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4.12. 부활 제2주일, 하느님의 자비 주일 

                                                                                                                                                      사도4,32-35 1요한5,1-6 요한20,19-31


                                                                                                     부활하신 주님의 선물

                                                                                                       -평화, 일치, 승리-


오늘은 하느님의 자비주일입니다. 우리 하느님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자비하신 하느님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자비하신 것처럼 너희도 자비로운 사람이 되어라.' 주님의 말씀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이런 하느님께 우리가 가장 많이 바치는 기도가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자비송입니다. 자비하신 하느님의 최상 최고의 선물이 부활하신 예수님이십니다. 부활하신 주님은 말그대로 자비로운 하느님의 현현입니다.


어제 노(老)수녀님의 면담성사중 그 일부를 소개합니다. 전 번에 주신 보속 말씀이 바로 위의 성서구절이었는데 지키지 못하고 막바지에 넘어졌다하시며 자신의 무자비했음을 반성하였고 다음과 같은 조언을 드렸습니다.


"넘어지면서 자비하신 하느님께 가까이 가게 되어 종국에는 자비로운 사람이 됩니다. 자비하신 하느님께 가까이 갈수록 넘어지는 횟수도 적을 것입니다. 이렇게 넘어졌을 때는 겸손의 계기로 삼으십시오. 이렇게 죄를 뉘우치고 용서 받으면서 하느님을 닮아 자비하고 겸손한 사람이 됩니다. 사실 겸손과 자비에 이르는 지름길은 없습니다.“


"주님께 감사하여라. 그 좋으신 분을, 영원도 하시어라. 그 사랑이여.“


오늘 화답송 후렴은 얼마나 은혜로운 지요. 자비하신 하느님께 대한 찬미와 감사의 노래입니다. 자비하신 하느님을 깨달아 닮아 가면서 자신의 한계와 부족을 알게 되어 겸손과 지혜, 자비의 사람이 됩니다. 오늘은 부활하신 주님의 선물에 대한 묵상입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을 통한 하느님의 선물입니다.


첫째, 평화(平和)의 선물입니다.

오늘 복음의 인상적인 장면은 부활하신 주님의 선물입니다. 개인에게가 아닌 제자공동체에 나타나 평화를 선물하시는 부활하신 주님이십니다. 


"평화가 너희와 함께!"

제자공동체에 나타나실 때 맨먼저 선사하시는 것이 당신의 평화입니다. 무려 세 차례나 거푸 나옵니다. 제자들은 주님을 뵙고 기뻐하였으니 평화와 더불어 기쁨까지 선물로 받습니다. 세상이 줄 수 없는, 주님만이 줄 수 있는 평화와 기쁨입니다.


"성령을 받아라.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용서해 주면 그가 용서를 받을 것이고, 그대로 두면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

평화의 선물과 더불어 기쁨, 성령, 용서의 선물이 줄줄이 뒤따릅니다. 주님을 만나 주님의 평화로 마음이 활짝 열린 토마스의 고백도 감동입니다.


"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

이렇게 주님을 고백할 때 주님의 선물은 확실히 나의 것이 됩니다. 토마스처럼 주님을 보고 믿는 사람보다 보지 않고 믿는 우리가 복됩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보지도 않고 당신을 믿는 우리를 평화의 선물로 부요케 하십니다.


둘째, 일치(一致)의 선물입니다.

평화의 선물에 따른 자연스런 귀결입니다. 오늘 1독서 사도행전의 초대교회공동체가 그 모범입니다. 한마디도 생략할 수 없는 아름다운 공동체에 대한 묘사입니다.


'신자들의 공동체는 한마음, 한뜻이 되어, 아무도 자기 소유를 자기 것이라 하지 않고 모든 것을 공동으로 소유하였다.‘


바로 이것이 기적입니다. 사도들은 큰 능력으로 주 예수님의 부활을 증언하였고, 모두 큰 은총을 누렸다 하니 바로 부활하신 주님의 은총임을 깨닫습니다. 그들 가운데는 궁핍한 사람은 하나도 없었고, 가진 것을 다 사도들 앞에 내어놓고 저마다 필요한 것을 나누어 받았다 합니다.


바로 이것이 진정 유토피아 공동체의 실현입니다. 완전 복지 공동체의 실현입니다. 물질과 돈의 탐욕에서 해방된, 이기적인 자기를 비운 모습입니다. 놀라운 회개와 내적변화의 기적입니다. 바로 이런 이상을 추구하는 교회공동체요 수도공동체입니다. 성체성사가 지향하고 추구하고 상징하는 공동체도 이런 한마음, 한뜻의 공동소유에 저마다 필요한 것을 나누어 받는 공동체입니다. 


셋째, 승리(勝利)의 선물입니다.

삶은 전쟁입니다. 세상과의 전쟁, 궁극에는 자기와의 전쟁입니다. 총칼만 없는 생존경쟁 치열한 전쟁이요 이기적이요 탐욕스런 자기와의 전쟁입니다. 세상이 우리에게 승리할 때는 불화요 분열이요 우리가 세상에 승리할 때는 평화요 일치입니다. 보십시오. 세상 곳곳이 불화로 분열로 가득한 현실이 아닙니까? 


이런 세상과의 전쟁에 승리의 표지가 주님께서 주신 평화와 일치의 사람이자 공동체입니다. 복음의 제자들의 평화공동체, 사도행전의 신자들의 일치공동체, 우리의 평화와 일치의 요셉수도공동체는 바로 세상에 대한 승리를 상징합니다. 사도 요한은 2독서 서간에서 세상을 이기는 승리에 대한 귀한 가르침을 주십니다.


"하느님에게서 태어난 사람은 모두 세상을 이깁니다. 세상을 이긴 그 승리는 바로 우리 믿음의 승리입니다. 세상을 이기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믿는 사람이 아닙니까?“


예수님과 함께 부활한 우리들 모두는 하느님에게서 태어난 사람입니다. 하느님에게서 태어난 사람은 세상을 이깁니다. 바로 믿음의 승리입니다. 예수님께서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믿을 때 하느님은 부활하신 예수님을 통해 평화와 일치를 선물하십니다. 


십중팔구, 세상과 싸우며 세상을 닮아가고 괴물과 싸우며 괴물을 닮아갑니다. 하여 불화(不和)와 분열(分裂)의 사람이 됩니다. 세상과의 전쟁에, 이기적인 나와의 전쟁에 최상, 최고의 무기는 부활하신 주님이 주신 평화(平和)와 일치(一致)의 선물입니다. 


이래야 세상과 싸우면서 세상을 닮지 않고 괴물과 싸우면서 괴물을 닮지 않고 하느님의 자녀로 온전히 살 수 있습니다. 주님은 하느님의 자비의 주일,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평화와 일치를 선물하시어 세상과의 전쟁에 승리로 이끌어 주십니다. 


"주님, 저희가 파스카 신비를 거행하고 받아 모셨으니, 이 신비를 마음 속에 간직하여 평화와 일치의 삶으로 드러내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7 삼감三感 가득한 하루의 순례여정 -주님의 길을 닦으십시오-2017.12.23. 대림 제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3 156
1086 아름답다! ‘빈 손’, ‘빈 마음’이여! -빈 마음에서 샘솟는 하느님 찬미-2017.12.22. 대림 제3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2 127
1085 영원한 연인戀人이자 도반道伴이신 주님-2017.12.21. 대림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12.21 133
1084 “주님, 저를 축복하소서!” -사랑, 기도, 순종-2017.12.20. 수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17.12.20 128
1083 “들어라!” -갈망, 깨어있음, 들음-2017.12.19. 화요일 12월19일 프란치스코 2017.12.19 109
1082 임마누엘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7.12.18. 월요일 12월18일 프란치스코 2017.12.18 188
1081 아름답고 온전한 영적 삶 -성령, 기쁨, 기도, 감사, 분별, 증언-2017.12.17. 대림 제3주일(장미주일, 자선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7 209
1080 선물 인생 -삶은 선물이요 과제(짐)이다-2017.12.16. 대림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6 93
1079 회개가 답이다 -회개와 겸손-2017.12.15. 대림 제2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5 134
1078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077 행복한 삶 -정주定住, 순수純粹, 대림待臨-2017.12.13.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3 132
1076 나는 누구인가? -착한 목자 예수님-2017.12.12. 대림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2 196
1075 믿음이 답이다 -교회공동체에 뿌리 내린 우리의 믿음-2017.12.11. 대림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11 153
1074 어떻게 주님의 길을 잘 닦을 것인가? -회개, 위로, 기쁨-2017.12.10. 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0 172
1073 약속과 실현 -영원한 구원의 희망이신 주님-2017.12.9. 대림 제1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9 118
1072 동정 마리아는 어떤 분이신가? -정주, 찬미, 순종-2017.12.8. 금요일 한국교회의 원죄없이 잉태되신 동정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12.08 153
1071 누가 진정 슬기로운 수행자修行者인가? -주님 반석 위에 인생집을 짓는 사람-2017.12.7. 목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340-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07 153
1070 영원한 위로와 평화의 힘의 원천 -하느님 나라의 꿈과 실현-2017.12.6. 대림 제1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6 243
1069 성령의 내적 혁명가가 됩시다 -유토피아의 실현-2017.12.5. 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5 131
1068 참사람의 본질 -간절하고 겸손한 믿음-2017.12.4. 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4 136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