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0.11.19.연중 제33주간 목요일                                                            묵시5,1-10 루카19,41-44

 

 

 

주님 환대의 기쁨과 평화

-회개, 환대, 찬미-

 

 

 

수도원에서 오래 살다보면 수도원과 깊은 인연을 지닌 귀한 분들을 만납니다. 30대 초반부터 50대 중반에 이르기 까지 무려 20년이상 홀로 살면서 수도원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형제가 생각이 납니다. 에누리 없이 그 긴 동안 ‘말씀의 처방전’을 받아다가 성실히 한결같이 살고 있는 형제입니다. 

 

그 형제는 수도원의 환대를 마치 예수님의 환대처럼 반갑고 고마워했습니다. 환대의 집, 수도원은 주님의 환대를 상징합니다. 참으로 주님의 환대를 체험한 분들은 무엇보다 주님을 환대합니다. 주님 환대의 기쁨과 평화요, 그대로 환대의 구원이 됩니다. 바로 파스카의 어린양이신 예수님을 환대하는 이 은혜로운 미사시간입니다.

 

이 형제가 선물했던 활짝 웃는 예수님 상을 얼마동안 집무실에 놔덨다가 치웠습니다. 웬지 웃는 예수님 상이 어울리지 않아 보였기 때문입니다. 사실 성서에서 예수님이 웃으셨다는 일화는 없습니다. 예수님뿐 아니라 거의 대부분 예언자들 역시 웃음에 대한 기사가 없습니다. 평생 영전전쟁 수행중인 하느님의 전사에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웃음같기도 합니다. 참고로 분도 규칙 제7장 겸손의 열째, 열 한째 단계를 소개합니다.

 

-“겸손의 열째 단계는, 쉽게 또 빨리 웃지 않는 것이니 성서에 어리석은 자가 큰 소리를 내어 웃는다”(집회21,20;어리석은 자는 웃을 때 큰 소리를 내지만 영리한 사람은 조용히 웃음을 짓는다)라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겸손의 열한 째 단계는, 수도승이 말할 때 온화하고 웃음이 없으며 겸손하고 정중하며 간결한 말과 이치에 맞는 말을 하고, 목소리에 있어서 큰 소리를 지르지 않는 것이다.”-

 

오늘 복음과 독서에도 웃음이 아닌 울음에 대한 귀한 기사가 나옵니다. 오히려 예언자 예수님께 더욱 어울려 보입니다. 루카복음의 행복선언과 불행선언중 다음 대목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행복하여라, 지금 우는 사람들! 너희는 웃게 될 것이다.”

“불행하여라, 지금 웃는 사람들! 너희는 슬퍼하며 울게 될 것이다.”

 

예루살렘에 가까이 이르신 예수님께서는 그 도성을 보시고 우시며 말씀하십니다. 그대로 예루살렘이 상징하는 바 우리가 몸담고 살아가는 우리 삶의 자리입니다. 평화의 주님을 환대하지 않아 멸망을 목전에 둔 예루살렘에 대한 안타까움의 호소요 동시에 우리의 회개를 촉구합니다.

 

“오늘 너도 평화를 가져다 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았더라면----! 그러나 지금 네 눈에는 그것이 감추어져 있다.”

 

바로 오늘 무지에 눈이 가려 주님을 환대하지 못하는 이들을 상징합니다. 참으로 회개와 더불어 주님을 환대할 때 내적 기쁨과 평화요 구원입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시간 마음을 활짝 열어 구원의 주님을 환대하는 우리들입니다. 그러나 복음의 예루살렘은 역설적으로 샬롬이라는 평화의 어원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평화의 임금이요 평화의 원천이신 주님을 환대하지 않음으로 멸망의 비운을 자초합니다. 마지막 예수님의 말씀도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하느님께서 너를 찾아오신 때를 네가 알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언제입니까? 바로 여기 오늘 지금이 예루살렘인 우리가 예수님을 환대해야 할 때입니다. 이 거룩한 미사중 회개와 더불어 주님을 환대하여 주님과 함께 하느님께 찬미와 감사의 미사를 봉헌하는 우리들입니다. 참으로 주님을 환대할 때 기쁨과 평화요 구원의 선물입니다. 엊그제 주님을 환대했던 자캐오가 그 모범입니다. 

 

오늘 제1독서 요한 묵시록도 참 흥미롭습니다. 일곱 번 봉인된 두루마리를 펴거나 그것을 들여다 볼 분이 하늘에도 땅 위에도 땅 아래에도 하나도 없자 낙심하여 슬피 우는 요한을 위로하는 한 원로입니다. 복음에서는 예수님이 울었고 묵시록에서는 예수님의 애제자 요한이 웁니다. 이미 마음 활짝 열고 주님을 환대하기 시작한 요한에 대한 원로의 응답입니다. 요한은 물론 우리를 위로하는 말씀처럼 들립니다.

 

“울지 마라. 보라, 유다 지파에서 난 사자, 곧 다윗의 뿌리가 승리하여 일곱 봉인을 뜯고 두루마리를 펼 수 있게 되었다.”

 

이어 영안의 활짝 열려 서 계신 어린양을 보는 요한입니다. 그 어린양은 뿔이 일곱이고 눈이 일곱입니다. 일곱눈은 온 땅에 파견된 일곱 영입니다. 뿔은 힘을 상징하며 어린양 메시아는 일곱 영, 곧 성령의 충만함을 지닌 분이라는 뜻입니다. 바로 영광스럽고 황송하게도 우리는 이 은혜로운 미사시간에 이런 어린양 파스카의 예수님을 환대합니다. 

 

이어 어린양이 나오시어 어좌에 앉아 계신 분의 오른 손에서 두루마리를 받으시자 모두가 새 노래로 주님을 찬미합니다. 네 생물과 스물네 원로들은 저마다 수금과 향이 가득 담긴 금대접을 지녔다는 데, 바로 성도들의 기도입니다. ‘주님께 올리는 우리 기도 분향같게 하옵소서’ 라는 시편 구절도 생각납니다. 

 

그러니 우리가 평생 끊임없이 바치는 찬미와 감사의 전례기도는 그대로 향이 가득 담긴 금대접이 되는 것입니다. 파스카의 어린양이신 예수님을 환대하여 새 노래를 부르는 요한이요 우리들입니다. 바로 오늘 요한 묵시록 5장 9-10절 새 노래의 찬가는 우리가 매주간 화요일 저녁성무일도때 마다 부릅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시간 다 함께 새 노래를 부르며 구원의 기쁨을 만끽하며 파스카의 어린양 예수님을 환대하는 우리들입니다.

 

“당신은 두루마리를 받으실 자격이 있사옵고 봉인을 떼실 자격이 있나이다.

당신은 죽임을 당하셨고, 당신 피로 값을 치루어, 모든 민족과 언어와 백성과 나라로부터 사람들을 구원해내셔서 하느님께 바치셨나이다.

당신은 우리로 하여금 한 왕국을 이루어, 우리 하느님을 섬기는 제관이 되게 하셨으니, 우리는 땅위에서 다스리리이다.”(요한묵5,9-10). 아멘.

 

  • ?
    고안젤로 2020.11.19 11:21
    "하느님께서 너를 찾아오신 때를 네가 알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매일의 하루가 마지막인듯
    최선을 다해 살겠습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6 참 자유인의 삶 -주님을 찾아라, 만나라, 그리고 회개하라-2022.10.30.연중 제31주일 PACOMIO 2022.10.30 191
1315 “오, 하느님!” -사람이 물음이라면 하느님은 답이다-2023.8.27.연중 제21주일 프란치스코 2023.08.27 191
1314 삶의 중심中心 -강江과 바다海-2015.9.28. 연중 제2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09.28 192
1313 끊임없는 기도-2015.11.14. 연중 제3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11.14 192
1312 “거룩한 사람이 되십시오.”-2016.5.24. 연중 제8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5.24 192
1311 하느님을 사랑하십시오-2016.6.1. 수요일 성 유스티노 순교자(100-16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6.01 192
1310 “너 어디 있느냐?”-“예, 여기 있습니다”-2016.12.8. 목요일 한국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12.08 192
1309 기도가 답이다 -주님의 기도-2017.3.7. 사순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03.07 192
1308 모두가 하느님의 수중에 있다 -기도하라, 감사하라, 최선을 다하라-2018.3.24. 사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4 192
1307 누가 예수님의 참가족인가?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2019.1.29.연중 제3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29 192
1306 성인聖人, 성녀聖女가 됩시다 -참 사람의 영원한 모델; 모세, 예수님-2019.8.13.연중 제19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8.13 192
1305 사랑이 답이다 -삶의 기본, 삶의 본질-2019.9.18.연중 제2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9.18 192
1304 성령의 은총 -회개와 깨달음-2019.10.5.연중 제2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05 192
1303 참 아름다운 수행자修行者의 삶 -분별의 잣대는 예수님-2020.2.26.재의 수요일(금식과 금육, 십자가의 길) 1 프란치스코 2020.02.26 192
1302 살아 계신 ‘참보물’인 주님 -발견의 기쁨, 발견의 은총, 발견의 행복-2022.7.27.연중 제17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7.27 192
1301 영적 승리의 삶 -우리는 “주님의 전사들”입니다-2022.9.27.화요일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1581-166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09.27 192
1300 영원한 현역의 주님의 전사들 -영적 전쟁-2022.10.27.연중 제30주간 목요일 PACOMIO 2022.10.27 192
1299 겸손의 여정 -겸손은 은총이자 선택이요 훈련이다-2022.10.29.연중 제30주간 토요일 PACOMIO 2022.10.29 192
1298 부활의 희망속에 살아가는 우리들 -선종의 죽음-2022.11.19.연중 제3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11.19 192
1297 “행복하여라, 하느님의 자녀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평생처럼 삽시다-2023.1.22. 주일(하느님의 말씀 주일) ​​​​ 프란치스코 2023.01.22 192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