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0.13. 연중 제27주간 금요일                                                                요엘1,13-15;2,1-2 루카11,15-26



회개와 믿음

-빛이신 하느님으로 채우라!-



믿어야 이해할 수 있고 알 수 있습니다. 의심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고 더욱 깊은 혼란에 빠집니다. 오늘 복음의 일부 사람들이 그러합니다. 예수님께서 벙어리 마귀를 쫓아 내셨을 때 이를 믿은 사람들은 놀라워 하는데 그들 중 몇 사람들은 이의를 제기합니다. 바로 믿음 없음을 반영합니다.


“저자는 마귀 우두머리 베엘제불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 낸다.”말하는가 하면 또 다른 사람들은 하늘에서 내려오는 표징을 요구합니다. 이들과 논쟁을 하기로 하면 끝이 없을 것입니다. 믿음이 없기에 답이 없습니다. 믿지 않는 자는 어떤 증거를 보여도 믿지 못합니다. 믿음 또한 은총임을 깨닫습니다. 마침내 예수님은 한마디로 정리하십니다.


“그러나 내가 하느님의 손가락으로 마귀들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느님의 나라가 너희에게 와 있는 것이다.”


예수님과 더불어 도래하는 하느님의 나라입니다. 믿는 이들에게는 너무나 자명한 사실입니다. 예수님이 빛이라면 마귀들은 어둠의 세력들입니다. 흡사 떠오른 태양에 흔적없이 사라지는 밤의 어둠처럼, 빛이신 예수님 앞에 흔적없이 사라지는 어둠의 세력들입니다. 


참으로 힘센 분, 빛중의 빛이신 주님을 모실 때 비로소 하느님 나라의 실현이요 내적평화와 안정입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예수님의 말씀이 단호하며 준엄합니다. 빛이신 당신 편에 설 것인지 결단의 선택을 요구하십니다.


“내 편에 서지 않는 자는 나를 반대하는 자고, 나와 함께 모아들이지 않는 자는 흩어 버리는 자다.”


믿음은 빛과 어둠, 생명과 죽음, 둘 중 하나의 선택입니다. 빛이자 생명인 예수님을 선택할 것인지 선택하지 않을 것인지 믿음 또한 결단의 선택입니다. 오늘 요엘서의 호소가 절실합니다. 주님의 날, 심판의 그날이 가까웠으니 단식을 선포하고 집회를 소집하며 회개할 것을 촉구합니다. 오늘이 바로 그날입니다. 요엘은 우리 모두 믿음으로 회개하여 주님을 삶의 중심으로 모실 것을 촉구합니다. 


구원의 길은 이것 하나뿐입니다. 회개하여 깨끗이 비워진 마음에 주님이 자리 잡지 못하면 마음은 악마의 놀이터가 되어 버립니다. 바로 오늘 복음의 돌아온 되돌아 온 악령의 비유가 이를 입증합니다. 


집안이 말끔히 치워지고 정돈된 것을 보면 나갔던 악령은 자기보다 더 악한 영 일곱을 데리고 그 집에 들어가 자리를 잡게 되어 그 사람의 끝이 처음보다 더 나빠집니다. 한가함은 영혼의 원수라는 바로 규칙서의 말씀도 같은 맥락입니다. 마침 주석중 읽은 다음 대목이 잊혀지지 않습니다.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나 악마는 그것을 사랑한다(Nature may abhor a vacuum but the devil loves one).”


자연은 빈 공간을 그냥 놔두지 않습니다. 곧 이런저런 생명의 초목草木들로 채웁니다. 그러나 악마는 이런 빈 공간을 사랑합니다. 바로 자기 놀이터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빈공간이 상징하는바 그대로 우리의 내면입니다. 자연은 그대로 하느님으로 바꿔도 통합니다. 우리의 내면을 하느님으로 채우지 않으면 악마로 채워집니다. 빛이 사라지면 어둠이 찾아드는 이치와 똑같습니다.


마음의 순수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나태나 게으름이 아닙니다. 끊임없이 흘러야 맑은 물이든 주님과 함께 끊임없이 수행생활에 정진할 때 순수한 마음이요 악마가 자리잡지 못합니다. 하여 수도원의 일과표는 하루를 빈공간으로 놔두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일과표의 리듬따라 끊임없이 채우고 흘러야 깨끗한 마음, 깨끗한 삶입니다.


회개와 믿음은 막연하지 않습니다. 구체적으로 기도와 일, 성독이 조화와 균형을 이룬 일과표의 수행에 충실할 때 늘 새로워지는 우리의 회개와 믿음입니다. 회개와 믿음을 일상화하는 일과표의 시스템입니다. 구원은 멀리 있는 게 아니라 바로 여기 지금 일과표에 충실함에 있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매일미사은총으로 날마다 우리 삶의 중심이 되어 주시고 하루의 질서와 균형을 잡아주시어 우리 모두 오늘 지금 여기서 아름답고 거룩한 하느님 나라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7 죄인에서 성인으로의 참 아름다운 구원의 삶 -환대와 회개, 자기인식-2020.11.17.화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1.17 153
1366 비움의 여정 -참나(眞我)의 삶-2020.8.10.월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8.10 153
1365 파스카의 사랑, 파스카의 아름다움, 파스카의 기쁨 -주님의 참 좋은 선물-2020.5.22.부활 제6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22 153
1364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 -“파스카 주님의 증인證人-2020.4.16.부활 팔일 축제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16 153
1363 생명의 샘, 생명의 강 -주님은 생명의 샘이자 생명의 강이십니다-2020.3.24.사순 제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3.24 153
1362 참 행복한 삶 -선택, 사랑, 예수님-2020.2.16.연중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2.16 153
1361 판단의 잣대는 예수님 -사람이 먼저다-2020.1.21.화요일 성녀 아녜스 동정 순교자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1.21 153
1360 우리는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戰士, 주님의 학인學人, 주님의 형제兄弟- ​​​​​​​2020.1.9. 주님 공현 대축일 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09 153
1359 구원의 좁은문 -구원과 멸망-2019.10.30.연중 제3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30 153
1358 삶은 무엇인가? -여정, 열정, 인내, 평화- 2019.8.18.연중 제20주일 ​​​​​​​ 1 프란치스코 2019.08.18 153
1357 성소聖召에 충실한 행복한 삶 -믿음의 친교, 희망의 전례, 사랑의 실천-2019.5.12.부활 제4주일(성소 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5.12 153
1356 하느님의 꿈 -꿈의 실현-2019.3.22.사순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9.03.22 153
1355 발효醱酵인생인가 부패腐敗인생인가? -말씀의 소금, 말씀의 효소-2019.2.28.연중 제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2.28 153
1354 주님의 전사, 믿음의 전사 -영광스러운 변모-2019.2.23. 토요일 성 폴리카르포 주교 순교자(+155)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2.23 153
1353 무지의 병 -무지에 대한 처방은 하느님뿐이다-2018.10.22.연중 제29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8.10.22 153
1352 “나는 문門이다” -벽壁이 변하여 문門으로-2018.4.23. 부활 제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4.23 153
1351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유다가 문제라면 답은 예수님뿐이다-2018.3.28. 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8 153
1350 믿음이 답이다 -교회공동체에 뿌리 내린 우리의 믿음-2017.12.11. 대림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1 153
1349 동정 마리아는 어떤 분이신가? -정주, 찬미, 순종-2017.12.8. 금요일 한국교회의 원죄없이 잉태되신 동정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12.08 153
1348 누가 진정 슬기로운 수행자修行者인가? -주님 반석 위에 인생집을 짓는 사람-2017.12.7. 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07 153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