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8.12. 연중 제18주간 토요일                                                                                신명6,4-13 마태17,14ㄴ-20



사랑의 수행修行과 믿음

-하느님 맛, 세상 맛-



수도원을 찾는 분들이 간혹 묻습니다.

“수사님은 수도원에서 무슨 맛으로 살아갑니까?”

저는 즉각 대답합니다.

“하느님 맛으로 살아갑니다. 세상 맛이 아니라 하느님 맛으로!”


마음의 병중 으뜸이 하느님을 모르는 무지의 병입니다. 무지의 병의 치유에 하느님 사랑보다 더 좋은 약은 없습니다. 부단한 하느님 사랑 고백과 실천을 통해 하느님과 더불어 나 자신도 점차 깊이 깨달아 알아 감으로 무지에서 벗어나 믿음도 깊어지기 때문입니다. 공부중에 평생공부가 하느님 사랑 공부입니다. 하여 분도수도승들을 일컬어 하느님을 찾는 사람들이라 합니다.


오늘 ‘들어라, 이스라엘아!’로 시작하는 이스라엘 전통 신앙 고백문의 첫마디를 들으니 분도규칙서 첫마디 ‘들어라, 아들아!’가 생각납니다. 잘 들어 마음에 깊이 새겨 기억하는 것이 영성생활에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잘 듣기 위한 침묵이요 잘 들어야 저절로 순종과 겸손도 뒤 따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주일과 대축일 제1끝기도’때마다 바치는 오늘의 신명기 독서입니다.


“이스라엘아, 들어라!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신 주님이시다. 너희는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희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 오늘 내가 너희에게 명령하는 이 말을 마음에 새겨 두어라. 너희는 집에 앉아 있을 때나 길을 갈 때나, 누워 있을 때나 일어나 있을 때나, 이 말을 너희 자손들에게 거듭 들려주고 일러 주어라.”(신명6,4-7).


온갖 우상들과 잡신들이 범람하는 세상에서 이스라엘 자손들이 부단한 하느님 사랑 고백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강화하는 길은 생존과 직결된 일이 었음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니 하느님 중심의 정체성 상실보다 더 큰 재앙은 없습니다. 말그대로 살기위한 하느님 사랑과 믿음의 고백이요 실천입니다. 하느님을 잊지않고 늘 기억하는 사랑이, 믿음이 얼마나 영성생활에 필수적인지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런 갈림없는 전존재로 하느님을 사랑하라하시며 이어 모든 법규와 규정들을 준수하라 명하십시다. 막연한 하느님 사랑이 아니라 모든 수행을 통해 하느님 사랑을 표현하라는 것입니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하듯 매사 그렇게 사랑의 수행을 하라는 것입니다.


하느님 사랑의 수행과 더불어 날로 깊어가는 하느님 믿음입니다. 믿음이 증발하고 있다는 한탄은 바로 하느님 사랑이 사라지고 있다는 말과 직결됩니다. 무엇보다 우리가 항구히 바치는 시편성무일도와 미사의 공동전례기도가 하느님 사랑의 결정적 표현입니다. 매일 평생 끊임없이,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하느님을 사랑하듯 공동전례기도를 바칠 때 날로 깊어지는 우리의 하느님 사랑과 믿음입니다. 


바로 오늘 복음에 대한 답을 제1독서 신명기가 주고 있음을 봅니다. 영육의 모든 병의 발단은 바로 하느님 믿음의 부재에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진정 하느님을 전존재로 사랑하고 믿는다면 마귀에 시달리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아, 믿음이 없고 비뚤어진 세대야!” 개탄하는 현실은 그대로 오늘에도 해당됩니다. 오늘 제자들과 주님간의 문답은 그대로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어찌하여 저희는 그 마귀를 쫓아내지 못하였습니까?”


“너희의 믿음이 약한 탓이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가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도 있으면, 이 산더러 ‘여기서 저기로 옮겨 가라.’ 하더라도 그대로 옮겨 갈 것이다. 너희가 못할 일을 하나도 없을 것이다.”-


예수님의 말씀이 참 엄중합니다. 과연 우리에게 겨자씨 한 알만 한 믿음이라도 있는지 겸손한 마음으로 자신을 살펴보게 합니다. 믿음의 거품을 걷어 냈을 때 과연 얼마만한 진짜 믿음이 있을런지요. 사랑뿐 아니라 믿음에도 여전히 초보자인 우리임을 깨닫게 됩니다.


탓할 것은 하느님이 아니라 내 약한 믿음임을 직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느님 사랑과 하느님 믿음은 함께 갑니다. 하루 아침에 자라나는 나무가 아니듯 우리의 하느님 사랑도, 믿음도 그러합니다. 끊임없는 사랑의 수행을 통해 우리의 사랑도 믿음도 끊임없이 성장, 성숙할 때 비로소 마음의 안정과 평화요 영혼의 건강입니다. 아무리 심신은 노쇠老衰해가도 하느님 향한 사랑과 믿음, 희망만은 계속 성장, 성숙했으면 소원所願이겠습니다.


주님은 날마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당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 거룩한 미사를 봉헌하는 우리 모두에게 참 좋은 사랑과 믿음과 희망을 선물하십니다. 


“저의 힘이신 주님, 당신을 사랑하나이다.”(시편18,2).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87 주님의 충복忠僕 -묵묵히, 충실히, 항구히-2019.11.12.화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1.12 195
986 주님의 파스카의 삶 -어둠에서 빛으로, 아픔에서 기쁨으로-2019.5.15.수요일 성 파코미오 아빠스(290-34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5.15 172
985 주님의 평생 전사 -주님과 함께 영적승리의 삶을 삽시다-2024.1.22.연중 제3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1.22 163
984 주님이 좋아하시는 참된 단식 -사랑과 정의-2019.3.8.재의 예식 다음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08 249
983 주님처럼 우리 모두 영원한 표징이 되어 삽시다 -구원, 회개, 희망, 겸손-2021.7.25.연중 제17주일(제1차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 1 프란치스코 2021.07.25 143
982 죽음을 배웁시다 -진리, 순종, 비움-2019.4.19. 주님 수난 성금요일(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9.04.19 232
981 죽음의 길, 생명의 길-2017.2.17. 연중 제6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2.17 122
980 지금이 구원의 기회다 -명분名分과 실리實利- 프란치스코 2017.11.23 146
979 지금이 마지막 때입니다 -이제 다시 시작입니다-2015.12.31.목요일 성탄 팔일 축제 내 제7일 프란치스코 2015.12.31 350
978 지금이 바로 구원의 때입니다 -과거를 묻지 않는 하느님-2018.2.23. 사순 제1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23 158
977 지도자들은 물론 사람들의 필수 덕목 -섬김과 배움, 자비와 지혜-2024.2.3.연중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2.03 130
976 지상 순례 여정중인 -이상적 천상 교회 가정 공동체-2023.5.7.부활 제5주일(생명 주일) 프란치스코 2023.05.07 276
975 지상 천국天國의 삶 -“두려워하지 마라”-2020.12.10.대림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0.12.10 121
974 지상 천국天國의 삶 -착하고 성실한 삶;사랑, 지혜, 깨어있음, 책임-2020.11.15.연중 제33주일(세계 가난한 이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11.15 103
973 지상 천국의 온전한 삶 -하느님 중심의 정주(定住)와 믿음과 사랑-2024.1.29.연중 제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1.29 159
972 지상地上에서 천국天國을 삽시다 -배움, 싸움, 깨어 있음-2019.12.1.대림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12.01 129
971 지상地上에서 천상天上의 삶을 -초월적 거점의 확보-2015.11.18. 연중 제3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11.18 225
970 지상에서 천국天國의 삶 -주님의 초대는 선물이자 과제이다-2023.11.7.연중 제31주간 프란치스코 2023.11.07 153
969 지상에서 천국을 삽시다 -공정이 물처럼, 정의가 강물처럼-2018.7.4. 연중 제1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7.04 156
968 지상에서 천국을 삽시다 -형제적 사랑과 믿음, 주님의 용서와 치유-2020.12.7.월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2.07 145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