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8.연중 제31주간 금요일                                                           로마15,14-21 루카16,1-8

 

 

 

참 좋은 ‘주님의 집사執事’가 됩시다

-끊임없는 회개의 삶-

 

 

 

어제 수도원 배경의 단풍 물든 장엄한 불암산을 보며 쓴 ‘여여如如한 삶’이란 시를 나눕니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늘 거기 그 자리 한결같은 정주의 모범인 불암산은 제 삶의 스승입니다. 

 

-“하늘 배경背景한/언제나/거기 그 자리

정주定住의/단풍 물든 장엄莊嚴한 가을 불암산佛巖山

크고도 깊고 고요한 산

언제 봐도/늘 좋고 새롭고 놀랍고 한결같다

오늘 지금 여기/그 자체로

우주宇宙요, 세계世界요, 전부全部요, 중심中心이요, 

충만充滿이요, 행복幸福인데

누구를 기다리겠는가/누구를 그리워하겠는가/누구를 찾아나서겠는가

내가 그렇다”-

 

끊임없는 회개의 삶이 참 좋은 주님의 집사가 되어 하느님을 배경한 언제 봐도 늘 좋고 새롭고 놀랍고 한결같은 삶을 살게 합니다. 오늘 강론 주제는 ‘참 좋은 주님의 집사가 됩시다–끊임없는 회개의 삶-’입니다. 누구나 주님의 집사로 불림받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참 좋은 주님의 집사, 삶의 집사로 살 수 있을까요?

 

오늘 복음은 ‘약은 집사의 비유’입니다. 집사는 청지기라 부르기도 합니다. 이 비유에 대한 주석입니다. 이 비유는 협잡꾼을 본보기로 제시하는 것 같아, 이해하는데 더러 어려움이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다른 비유들에게서도 서슴없이 하느님을 의롭지 못한 판관에 비기기도 하시고(18,1-8), 제자들에게 뱀처럼 슬기로우라고 권유하기도 하십니다(마태10,16).

 

예수님께서 당신을 믿는 이들에게 불의하거나 사악해지리라고 권유하지 않으신다는 것은 명백합니다. 그런데 이 비유에서 집사는 분명 불의한 집사로 사기꾼으로 규정됩니다(8절). 그렇다면 불의한 집사의 무엇이 우리 삶의 본보기가 되는 지요?

 

집사의 ‘행위action’가 아니라 그가 보여준 위기 대처의 민첩하고 슬기로운 ‘반응reaction’입니다.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는 법입니다. 이 때를 놓치지 말라는 것입니다. 해고의 순간에 집사는 전광석화, 살길을 마련합니다. 

 

주인에게 빚진 이들을 과감하고 신속하게 탕감해 줌으로 앞날을 대비합니다. 자비하신 하느님으로 상징되는 주인은 오히려 이 불의한 집사를 칭찬합니다. 그가 영리하게 대처하였기 때문입니다. 주인도 내심 만족하며 그의 불의한 행위를 묵인했을 것입니다. 

 

집주인이 손실을 입었다지만 그 손실은 그에게 별 영향을 끼치지 못한 반면 여러 사람들에게 살 길을 열어 주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하라고 불의한 집사에게 말할 수는 없고 그가 스스로 알아서 잘 해결해 주었으니 자비로운 주인은 내심 고마워했을 지도 모릅니다. 속으로는 '허허' 웃었을 것입니다. 결론같은 복음의 주님 말씀입니다.

 

“사실 이 세상의 자녀들이 저희끼리 거래하는 데에는 빛의 자녀들보다 영리하다.”

 

세상의 자녀들 못지 않은 영리한 빛의 자녀들이 되기를 바라는 주님의 소망이 담긴 말씀입니다. 우리는 빛의 자녀들입니다. 불의한 집사처럼 위기시 민첩하고 지혜롭게 대처하는 참 좋은 주님의 집사, 영적 집사가 되라는 것입니다. 

 

바로 지체없는 회개의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유비무환입니다. 끊임없는 회개의 은총이 끊임없이 깨어 있는 삶을 살게 합니다. 참으로 회개하여 오늘 지금 깨어 있을 때 매사 잘 대처하며 민첩하고 슬기롭게 주어진 상황을 타개할 수 있습니다. 이 결정적인 회개의 때를 놓치면 절망의 늪, 무기력한 삶의 늪에 빠져 허우적 거릴 수 있습니다. 

 

끊임없이 회개하는 자에게 선사되는 성령의 은총입니다. 성령의 빛이 무지의 어둠을 몰아냄으로 신속하고 슬기로운 삶의 분별이요 결단입니다. 바로 제1독서의 이방인들의 사도, 바오로가 그 빛나는 모범입니다. 

 

주님의 참 좋은 집사 바오로 사도입니다. 복음의 불의한 집사의 민첩함과 슬기로움에다 항구하고 충실한 덕목까지 구비한 주님의 참 좋은 집사 바오로 사도입니다. 위의 ‘여여한 삶’의 시에 소개된 불암산 같은, 늘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 정주한 바오로 사도입니다.

 

“이 은총은 내가 다른 민족들을 위하여 그리스도 예수님의 종이 되어, 하느님의 복음을 전하는 사제직을 수행하기 위한 것입니다.---그러므로 나는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을 위하여 일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깁니다.---그 일은 말과 행동으로, 표징과 이적의 힘으로, 하느님 영의 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참으로 하느님을 배경한 주님의 종이자 집사인 바오로 사도의 확신에 넘치는 고백입니다. 분명 끊임없는 회개의 은총이 이런 민첩하고 슬기롭고 항구하며 충실한 주님의 종이자 집사인 바오로가 되게 했음을 봅니다. 참으로 끊임없는 회개의 은총이,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안으로는 주님의 제자로, 밖으로는 주님의 사도로 그 직분에 충실하며 주님의 집사직을 잘 수행할 수 있게 해 주십니다. 

 

“주님, 저에게 생명의 길 가르치시니, 당신 얼굴 뵈오며 기쁨에 넘치리이다.”(시편16,11). 아멘.

 

 

 

  • ?
    고안젤로 2019.11.08 10:09
    유비무환입니다. 끊임없는 회개의 은총이 끊임없이 깨어 있는 삶을 살게 합니다. 참으로 회개하여 오늘 지금 깨어 있을 때 매사 잘 대처하며 민첩하고 슬기롭게 주어진 상황을 타개할 수 있습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6 참 놀랍고 고마우신 하느님 -삼위일체 하느님-2018.5.27. 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2 프란치스코 2018.05.27 218
875 참 매력적魅力的인 삶 -세상의 소금, 세상의 빛-2017.2.5. 연중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17.02.05 120
874 참 매력적인 파스카의 예수님 -배려와 여유, 유머와 지혜, 그리고 사랑-2018.8.13. 연중 제19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8.13 190
873 참 멋있고 아름다운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17.6.10. 연중 제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6.10 97
872 참 멋지고 매력적인 삶 -세상의 소금처럼, 세상의 빛처럼 삽시다- 프란치스코 2023.02.05 284
871 참 멋지고 아름다운 삶 -기도가 답이다-2021.8.11.성녀 클라라 동정(1194-1253)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8.11 179
870 참 멋지고 아름다운 삶 -끊임없는 회개-2020.9.27.연중 제26주일(이민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9.27 108
869 참 멋지고 아름다운 성가정 교회 공동체 -예수님 중심-2020.7.21.연중 제1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7.21 110
868 참 멋지고 아름다운, 거룩한 하느님의 사람 -성 베네딕도 예찬-2020.7.11.토요일 유럽의 수호자 사부 성 베네딕도 아빠스(480-547)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7.11 122
867 참 멋진 사람 -버림,떠남,따름-2015.5.26. 연중 제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5.26 200
866 참 멋진 사람 -순수, 겸손, 연민- 2015.8.11. 화요일 성녀 클라라(1194-1253) 동정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8.11 354
865 참 멋진 삶 -관계, 선택, 여정-2021.8.22.연중 제21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8.22 111
864 참 멋진 삶 -하느님 중심의 아름답고 행복하고 자유로운 삶-2019.6.22.연중 제1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6.22 130
863 참 멋진 주님 제자의 삶 -사랑, 추종, 환대-2020.6.28.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6.28 156
862 참 목자 영성 -“자비와 지혜, 온유와 겸손, 사랑과 섬김”-2024.2.22.목요일 성 베드로 사도좌 축일 프란치스코 2024.02.22 178
861 참 목자牧者이자 최고의 명의名醫이신 예수님 -참 좋은 신망애信望愛의 치유제-2021.1.14.연중 제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1.14 121
860 참 목자이자 참 농부農夫이신 하느님 - 참 목자, 참 농부 영성이 절박切迫한 시대-2021.7.18.연중 제1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7.18 128
859 참 보물, 참 기쁨, 참 행복 -주님과의 만남-2019.7.31.수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7.31 147
858 참 보물, 참 행복의 발견 -하느님, 예수님, 하늘 나라-2018.8.1. 수요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1696-178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8.01 103
857 참 부자富者이자 참 자유인自由人 -사랑과 봉헌, 비움과 가난, 순수와 겸손-2020.11.23.연중 제34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23 140
Board Pagination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