옥에서 천국을 사는 사람들 -온유와 겸손-2017.11.2. 목요일 위령의 날 1 프란치스코 2017.11.02 153
1035 우리 삶의 궁극 목표 -성인이 되는 것-2017.11.1. 수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11.01 258
1034 희망이 답이다 -끝까지 잡아야 할 희망의 끈, 하느님-2017.10.31.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31 120
1033 살아계신 주님과의 만남 -치유와 자유, 찬양과 기쁨-2017.10.30.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30 141
1032 사랑이 답이다 -인생은 ‘사랑의 학교’이다-2017.10.29. 연중 제30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0.29 147
1031 기도가 답이다 -기도와 교회 공동체-2017.10.28. 토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7.10.28 137
1030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이 답이다 -분별력의 은총-2017.10.27.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0.27 142
1029 참 사랑의 불, 참 평화의 길 -우리와 영원히 함께 하시는 파스카의 주님-2017.10.26. 연중 제2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26 136
1028 귀가歸家 준비 -“환영합니다”, “하루하루 삽시다”-2017.10.25. 연중 제29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0.25 119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