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5.9. 부활 제6주간 수요일                                                                    사도17,15.22-18,1 요한16,12-15



진리의 영

-성령이 답이다-



오늘 사도행전에서 바오로 사도는 아테네에서의 선교후 아테네를 떠나 코린토로 갔다고 언급합니다. 바로 아테네에서의 선교의 실패를 반영합니다. 아테네인들은 바오로의 죽은 이들의 부활에 관하여 듣고서, 어떤 이들은 비웃고 어떤 이들은 “그점에 관해서는 다음에 다시 듣겠소,”하고 말합니다. 하여 바오로는 그들이 모인 곳에서 나왔고 바오로의 마음은 한없이 썰렁했을 것입니다. 바로 이런 반응이 코린토 1서에서 잘 드러납니다.


“유다인들은 표징을 요구하고, 그리스인들은 지혜를 찾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를 선포합니다. 그리스도는 유다인들에게는 걸림돌이 되고 다른 민족에게는 어리석음입니다.”(1코린1,22-23).


바로 지혜를 추구하는 그리스인들에게 십자가에 달리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는 어리석음이었음에 틀림없습니다. 바오로의 아테네에서는 그대로 인간의 종교심에 호소한 내용들로 가톨릭 교리서에서의 내용과 일치합니다. 가톨릭 교리서 제1장의 주제는 ‘하느님을 알 수 있는 인간’입니다. 이어지는 27항에서 29항까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느님을 향한 갈망은 인간의 마음속 깊이 새겨져 있다. 인간은 하느님을 향하여, 하느님에게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하느님께서는 늘 인간을 당신께로 이끌고 계시며, 인간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진리와 행복은 오직 하느님 안에서 찾을 수 있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인간은 자신들의 역사 안에서, 그들의 신앙과 종교적 행위들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하느님을 찾는 길을 표현해 왔다. 비록 모호한 점들을 내포할 수 있기는 하지만, 매우 보편적인 것들이므로 인간을 종교적인 존재라고 일컬을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은 하느님과 이토록 친밀한 생명의 결합을 종종 망각하고, 이를 인정하지 않으며, 심지어 명백하게 거부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태도들은 매우 다양한 근원에서 비롯될 수 있다.’


바로 사도행전의 아테네 사람들은 물론 하느님을 찾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내용들입니다. 하느님을 찾는 종교인인 사람들이지만 얼마나 하느님을 찾기가 힘든 ‘죄인들인 인간들’인지 짐작이 갑니다. 하여 바오로 사도는 아테네 설교중 ‘회개’를 강조한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무지의 시대에는 그냥 보아 넘겨 주셨지만, 이제는 어디에 있든 모두 회개해야 한다고 사람들에게 명령하십니다. 그분께서 당신이 정하신 한 사람을 통하여 세상을 의롭게 심판하실 날을 지정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분을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살리시어 그것을 모든 사람에게 증명해 주셨습니다.”


바로 이 대목에서 지혜롭다는 아테네 시민들이 걸려 넘어진 것입니다. 막연한 하느님이 답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죽으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 예수님이 답입니다. 코린토서에서 바오로 사도는 이런 심정을 다시 고백합니다.


“그렇지만 유다인이든 그리스인이든 부르심을 받은 이들에게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힘이시며 하느님의 지혜이십니다. 하느님의 어리석음이 사람보다 지혜롭고, 하느님의 약함이 사람보다 강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여러분 가운데에 있으면서 예수 그리스도 곧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분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바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파스카의 예수님이 우리의 모두임을 말해 줍니다. 파스카의 예수님이 답입니다. 이런 파스카의 예수님이야말로 우리의 길이요 진리요 생명입니다. 바로 진리의 영, 성령이 우리를 모든 진리의 원천인 파스카의 예수님께로 인도하십니다. 보호자 성령은 예수님에게 받아 모두 우리에게 알려 주십니다. 복음 마지막 예수님의 말씀도 고맙습니다.


“아버지께서 가지고 계신 것은 모두 나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령께서 나에게서 받아 너희에게 알려 주실 것이라고 내가 말하였다.”


성령이 답입니다. 성령께서는 교회의 살아있는 기억이시며 우리의 ‘사랑스런 멘토loving mentor’이시며 우리 모두 파스카의 예수님께로 인도하십니다. 파스카의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에게 성령을 선사하시어 성령과 함께 성령의 사람으로 살게 하십니다. 아멘.



  • ?
    안젤로 2018.05.09 07:48
    파스카의 주님은 오늘 말씀을 통해 우리에게 성령을 선사하시어 성령과 함께 성령의 사람으로 살게 하십니다. 아멘.
  • ?
    오늘사랑 2018.05.09 09:17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7 순수한 마음 -“주님, 순수의 길로 저를 이끌어 주소서.”-2017.11.13. 연중 제3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13 163
1046 슬기로운 사람들 -찬미, 희망, 깨어있음, 말씀실행-2017.11.12. 연중 제32주일 프란치스코 2017.11.12 146
1045 최후의 심판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2017.11.11. 토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7-397)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11 218
1044 인생은 아름다워라(Life is beautiful)! -신속한 분별, 지체없는 회개-2017.11.10. 금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10 144
1043 성전 정화 -성체성사의 은혜-2017.11.9. 목요일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09 119
1042 예수님의 참 제자가 되고 싶습니까? -사랑밖엔 길이 없습니다-2017.11.8. 연중 제3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8 143
1041 하느님 나라의 현실화 -그리스도인의 생활규범 실천-2017.11.7. 연중 제3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7 193
1040 초월超越과 내재內在의 하느님 -오, 하느님의 풍요와 지혜와 지식의 깊이여!-2017.11.6. 연중 제3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1.06 117
1039 참으로 살고 싶습니까?-2017.11.5. 연중 제31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1.05 99
1038 누가 겸손한 사람인가?-겸손예찬-2017.11.4. 토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04 106
1037 우리의 우선적 영적 의무 -하느님 사랑의 찬미-2017.11.3. 연중 제3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1.03 238
1036 연옥에서 천국을 사는 사람들 -온유와 겸손-2017.11.2. 목요일 위령의 날 1 프란치스코 2017.11.02 153
1035 우리 삶의 궁극 목표 -성인이 되는 것-2017.11.1. 수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11.01 258
1034 희망이 답이다 -끝까지 잡아야 할 희망의 끈, 하느님-2017.10.31. 연중 제30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31 120
1033 살아계신 주님과의 만남 -치유와 자유, 찬양과 기쁨-2017.10.30.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30 141
1032 사랑이 답이다 -인생은 ‘사랑의 학교’이다-2017.10.29. 연중 제30주일 1 프란치스코 2017.10.29 147
1031 기도가 답이다 -기도와 교회 공동체-2017.10.28. 토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7.10.28 137
1030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이 답이다 -분별력의 은총-2017.10.27. 연중 제2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0.27 142
1029 참 사랑의 불, 참 평화의 길 -우리와 영원히 함께 하시는 파스카의 주님-2017.10.26. 연중 제29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7.10.26 136
1028 귀가歸家 준비 -“환영합니다”, “하루하루 삽시다”-2017.10.25. 연중 제29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0.25 119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