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5.수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231-249/51) 기념일 

사무하24,2.9-17 마르6,1-6

 

 

 

믿음의 힘

-기도, 회개, 믿음-

 

 

 

오늘은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 기념일입니다. 루치아, 아녜스, 체칠리아와 더불어 교회의 네 동정 순교자입니다. ‘선하다’라는 아가타 이름 뜻대로 젊은 나이에 참 선하게 살며 믿음을 지키다가 순교한 성녀입니다. 우리를 감동케 하는, 우리의 믿음을 새롭게 점검하게 되는 순교자들의 믿음입니다.

 

“착한 스승이신 주 예수님, 당신은 내가 박해자의 고통을 이기게 하셨으니, 감사하나이다. 주여, 내가 당신의 불멸의 영광에 도달하게 하소서. 아멘.”(성모의 노래 후렴).

 

바로 동정 순교자 아가타가 순교시 바친, 순교 성녀 아가타의 믿음을 반영하는 기도문입니다. 기도와 믿음은 함께 갑니다. 기도와 더불어 회개요 믿음의 은총을 선사받습니다.

 

오늘 제1독서 다윗이 믿음의 모범입니다. 어제는 압살롬 아들의 죽음에 목놓아 울었던 다윗이 또 죄를 짓습니다. 다윗의 위대한 점은 즉각적인 회개에 있습니다. 인구조사를 한 다음 양심의 가책을 느껴 기도하며 회개합니다. 왜 인구 조사가 죄입니까? 해설판 공동 번역 성서는 다음처럼 설명합니다.

 

‘인구 조사는 다윗의 야심을 입증한다. 그 조사로 세금을 바치는 주민의 등록 대장을 만들 수 있고(경제적 착취), 한편으로는 전쟁을 치를 능력이 있는 남자들을 징집할 수 있었다(정치적 지배). 이 두가지 사항은 그 자체로 비방을 받아 마땅하다. 권위가 스스로를 절대화하고 자신에게 전적인 신뢰를 기울일 때 그런 짓을 하게 된다.’

 

다윗은 순간 이런 야심으로 인해 하느님을 잊었으니 바로 믿음 부족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다윗은 신속히 기도하며 회개합니다.

 

“주님, 제가 이런 짓으로 큰 죄를 지었습니다. 그러나 주님, 이제 당신 종의 죄악을 없애 주십시오. 제가 참으로 어리석은 일을 저질렀습니다.”

 

무지의 어리석음이야말로 진정 죄이자 병이자 악입니다. 그러니 무지에 대한 답은 참된 회개뿐임을 깨닫습니다. 회개를 통해 비로소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무지의 어둠으로부터 벗어납니다. 죄는 용서 받았지만 죄의 보속은 뒤따르고 그 결과 죽어가는 죄없는 백성을 보자 재차 죄를 고백하며 주님께 자비를 청하는 다윗의 모습도 감동입니다.

 

“제가 바로 죄를 지었습니다. 제가 못된 짓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양들이야 무슨 잘못이 있습니까? 그러니 제발 당신 손으로 저와 제 아버지의 집을 쳐 주십시오.”

 

참으로 다윗에게 배워야 할 점이 이런 기도와 잘못을 뉘우치는 회개입니다. 회개를 통해 불통에서 소통으로 주님과의 관계를 회복합니다. 다윗이 비록 반복하여 죄를 짓고 회개하지만 하느님과 얼마나 친밀한 관계에 있는지 알게 됩니다. 다음 시편 화답송은 그대로 다윗의 심정을 반영합니다. 고백성사의 은총을 체험한 이들의 고백이기도 합니다.

 

“행복하여라, 죄를 용서받고, 잘못을 씻은 이! 행복하여라, 주님이, 허물을 헤아리지 않으시고, 그 영에 거짓이 없는 사람!”(시편32,1-2).

 

무죄한 성인이 아니라 회개한 성인입니다. 죄가 없어 마음의 순수가 아니라 회개할 때 마음의 순수와 겸손입니다. 그러니 끊임없는 기도와 회개와 더불어 ‘믿음의 은총’에 ‘마음의 순수와 겸손’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의 고향 사람들은 무엇이 문제였습니까? 예수님의 지혜와 기적에 놀랐지만 곧 선입견과 편견으로 인해 ‘있는 그대로’의 예수님을 인정하지 못하고 걸려 넘어집니다. 이에 대한 예수님의 반응 말씀은 우리에게 경각심을 줍니다. 선입견, 편견으로 인해 가까이 있는 형제들의 진가를 인정하지 못하는 일도 비일비재한 우리들이기 때문입니다. 이 또한 우리의 믿음 부족을 반영합니다.

 

“예언자는 어디에서나 존경받지만 고향과 친척과 집안에서만은 존경받지 못한다.”

 

하여 예수님은 몇몇 병자에게 손을 얹어 병을 고쳐 주시는 것밖에는 아무런 기적도 일으키실 수 없었고, 그들이 믿지 않는 것에 놀라셨다 합니다. 참으로 예수님께 대한 선입견과 편견과 더불어 질투심, 열등감도 작용했음을 봅니다. 

 

우리 안에 내재한 ‘선입견, 편견, 질투심, 열등감, 혐오, 배제, 증오’같은 것이 진짜 유해한 영적 바이러스들입니다. 이에 대한 유일한 대책은 참된 믿음뿐임을 깨닫습니다. 믿음의 은총만이 이런 유해한 영적 바이러스들을 박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믿음이 약화되면 여지없이 스며드는 이런 나쁜 영적 바이러스들입니다.

 

참으로 믿음의 달인, 믿음의 대가 예수님이십니다. 고향 사람들의 냉대와 무시, 배척에 개의치 않고 곧장 일어나 새롭게 본연의 사명에 충실한 오늘 복음의 마지막 예수님의 모습이 깊은 울림을 줍니다.

 

‘예수님께서는 여러 마을을 두루 돌아다니며 가르치셨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회개한 우리 모두의 부족한 믿음을 도와 주시고 우리 안에 내재한 온갖 유해한 영적 바이러스들을 말끔히 없애 주십니다. 아멘.

 

 

  • ?
    고안젤로 2020.02.05 08:23
    사랑하는 주님, 부족한 저희에게 주님의 자비와 구원으로 오늘 하루를 지켜가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7 지상에서 천국의 삶 -꿈꾸라, 사랑하라, 선포하라-2022.7.3.연중 제14주일 프란치스코 2022.07.03 178
966 지상에서 천상天上의 삶을-2016.11.16. 수요일 성녀 제르트루다(1256-1302) 동정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11.16 141
965 지상에서 하느님의 나라, 천국을 삽시다 --우리 하나하나가 하느님의 나라입니다--2021.1.24.연중 제3주일(하느님의 말씀 주일) 프란치스코 2021.01.24 138
964 지상천국地上天國의 행복한 삶 -믿음, 사랑, 희망-2019.4.7.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4.07 138
963 지옥(地獄)같은 세상에서 천국(天國)의 삶 -하느님 중심의 삶-2023.8.29.화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8.29 182
962 지옥地獄에는 한계限界가 없다 -관상과 활동-2017.2.4. 연중 제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02.04 132
961 지옥地獄에서 천국天國을 살기-해피엔딩(happy endlng)-2015.10.3. 연중 제26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10.03 381
960 지칠줄 모르는 초록빛 열정-늘 새로운 시작-2015.10.8. 연중 제27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10.08 213
959 지혜智慧와 자비慈悲의 주님이 답이다 -무지無知와 허무虛無의 병-2019.2.25.연중 제7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2.25 120
958 지혜가 답이다 -외딴곳을 마련하라-2018.2.3. 연중 제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3 166
957 지혜로운 삶 -깨어 준비하며 기다리는 삶-2023.11.12.연중 제32주일(평신도 주일) 프란치스코 2023.11.12 159
956 지혜로운 삶 -찬양, 종말, 이웃-2020.10.1.목요일 한가위 1 프란치스코 2020.10.01 119
955 지혜로운 성인의 삶 -분별력, 황금률, 좁은문- 프란치스코 2022.06.21 182
954 지혜로운 현자賢者의 삶-2016.9.19.연중 제2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9.19 125
953 지혜롭고 겸손한, 부요하고 자유로운 삶-2016.9.1. 연중 제2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9.01 141
952 지혜롭고 아름다운 삶 -찬양, 죽음, 탐욕-2018.9.24.월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18.09.27 110
951 지혜를 사랑합시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지혜이십니다-2019.11.14. 연중 제32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14 166
950 지혜를 찾아라 -하느님 나라의 실현-2017.11.16. 목요일 성녀 제르투르다 동정(1256-130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1.16 144
949 지혜와 겸손-2015.9.11. 연중 제2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09.11 197
948 지혜와 자비의 행복한 삶 -무지로부터의 해방-2018.8.19. 연중 제20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8.19 140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