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3.25. 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이사7,10-14;8.10ㄷ 히브10,4-10 루카1,26-38



우리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



사순시기 대축일의 배치가 참 절묘합니다. 이동 경축으로 3월20일 요셉 대축일을 지낸후 오늘 3월25일은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입니다. 십자가의 여정 중에 오아시스 쉼터와 같은 대축일입니다. 요셉 대축일의 주인공이 요셉이었다면 오늘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의 주인공은 마리아입니다.두 분 다 주님께 무한한 신뢰를 받았던 분이십니다. 오늘 복음 서두의 말씀이 감동적입니다. 하느님께서 주도권을 잡고 겸손히 활동하시는 모습입니다.


‘하느님께서는 가브리엘 천사를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이라는 고을로 보내시어, 다윗 집안의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를 찾아가게 하셨다.’(루카1,26-27).


요셉대축일 복음에서 친히 요셉을 찾았던 주님의 천사가 이번에는 하느님의 심부름으로 마리아를 찾습니다. 주님은 참 겸손하고 부지런하십니다. 주님의 천사와 마리아의 만남은 그대로 주님과의 만남을 상징합니다. 마리아를 향한 가브리엘 천사의 전갈이 참 은혜롭습니다.


1.“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께서 너와 함께 계신다.”(루카1,28).


제가 고백성사 보속으로 가장 많이 써드리는 말씀 처방전 구절로 모두가 좋아합니다. 주님과의 만남을 통해 축복 받은 존재임을 깨닫는 마리아입니다. 바로 우리가 잊고 지내는 우리의 진면목입니다. 마리아는 물론이고 세례 받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 하나하나의 존귀한 신원을 가리킵니다. 우리 모두 은총이 가득한 이들이여, 주님 또한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것입니다. 얼마나 놀라운 축복인지요. 매일 미사를 통해 깨닫는 진리입니다. 


이어지는 대목에서 마리아의 관상적 면모가 잘 들어납니다. 마리아는 몹시 놀랐지만 이 인사말이 무슨 뜻인가 하고 곰곰이 생각하였다 합니다. 마리아의 주님 말씀에 활짝 깨어 열려있는 깊은 침묵이 인상적입니다. 바로 마리아의 이런 면이 하느님의 총애를 받기에 합당한 모습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의 천사와 마리아의 주고 받는 대화가 참 흥미진진합니다. 이런 일련의 주고 받는 대화의 기도를 통해서 마리아의 내적 삶의 깊이가 얼마나 깊은지 깨닫습니다. 이렇게 마리아와 대화하면서도 주님은 내심 조마조마하셨을 것입니다. 일방적으로 일하시는 주님이 아니라 마리아의 자발적 응답을 통해서만 일하시는 주님이기 때문입니다. 다음 마리아의 응답은 오늘 복음의 절정입니다.


2.“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1,38).


아, 마침내 삶의 의미를 발견한 마리아입니다. 마리아의 이 응답이 나오기전 온 우주가 쥐죽은 듯 고요했다는 어디선가 읽은 아오스팅 성인의 주석도 생각납니다. 마리아의 ‘예스Yes’의 응답에 세상 구원 역사의 성패가 달렸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역사적인, 인류역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된 복된 사건입니다. 마리아의 응답이 있었기에 주님의 구원역사도 차질없이 펼쳐질 수 있게 되었으니 하느님도 마리아가 참으로 고마웠을 것입니다. 어느 학자는 이런 마리아를 일컬어 우리가 하느님께 내보일 수 있는 ‘인류의 자부심’이라 했습니다. 


우리가 자주 바치는 삼종기도는 바로 오늘 복음에 근거합니다. 마리아의 응답을 통해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졌듯이 우리를 통해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하며 바치는 삼종기도입니다. 마침내 마리아의 순종을 통해서 오늘 제1독서 이사야의 예언이 완전히 실현됨을 봅니다.


“보십시오. 젊은 여인이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할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와 함께 계시기 때문입니다.”(이사7,14ㄴ.10ㄷ).


마리아의 순종의 응답을 통해 하느님께서 주신 최고의 선물 임마누엘 하느님이신 예수님과 영원히 함께 살게 된 우리들입니다. 마리아 성모님을 그대로 닮은 예수님의 순종의 고백도 마리아 성모님의 고백과 일맥상통합니다. 히브리서의 예수님은 시편을 인용해 고백합니다. 바로 오늘 화답송 후렴입니다.


3.“주님, 보소서, 당신 뜻을 이루려 제가 왔나이다.”(시편40,8ㄴ.9ㄱ).


바로 주님께서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평생 화두로 삼아야 할 말씀입니다. 이 ‘뜻’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단 한 번 바쳐짐으로써 우리 모두는 거룩하게 되었고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체험하는 진리입니다. 


예수님은 우리 삶의 원형이자 모범입니다. 바로 예수님처럼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이 우리 삶의 의미이자 목표임을 깨닫습니다.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에 주님께서 우리 모두에게 일깨워 주신 참 귀한 진리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당신 천사를 통해 우리 각자에게 말씀하십니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께서 너와 함께 계신다.”(루카1,28).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7 희망이 최고의 명약이다 -우연은 없다-2019.1.17.목요일 성 안토니오 아빠스(251-35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1.17 144
3446 희망이 최고의 명약名藥이다 -희망과 구원의 하느님-2018.12.5.대림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05 145
3445 희망이 답이다 -우리의 희망이자 기쁨인 그리스도-2017.9.13. 수요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344/49-40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13 173
3444 희망이 답이다 -끝까지 잡아야 할 희망의 끈, 하느님-2017.10.31.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31 120
3443 희망의 여정 -희망의 표징, 회개의 표징-2023.9.30.토요일 성 예로니모 사제 학자(347-42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9.30 228
3442 희망의 여정 -죽음은 새로운 삶의 시작-2023.11.25.연중 제3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5 147
3441 희망의 여정 -우리는 모두 희망의 순례자입니다-2021.12.1.대림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2.01 164
3440 희망의 여정 -영원한 희망의 도반道伴이신 주 예수님-2022.7.16.연중 제1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7.16 183
3439 희망의 선물-하느님의 나라-2015.11.27. 연중 제3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1.27 358
3438 희망의 사람 -우리는 희망으로 구원을 받았습니다-2015.10.27.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7 239
3437 희망의 빛, 부활의 희망, 희망의 천국 -“죽음은 새 새명의 시작입니다”-2021.11.20.연중 제3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20 171
3436 희망성월-우리는 모두 성인들입니다-2016.11.1. 화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11.01 240
3435 희망과 기쁨의 표지-성모 마리아-2015.8.15. 토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8.15 454
3434 희망과 기쁨-2016.5.23. 연중 제8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5.23 223
3433 희망과 기쁨, 위로와 치유, 구원의 복음 -대림시기 주님의 명령-2019.12.10.대림 제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2.10 222
3432 희망과 기쁨 -늘 새로운 시작-2021.12.17.금요일 12월17일 1 프란치스코 2021.12.17 158
3431 희년禧年의 영성 -하느님이 답이다. 다시 하느님께 희망을-2015.8.1. 토요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8.01 363
3430 희년禧年의 비전과 영성의 실현 -하늘 나라-2017.8.5. 연중 제1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8.05 125
3429 희년(禧年)의 영성 -인간의 해방, 경제적 해방, 생태적 해방-2023.8.5.연중 제17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05 329
3428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 -하느님의 소망所望이자 우리 삶의 궁극 목표目標-2021.6.15.연중 제1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6.15 11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