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0.30.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로마8,12-17 루카13,10-17



살아계신 주님과의 만남

-치유와 자유, 찬양과 기쁨-



만남중의 만남이 주님과의 만남입니다. 살아계신 주님을 만날 때 치유와 자유의 구원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은 안식일에 열여덟 해 병마에 시달리던 등 굽은 여자를 고쳐주십니다. 우리 역시 영육의 치유와 구원을 위해 이 거룩한 미사에 참석하고 있습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직시하신 주님은 지체없이 여자를 가까이 부르시어 치유의 구원을 선언하십니다.


“여인아, 너는 병에서 풀려났다.”


하시고 손을 얹으시자, 그 여자는 즉시 똑바로 일어서서 하느님을 찬양합니다. 치유에 대한 응답이 하느님 찬양입니다. 이처럼 살아계신 주님을 만날 때 영육의 온전한 치유의 구원입니다. 주님을 만남으로 치유되어 참으로 자유로워진 여인입니다.


문제는 회당장입니다. 육신의 불구도 문제지만 마음의 등이 굽은 마음의 불구는 더욱 문제입니다. 회당장의 반응은 안식일법에 충실한 이들의 보편적 반응입니다. 예수님의 안식일날 치유행위가 회당장에게는 충격적 사건임이 분명합니다. 회당장의 모습에서 우리의 경직된 사고를 봅니다. 분개하여 격렬히 항의 하는 회당장은 물로 그와 동조하는 이들에 대한 예수님의 직설적 말씀입니다.


“위선자들아, 너희는 저마다 안식일에도 자기 소나 나귀를 구유에서 풀어 물을 먹이러 끌고 가지 않느냐? 그렇다면 아브라함의 딸인 이 여자를 사탄이 무려 열여덟 해 동안이나 묶어 놓았는데, 안식일일지라도 그 속박에서 풀어 주어야 하지 않느냐?”


너무나 자명한 현실을 안식일법의 고정관념에 눈이 가려 보지 못하는 위선자들에게 회개를 촉구하는 말씀처럼 들립니다. 예수님의 적대자들은 모두 망신을 당하였지만 군중은 모두 그분께서 하신 영광스러운 일을 두고 기뻐했다 합니다. 


정도의 차이일뿐 우리는 마음의 등이 굽은 위선자들입니다. 참으로 주님을 만날 때 치유의 구원이요 자유입니다. 오늘 제1독서 로마서에서 바오로 사도가 치유 방법을 알려 줍니다. 하느님의 영의 인도를 받아 하느님의 자녀로 사는 것입니다. 


성령이 답입니다. 예수님이나 바오로가 이처럼 자유로울 수 있는 비결은 성령의 인도에 따라 살았기 때문입니다. 성령을 통한 주님과의 만남이 영육의 병을 치유하여 온전한 자유인이 되게 합니다. 


“여러분은 사람을 두려움에 빠뜨리는 종살이의 영을 받은 것이 아니라, 여러분을 자녀로 삼도록 해 주시는 영을 받았습니다. 이 성령의 힘으로 우리가 ‘아빠! 아버지!’하고 외치는 것입니다.”


성령의 힘이 우리를 치유하여 자유롭게 합니다. 성령을 통한 온전한 치유와 구원이요 하느님을 ‘아빠, 아버지’라 부를 수 있는 하느님 자녀로서의 자유인입니다. 이어지는 바오로 사도의 말씀도 고무적입니다.


“자녀이면 상속자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하느님의 상속자입니다. 그리스도와 더불어 공동 상속자인 것입니다. 다만 그리스도와 함께 영광을 누리려면 그분과 함께 고난을 받아야 합니다.”


신약성경에서 ‘약속의 땅’은 천상에서 펼쳐지는 행복 전체, 곧 하느님의 나라 또는 영원한 생명을 의미합니다. 바로 하느님 아버지께서는 이 모든 행복을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부활하신 당신의 아드님에게, 그리고 아드님을 통하여 모든 믿는 우리들에게 주신다는 것입니다. 


바로 천상의 하느님 나라의 영원한 생명은 우리 믿는 이들의 영원한 희망입니다. 이런 구원의 현실을 앞당겨 맛보게 하는 미사은총입니다. 그리스도와 함께 공동 상속자가 되어 영광을 누릴 희망이 있기에 현세의 온갖 고통중에도 자유롭게 살 수 있으니 이 또한 성령의 은총입니다.


오늘 복음의 등굽은 여자는 주님을 만나 치유되어 자유인이 되었고 똑바로 일어서서 하느님을 찬양하였으며, 함께 한 군중은 주님께서 하신 영광스러운 일을 두고 기뻐했습니다. 마음의 등을 똑바로 펴고 하느님을 찬양할 때 ‘찬양의 기쁨’이 우리를 치유하여 자유인이 되게 합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주님은 날마다 찬미받으소서. 우리 짐을 지시는 하느님은 우리 구원이시다. 우리 하느님은 구원을 베푸시는 하느님, 죽음에서 벗어나는 길, 주 하느님께 있네.”(시편68,20-2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7 죄를 짓지 마십시오 -끊임없는 기도와 말씀공부, 회개의 삶-2022.2.24.연중 제7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2.24 162
2226 좋은 사람이 되길, 반석위의 인생집을 원하십니까? “주님의 가르침을 실행하십시오!” -늘 깨어 한결같이-2023.9.16.토요일 성 고르넬리오 교황(+253)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258)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9.16 216
2225 좋은 분이 주는 것은 다 좋다 -하느님의 선물-2019.4.6.사순 제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06 177
2224 좋은 땅, 좋은 수확의 사람이 됩시다 -렉시오 디비나(성독)의 습관화-2023.7.28.연중 제16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7.28 576
2223 종의 자세(Attitude of a Servant)-2015.11.10. 화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11.10 372
2222 종말론적 삶의 축복 -처음이자 마지막처럼-2016.9.7. 연중 제23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9.07 158
2221 종말론적 삶 -기도, 사랑, 환대, 봉사, 기쁨-2016.5.27. 연중 제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5.27 151
2220 좁은 문으로 들어가도록 힘쓰십시오-사랑, 훈육, 회개, 비전-2016.8.21. 연중 제21주일 프란치스코 2016.08.21 178
2219 좁은 문들의 통과 여정 -생명의 곡선길-2020.6.23.연중 제1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23 143
2218 좁은 문, 생명의 문 -지혜, 사랑, 기도-2016.6.21. 화요일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수도자(1568-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6.21 209
2217 좁은 문 -구원과 멸망-2019.8.25.연중 제21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8.25 201
2216 존엄한 품위의 삶-하느님의 자녀답게-2015.2.10. 화요일(성모영보수녀원 피정6일째) 성녀 스콜라스티카 동정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5.02.10 624
2215 제자의 길, 사랑의 길 -춘풍추상春風秋霜-2021.11.3.연중 제3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03 177
2214 제자의 길 -갈망, 따름, 배움-2023.1.14.연중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1.14 200
2213 제자리-2015.9.2. 연중 제2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5.09.02 187
2212 제자됨의 행복-서로 사랑하여라-2015.5.14. 목요일 성 마티아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5.05.14 367
2211 정주의 축복, 사랑의 정주 -밖으로는 산처럼, 안으로는 강처럼-2023.12.29.금요일 성탄 팔일 축제 제5일 프란치스코 2023.12.29 125
2210 정주의 영성 -하루하루, 한결같이-2022.11.22.화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230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22 184
2209 정주의 사랑, 정주의 수행, 정주의 축복 -한결같은 삶-2021.12.29.수요일 성탄 팔일 축제내 제5일 1 프란치스코 2021.12.29 133
2208 정주定住의 영성 -모든 시간은 하느님 손 안에 있다-2021.11.23.연중 제34주간 화요일 2 프란치스코 2021.11.23 153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