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12.화요일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1580-1623) 기념일  

지혜2,23-3,9 루카17,7-10

 

 

 

주님의 충복忠僕

-묵묵히, 충실히, 항구히-

 

 

오늘 복음은 짧지만 여운은 강렬합니다. 참된 주님의 제자가 되기를 바라는 모든 이들이 가슴 깊이 새겨야 할 말씀입니다. 주인이자 주님이신 예수님은 당대의 제자들은 물론 오늘 날 당신의 제자들인 우리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복음 말씀입니다.

 

오늘 복음의 다음 주석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이를 단순히 겸손한 표현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표현이 제자들에게는 말 그대로 들어 맞는 사실이기 때문이다. 제자들의 섬김을 받으시는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반드시 의지하셔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제자들의 섬김을 받으시는 주님이십니다. 무엇을 바라거나 기대할 것 없이, 누가 알아 주든 말든 보아 주든 말든 상관없이, 주님의 종으로서 주어진 섬김의 직무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건 겸손이 아니라 마땅하고 당연한 의무입니다. 주인을 원망할 것도 주인에 서운해 하거나 실망할 것도 없다는 것입니다. 모든 것은 주인의 처분에 달렸을 뿐 마치 채권자처럼 주인께 요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참으로 제 분수를 아는 지혜로운 종입니다.

 

주인의 반응이나 처분에 관계 없이 기쁘게, 평화로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주어진 종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일희일비하지 않고, 주님 향한 믿음과 희망과 사랑으로, 주어진 임무를 깨어, 묵묵히, 충실히, 항구히 수행하는 것입니다. 참으로 충실한 주님의 종, 주님의 충복의 모습입니다. 충복忠僕, 충견忠犬, 충신忠臣, 참 기분 좋은 말마디입니다. 다음 주인이자 주님이신 말씀은 얼마나 적절한지요!

 

“이와 같이 너희도 분부를 받은 대로 다하고 나서, ‘저희는 쓸모없는 종입니다. 해야 할 일을 했을 따름입니다.’하고 말하여라.”

 

얼마나 멋지고 믿음직스럽고 매력적인 종인지요! 참으로 꾸밈없고 담백한, 겸손보다 한층 깊고 아름다운 진실한 고백입니다. 얼마나 자유롭고 편안하게 하는 고백인지요. 일체의 칭찬도 보상도 바라는 것이 없는 참 순수한 마음입니다. 주님을 참으로 사랑하고 신뢰하는 주님의 충복으로서의 임무 수행 자체가 기쁨이요 행복이요 평화요 보상일 것입니다. 영성으로 말하면 최고의 영성입니다. 참 크고 깊고 고요하고 한결같은 여여한 삶, 산같은 영성입니다. 

 

바로 이런 이가 제1독서 지혜서가 말하는 의인입니다. 쑥맥같이 어리석어 보이나 참으로 지혜로운 사람, 대우大愚같으나 역설적으로 대지大智의 사람입니다. 참으로 주님의 충복이 되어 주님을 항구히 충심忠心으로 섬길 때 치유되는 영혼의 상처요 하느님 모상의 회복입니다. 주님의 충복들을 통해서 지혜서의 다음 말씀을 그대로 실감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불멸의 존재로 창조하시고, 당신 본성의 모습에 따라 인간을 만드셨다.”

 

이들 의인들이, 주님의 충복들이 누리는 내적평화와 불사의 희망은 그대로 주인이신 하느님의 선물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종이야말로 그대로 주님의 충복의 모습입니다. 일체의 요구없이 주님의 종으로서 주어진 섬김의 직무에 충실할 뿐입니다. 하여 주님의 제자들인 우리의 영성을 ‘섬김과 종의 영성’이라 하는 것입니다. 영어를 봐도 ‘섬김service’과 ‘종servant’의 어원이 같습니다. 묵묵히, 충실히, 항구히 주님을 섬기는 종이 말그대로 주님의 충복입니다. 

 

베네딕도 성인은 당신 수도승들의 공동체를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로 정의했습니다. 말 그대로 주님의 충복이 되어 정주와 수도자다운 생활, 순종 서원을 통해 평생 주님을 섬기는 일에 전력을 다하는 우리 수도승들입니다. 분도 규칙서 머리말 마지막 구절도 감동적입니다. 

 

“주의 가르침에서 결코 떠나지 말고, 죽을 때까지 수도원에서 그분의 교훈을 항구히 지킴으로써 그리스도의 수난에 인내로써 한몫끼어 그분 나라의 동거인이 되도록 하자.”

 

참으로 죽기까지 주님을 섬기는 일에 충실한 주님의 충복같은 삶의 모습이 바로 우리 분도수도승들의 모습입니다. 오늘은 우크라이나 출신인 성 요사팟 주교 순교자 기념일입니다. 역시 주님의 충복으로서 최선을 다해 사시다가 43세로 순교한 성인입니다. 부모는 그가 뛰어난 상인이 되기를 바랐는데 주님을 그를 뛰어난 성인, 주님의 충복으로 만드셨습니다. 새삼 교회의 모든 성인들이 주님의 훌륭한 충복임을 깨닫습니다. 

 

우리를 섬기러 오신 주님께서 몸소 섬김과 종의 영성의 모범을 보여 주셨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의 충복이 되어 묵묵히, 충실히, 항구히 섬기며 살게 하십니다. 주님의 충복이 되기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 다음 화답송 시편처럼 항구한 주님 찬미의 삶입니다.

 

“나 언제나 주님을 찬미하리니, 내 입에 늘 찬양이 있으리라. 내 영혼 주님을 자랑하리니, 가난한 이는 듣고 기뻐하여라.”(시편34,2ㄱ). 아멘.

 

  • ?
    고안젤로 2019.11.12 06:09
    사랑하는 주님. 주님이 저희에게 주신 이 모든것에 감사와 영광을 드립니다
    저희를 통하여 세상 모든것에 주님사랑이 넘치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87 루멘 체치스!(Lumen Caecis;눈 먼이에게 빛을!) -개안開眼의 여정, 사랑의 여정-2023.12.13.수요일 우리 연합회의 수호자 성녀 오딜리아 동정 대축일 이사35,1-4ㄷ.5-6.10 1코린1,26-31 루카11,33-36 프란치스코 2023.12.13 150
1286 배움의 여정, 치유의 여정 -우리의 평생 스승이자 치유자이신 예수님- “거져 받았으니 거져 주어라”2023.12.9.대림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9 150
1285 주님 평화의 전사 -평화사랑, 평화훈련, 평화습관-2023.11.23.연중 제3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3 150
1284 하느님의 나라와 부자 -부자는 구원받을 수 없는가?-2022.2.28.연중 제8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2.28 150
1283 회개의 여정 -“회개는 오늘 지금 여기서!”-2021.10.23.연중 제29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23 150
1282 너 자신을 알라 -회개, 겸손, 온유, 지혜, 감사-2021.9.10.연중 제2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9.10 150
1281 새 인간 -생명의 빵인 예수님이 답이다-2021.8.1.연중 제18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8.01 150
1280 공동체의 아름다움 -균형, 조화, 상호보완의 일치-2021.5.21.부활 제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5.22 150
1279 아나뷤(anawim)의 영성 -본질에 충실한 삶; 가난,겸손,순종-2020.12.15.대림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2.15 150
1278 슬기로운 삶 -늘 기본에 충실한 1.기도, 2.공부, 3.실행의 삶-2020.12.3.목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2.03 150
1277 최후 심판 -성덕의 잣대이자 심판의 잣대는 사랑-2020.11.11.수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7-397)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11.11 150
1276 구원의 여정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2020.9.20(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1-1846)와 성 정하상 바오로(1795-1839)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20 150
1275 땅에서도 하늘의 별처럼 -기도, 순수와 열정, 평온과 겸손, 지혜의 사람들-2020.6.12.연중 제10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6.12 150
1274 하느님 참 좋은 사랑의 선물 셋 -예수님, 미사, 섬김-2020.4.9. 주님 만찬 성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09 150
1273 시詩같은 인생 -착하고 성실한 삶-2019.8.31.연중 제21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31 150
1272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사랑으로 서로 섬기십시오-2019.6.30.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6.30 150
1271 참으로 삽시다 -제자리, 제모습, 제색깔, 제향기, 제대로-2019.6.8. 부활 제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6.08 150
1270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 -기도, 사랑, 추종-2019.6.7. 부활 제7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6.07 150
1269 기도와 삶의 자세 -청하라, 찾아라, 두드리라-2019.3.14. 사순 제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14 150
1268 영적 승리의 삶과 찬가讚歌 -영적 전쟁-2018.11.28.연중 제3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28 150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