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9.연중 제2주일                                                    이사49,3.5-6 1코린1,1-3 요한1,29-34

 

 

 

깨달음의 여정

-삶의 핵심은 주님과 우리의 관계이다-

 

 

 

죄가 많기에 병도 많습니다. 죄와 병은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앞으로 죄가 많아질수록 병도 또한 많아질 것입니다. 고백할 죄에 대한 앎의 결핍도 문제입니다. 죄가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의 치유에 앞서 언제나 죄의 용서가 선행했음을 봅니다. 

 

죄인이자 병자는 우리의 동시적인 모습입니다. 죄의 용서와 더불어 병의 치유이니 용서는 참 좋은 죄의 병에 대한 약임을 깨닫습니다. 참으로 죄를 뉘우치고 하느님께 용서 받을 때 영육의 치유입니다.

 

지난 금요일 교황님의 강론 주제가 마음 깊이 와 닿았습니다.  ‘삶의 핵심은 하느님과 우리의 관계이다(Essence of life is our relationship with God)’, 그대로 오늘 강론 제목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니 하느님과의 관계 없는 우리는 상상할 수 없습니다. 완전 무지와 허무속에 방황할 수 뿐이 없습니다. 하느님과 무관한 삶, 참으로 위태하기 짝이 없습니다. 하느님을 모르면 우리가 누구인지도 무엇이 죄인지도 모릅니다.

 

어려서부터 참 중요한 근본적인 교육이 하느님께 관한 교육이요 죄에 관한 교육임을 깨닫습니다. 참으로 알아야 할 분이 하느님입니다. 죄의 회개와 깨달음은 함께 갑니다. 평생 끊임없는 회개를 통한 평생 끊임없는 깨달음의 여정입니다.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알아가는 깨달음의 여정은 그대로 회개의 여정입니다. 이런 삶의 여정속에 점차 무지로 인한 죄에서 벗어나 영육은 치유되고 날로 자유로워지는 우리들입니다.

 

오늘 복음의 세례자 요한의 깨달음이 참 고맙습니다. 오늘 복음의 주제는 ‘하느님의 어린양’이신 예수님입니다. 예수님은 바로 하느님의 열쇠입니다. 예수님을 통해 하느님을 만나고 하느님을 알 수 있습니다.

 

“보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이시다.”

 

세상의 죄가 단수로 쓰이는데, 이는 세상의 모든 죄와 그것들이 야기하는 모든 것까지 포함합니다. 하느님의 어린양이라는 말은 두 가지 전통적 표상을 혼합하여 예수님의 대속적인 죽음을 상기시킵니다. 첫째는, 자기 죄가 없으면서도 많은 사람의 죄를 대신 짊어지고 자신을 어린양처럼 희생하는 주님의 고통받는 종의 표상이고, 둘째는 이스라엘의 구원을 상징하는, 파스카 때에 잡는 어린양의 표상입니다. 

 

그러니 이런 의미의 하느님의 어린양이신 예수님이야말로 세상 모든 죄에 대한 근원적 처방임을 깨닫습니다. 참으로 어린양이신 예수님과의 관계가 얼마나 우리 삶의 핵심적 문제인가를 깨닫게 됩니다. 그러니 미사중 성체를 모시기에 앞서 사제와 주고 받는 다음 말마디는 얼마나 은혜로운지요. 

 

“+보라! 하느님의 어린양,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분이시니 

이 성찬에 초대받은 이는 복되도다.

*주님, 제 안에 주님을 모시기에 합당치 않사오나

한 말씀만 하소서, 제 영혼이 곧 나으리이다.

+그리스도의 몸은 저를 지키시어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소서

+그리스도의 피는 저를 지키시어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소서.”

 

참으로 하느님의 어린양이신 예수님의 성체와 성혈을 모심이 우리의 죄의 용서와 치유에 결정적임을 새삼 깨닫게 됩니다. 

 

세례자 요한의 예수님께 대한 깨달음이 계속 깊어집니다. 하느님의 어린양에서 내가 나기 전부터 계셨기에 나보다 앞서신 분으로 파악합니다. 이런 깨달음 역시 순전히 은총입니다. 요한의 깨달음은 마지막 감격적 말씀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과연 나는 보았다. 그래서 저분이 하느님의 아드님이라고 내가 증언하였다.”

 

이런 ‘봄(見)’의 깨달음 역시 은총입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어린양이자 동시에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증언하는 요한입니다. 바로 이사야 예언자가 말하는 주님의 종이 바로 예수님입니다.

 

“너는 나의 종이다. 이스라엘아, 너에게서 내 영광이 드러나리라.”

 

예수님뿐 아니라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 역시 주님의 종입니다. 예수님과의 우정을 통해 하느님과 우리의 관계가 깊어질수록 환히 드러나는 하느님의 영광입니다. 

 

이사야 예언자의 말씀 중 다음 주님의 종의 고백은 역시 예수님뿐 아니라 예수님과 하나된 우리에게도 그대로 해당됩니다.

 

“나를 모태에서부터 당신 종으로 빚어 만드셨다. 나는 주님의 눈에 소중하게 여겨졌고, 나의 하느님께서 나의 힘이 되어 주셨다. 네가 나의 종이 되어, 나의 구원이 땅끝까지 다다르도록 너를 민족들의 빛으로 세운다.”

 

민족들의 빛인, 세상의 빛인 하느님의 어린양, 하느님의 아드님 예수님이십니다. 이런 예수님과의 일치가 깊어질수록 우리 또한 세상의 빛, 민족들의 빛이 될 수 있고, 바로 우리에게 주어진 영예로운 과제입니다. 새삼 ‘세상의 죄’에 대한 유일한 처방은 ‘세상의 빛’인 예수님뿐임을 깨닫습니다. 

 

우리는 누구입니까?

세례를 통해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아 하느님의 자녀, 빛의 자녀가 된 우리들입니다. 바오로의 말씀 그대로 ‘그리스도 안에서 거룩하게 되어 어디에서나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받들어 부르는 모든 이들과 함께 성도로 부르심을 받은’ 우리들입니다.

 

참으로 하느님의 양이자 하느님의 아드님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가 깊어질수록 치유의 구원이요 무지로 벗어나 주님의 영광을 환히 드러내는 참 자유로운 참나의 실현임을 깨닫습니다.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은총과 평화를 내려주십니다. 아멘.

 

  • ?
    고안젤로 2020.01.19 07:52
    사랑하는 주님, 세례성사를 통해 주님의 자녀가 되어 주님을 알게 해주심에 감사와 영광을 드립니다
    주님 주신 구원의 끈을 단단히 잡고자 저희가 오늘도 주님 주신 이 하루를
    주님 말씀대로 살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07 회개의 표징-2015.10.2. 금요일 연중 제26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0.02 387
3406 회개의 표징 -표징들의 표징인 파스카의 예수님-2019.10.14.월요일 연중 제2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4 122
3405 회개의 표징 -부자와 라자로의 비유-2018.3.1. 사순 제2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01 346
3404 회개의 표징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2.3.9.사순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3.09 172
3403 회개의 표징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2.10.10.연중 제28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10.10 186
3402 회개의 표징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1.7.19. 연중 제1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7.19 120
3401 회개의 표징 -깨어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 살기-2020.7.20.연중 제1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7.20 133
3400 회개의 표징 -가난한 과부, 주님의 마음-2018.11.11.연중 제32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1.11 121
3399 회개의 초대 -하느님의 나라, 영원한 생명-2019.3.4.연중 제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04 143
3398 회개의 일상화-2015.7.14. 연중 제1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07.14 233
3397 회개의 일상화 -끊임없는 말씀공부와 기도, 회개의 수행-2019.10.4.금요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2-122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0.04 321
3396 회개의 은총, 회개의 축복, 회개의 여정 -경천애인(敬天愛人)-2023.3.17.사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3.17 283
3395 회개의 은총 -진실과 겸손, 인내와 믿음-2018.8.27. 월요일 성녀 모니카(332-38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8.27 130
3394 회개의 은총 -겸손, 자비, 지혜-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3.3.23.사순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3.23 267
3393 회개의 여정(旅程) -무지(無知)에 대한 답은 회개(悔改)뿐이다-2024.2.21. 사순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4.02.21 164
3392 회개의 여정 -희망, 회개, 겸손, 구원-2020.7.28.연중 제17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7.28 124
3391 회개의 여정 -회개의 표징, 희망의 표징-2019.3.13. 사순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3.13 178
3390 회개의 여정 -회개와 사랑, 새로운 삶-2024.3.8.사순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4.03.08 158
3389 회개의 여정 -회개, 비움, 친교, 섬김-2023.1.24.화요일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1.24 218
3388 회개의 여정 -하늘 나라의 삶- 2021.1.4. 주님 공현 대축일 후 월요일 ​​​​​​​ 1 프란치스코 2021.01.04 15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