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7.11.23. 연중 제33주간 목요일                                                                     1마카2,15-29 루카19,41-44



지금이 구원의 기회다

-명분名分과 실리實利-



오늘 마카베오기 상권의 주인공 마타티아스와 복음의 주인공 예수님은 좋은 대조를 이루면서 오늘의 우리에게 깊은 깨우침을 줍니다. 묵상중 더불어 생각나는 ‘남한산성’이란 영화입니다. 영화에서 잇슈가 됬던 것은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결입니다. 참으로 어려운 것은 이것이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견해만 달랐지 두 파 사람들 다 애국자들이기 때문입니다. 명분과 실리의 문제로 둘 다 옳기 때문입니다. 명분을 택해 실리를 잃어도 안되고 실리를 택해 명분을 잃어도 안되기 때문입니다. 명분이 영혼이라면 실리는 육신이라 할까요. 둘 다 택해야 하는데 참 어려운 일입니다. 


병자호란 때의 대응전략의 차이를 말하는 이런 대구가 있습니다. ‘금일불가무 최지천 화전론(今日不可無 崔遲川和戰論)(지천은 최명길의 아호), 백세불가무 삼학사 주전론(百歲不可無 三學士主戰論), 오늘날에 있어서 최명길의 화전론이 없을 수 없고, 긴 세월로 볼 때 삼학사의 주전론도 없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삼학사는 1637년 병자호란때 조선이 중국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반대하고 척화론을 주장했다가 청나라에 잡혀가 참혹한 죽음을 당했던 세사람, 즉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일컫는 말입니다. 역시 화전론과 주전론은 실리와 명분 같아서 둘다 옳기에 양자 택일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 줍니다.


오늘 마카베오기의 마타티아스에게서도 흡사 양자간의 딜렘마를 보는 듯 합니다. 임금과 관리들은 마타티아스에게 왕명을 따르면 그와 그 아들들은 임금님의 벗이 되고 은과 금과 많은 선물로 부귀를 누릴 것이라고 회유합니다. 


이런 달콤한 실리의 유혹에서 벗어날 자 많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마타티아스는 실리의 유혹을 단연코 떨쳐내고 명분의 고난을 택해 주님을 위해 주전파가 됩니다. 하여 그와 그 아들들은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버리고 성읍에 남겨 둔 채 산으로 달아났고, 정의와 공정을 추구하는 많은 이들이 광야로 내려가 자리잡습니다.


주님의 명분을 택해 순교의 길을 간 분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순교를 택해 영원히 사는 이들도 있고 대부분은 실리를 택해 영원히 죽은 이들도 있다 할까요. 그렇다하여 현세에서 실리의 생명을 택한 이들을 마냥 비난할수도 없을 것입니다. 대부분 무지無知하고 약한 인간들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오늘 마카베오기는 이런 명분과 실리의 문제를 생각하게 합니다.


오늘 복음도 참 특이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에 가까이 이르시자 그 도성을 보고 우시며 탄식같은 말씀을 하십니다. 마치 예수님의 무지의 사람들에 대한 깊은 절망감의 반영같습니다. 오늘날 만연된 세속화로 타락의 길을 향하는 도시를 두고 하시는 말씀 같기도 합니다.


“오늘 너도 평화를 가져다 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았더라면---! 그러나 지금 네 눈에는 그것이 감추어져 있다. 그때가 너에게 닥쳐올 것이다.---하느님께서 너를 찾아오신 때를 네가 알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대로 오늘 우리를 회개, 각성覺醒케 하는 말씀입니다. 이어 예루살렘의 완전 파괴를 예언하셨고 로마군에 의해서 그대로 예루살렘은 초토화 됩니다. 기억하지 않으면 끊임없이 반복되는 역사입니다. 하여 평화를 원하면서도 끊임없이 계속되는 전쟁입니다. 평화를 가져다 주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에, 또 우리 눈에 그것이 감추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죽으시고 부활하신 파스카의 주님이 바로 평화의 길입니다. 깨어 눈이 열려 주님을 따를 때 평화의 길입니다. 마타티아스와 예수님을 통해 오늘 우리가 받는 가르침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오늘 지금 우리를 찾아오십니다. 명분과 실리를 포함하여 영원한 파스카의 삶을 살 수 있는 지혜의 길, 평화의 길은 지금 여기서부터 주님을 따름으로 시작됩니다.


어제 카톡을 통해 받은 재미있는 유머가 있어 나눕니다. 이 세상에는 세가지 귀중한 금이 있다고 합니다. ‘황금, 소금, 지금’이라 합니다. ‘지금’이 귀중한 금이라는 말이 인상적입니다. 이 말을 남편이 그 아내에게 문자로 보냈더니 바로 답이 왔다 합니다. “현금, 지금, 입금”. 이 문자를 본 남편은 급히 거리로 나가 문자를 보냈답니다. “지금, 쬐금, 입금”.


제가 주목하는 것은 ‘지금’입니다. 세상에 '지금'보다 더 귀한 것은 없습니다. 그러니 깨어 ‘지금’을 사는 자가 진정 현자요 부자입니다. 오늘 지금 열린 눈으로 깨어 파스카의 주님을 따를 때 명분과 실리를 동시에 충족시키며 평화의 길을 갈 수 있습니다. 주님 안에서 참 평화요 명분과 실리의 일치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평화의 길로 인도하십니다.


“올바른 길을 걷는 이는 하느님의 구원을 보리라.”(시편50,23ㄴ).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7 아름다운 귀가歸家준비 -하늘에 보물을 쌓는 삶-2017.10.4. 수요일 한가위(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기념 없음) 2 프란치스코 2017.10.04 149
1006 내적순례여정-2017.10.3. 연중 제26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0.03 98
1005 공동체의 일치 -작아지기 경쟁의 공동체-2017.10.2. 연중 제2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0.02 119
1004 참사람이, 성인이 되고 싶습니까? -끊임없는 회개-2017.10.1. 연중 제26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0.01 127
1003 사랑이 답이다 -파스카의 예수님-2017.9.30. 토요일 성 예로니모 사제 학자(347-419/42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9.30 233
1002 천사天使같은 삶 -하느님 찬미와 심부름꾼의 삶-2017.9.29. 금요일 성 미카엘, 성 가브리엘, 성 라파엘과 모든 거룩한 천사 축일 프란치스코 2017.09.29 164
1001 하느님이 먼저다 -삶의 우선 순위-2017.9.28. 연중 제2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28 294
1000 기본에 충실한 삶 -관상과 활동-2017.9.27. 수요일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1581-166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7 115
999 말씀의 조각가 -예수님 얼굴, 내 얼굴-2017.9.26. 연중 제2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26 140
998 파스카의 삶 -주님과 함께 늘 새로운 시작-2017.9.25. 연중 제25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25 120
997 회개가 답이다 -회개의 여정-2017.9.24. 연중 제25주일 1 프란치스코 2017.09.24 116
996 여여如如한 삶 -수행자의 삶-2017.9.23. 토요일 피에트첼치나의 성 비오 (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3 166
995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삶 -아름답고 품위있고 평화로운 삶-2017.9.22. 연중 제2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22 113
994 소명召命의 발견 -나는 누구인가?-2017.9.21. 목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1 프란치스코 2017.09.21 125
993 순교적 삶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2017.9.20. 수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09.20 220
992 사람을 찾는 하느님 -찬양과 감사-2017.9.19. 연중 제2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19 103
991 믿음이 답이다 -간절하고 겸손한 기도와 믿음-2017.9.18. 연중 제2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18 182
990 용서가 답이다-2017.9.17. 연중 제24주일 프란치스코 2017.09.17 108
989 실행이 답이다 -회개의 은총과 말씀의 실행-2017.9.16. 토요일 성 고르넬리오 교황(+253)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25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16 131
988 ‘비움(kenosis)’이 답이다 -비움의 여정-2017.9.15. 금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15 230
Board Pagination Prev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