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4. 토요일(뉴튼수도원 75일째)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주교 학자(1567-1622) 기념일

                                                                                                                                    히브9,2-3.11-14 마르3,20-21


                                                                             미쳐야(狂) 미친다(及)

                                                                          -제대로 미치야 성인(聖人)-


오늘 복음을 보면 마음이 밝아지고 기분이 좋습니다. 딱 두절로 짧기 때문입니다. 매일미사 복음중 오늘 복음보다 짧은 복음은 없을 것입니다. 

오래 전의 일화가 지금도 생생합니다. 역시 12년 전 여기 뉴튼수도원에 머물 때 일입니다.

"원장신부님, 강론이 아주 좋습니다.“

당시 원장신부님의 영어미사중 영어강론에 대한 어느 수도형제의 찬사였습니다.

"예, 어느 면이 좋았어요?“

반색하며 묻자, 

"아주 짧아서 좋았습니다.“

란 대답에, 언뜻 스치던 신부님의 실망스런 안색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좌우간 말이든 글이든 기도든 성령의 이끄심이 아니라면 짧고 순수한 것이 좋습니다. 사실 마음이 간절하고 절실하면 저절로 짧아지기 마련입니다. 


오늘 복음 중 '그들은 예수님께서 미쳤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라는 대목이 강렬합니다. '미쳤다'는 말마디가 좋은 묵상감입니다. 

불광불급(不狂不及)이라 했습니다.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미쳐야 미친다는 말입니다. 만고불변의 진리입니다. 누구나 무엇엔가 미치고 싶은 갈망이 있습니다. 허무한 세상, 재미없는 세상, 사막같은 세상, 미치지 않고는 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아, 이게 인간입니다. 제대로 미치면 성인(聖人), 달인(達人), 장인(匠人), 도인(道人)이지만 잘 못 미치면 폐인(廢人)이란 옛 강론 내용도 생각납니다.


오늘 기념하는 성 프란치스코 주교 학자나 복음의 예수님 및 모든 성인(聖人)들은 세상의 눈으로 볼 때는 분명 미친 사람들입니다. 제 정신이 아닌 거지요. 매일 새벽 3시마다 일어나 묵상하여 강론을 쓰는 저 역시 미쳤을 지도 모릅니다. 직장 생활 8년만에 교직을 접고 제 나이 34세에 수도원에 들어올 때 찬성한 사람은 하나도 없고 모두 반대했습니다. 무모(無謀)하기는 맨땅에 헤이딩하는 모습이었고 모두가 걱정했습니다. 이 또한 세상 눈에는 미쳤음이 분명합니다.


미치지 않고는 미치지 못합니다. 예수님 역시 당대 세인들이 보기에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음이 분명합니다. 미친 예수님께는 가는 곳 어디나 고향이자 집이었습니다. 머리 둘 곳 조차 없는 정처없는 삶이셨지만 역설적으로 가는 곳 어디나 고향이요 집이었음을 뜻합니다. 오늘 '제자들과 함께 집으로 가셨다'라는 대목의 집도 이런 관점에서 이해하게 됩니다.


예수님의 공생애의 활동은 얼마나 황당했을까요? 당시 엘리트 종교인들인 바리사이들과 사두가이들과의 빈번한 충돌, 상종 못 할 죄인들, 세리들, 창녀들과 스스럼 없이 어울림 등 예수님이 가족 들 눈에는 미쳤다고 볼 수 뿐이 없었을 것입니다. 오죽했으면 예루살렘에서 내려온 율법교사들도 마귀 두목에 사로잡혀 마귀들을 쫓아낸다고 몰아 붙였을까요. 다만 예수님의 충실한 추종자들만이 예수님을 사랑했고 존경했고 무한한 신뢰를 보냈습니다. 하느님 사랑에 제대로 미친 성자(聖子), 하느님의 아드님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미쳐야 미칩니다. 미치지 않고는 미치지 못합니다. 곳곳에서 제대로 미친 성인같은 아름다운 사람들을 보는 기쁨에 살 맛나는 인생입니다. 제대로 미쳤기에 마침내 하늘의 하느님에 까지 닿아 하느님을 감동시겨 부활하신 후 우리의 영원한 대사제가 되신 예수님이십니다. 히브리서가 고백하는 그대로입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이미 이루어진 좋은 것들을 주관하시는 대사제로 오셨습니다. 그분께서는 당신의 피를 가지고 단 한 번 성소로 들어가시어 영원한 해방을 얻으셨습니다. 그러니 영원한 영을 통하여 흠 없는 당신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신 그리스도의 피는 우리의 양심을 죽음의 행실에서 얼마나 더 깨끗하게 하여 살아 계신 하느님을 섬기게 할 수 있겠습니까?‘


그대로 대사제 예수님께서 집전하시는 이 거룩한 성체성사의 은총을 상징합니다. 제대로 미쳐(狂) 하늘까지 이르신(及) 예수님 덕분에 하느님으로부터 가장 좋은 미사 선물을 받은 우리들입니다.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제대로 미친 성인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주님, 저희 마음을 열어 주시어, 당신 아드님 말씀에 귀 기울이게 하소서."(사도16,14참조).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27 성령의 힘-2015.10.26. 연중 제3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6 216
1426 성령의 힘 -삶의 중심과 성령-2020.1.27.연중 제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27 140
1425 성령의 인도에 따른 삶 -하느님은 구부러진 곡선위에서도 똑바로 쓰실 수 있다-2021.5.11.화요일 성 오도(879-942), 성 마욜로, 성 오딜로, 성 후고, 복자 베드로 베네라빌리스와 클뤼니 수도원의 아빠스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05.11 106
1424 성령의 은총 -회개와 깨달음-2019.10.5.연중 제26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05 192
1423 성령의 선물-성령 예찬-2015.5.24. 주일 성령 강림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5.05.24 563
1422 성령의 선물-2016.5.15. 주일 성령 강림 대축일 (스승의 날, 가정의 날) 프란치스코 2016.05.15 325
1421 성령의 선물, 성령의 사람 -주님의 참 좋은 최고의 선물-2021.5.23.성령 강림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5.23 109
1420 성령의 선물 -늘 푸른 기쁨의 삶-2017.9.4. 연중 제2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7.09.04 136
1419 성령의 사람들 -삶을 통한 감동感動이 답이다-2018.5.8. 부활 제6주간 화요일 2 프란치스코 2018.05.08 125
1418 성령의 사람-2015.12.26. 토요일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프란치스코 2015.12.26 444
1417 성령의 사람, 성령의 은총 -기도, 지혜-2020.5.28.부활 제7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5.28 155
1416 성령의 사람 -성령이 답이다-2018.5.20. 성령 강림 대축일 2 프란치스코 2018.05.20 189
1415 성령의 사람 -경계인境界人-2019.12.16. 대림 제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2.16 145
1414 성령의 사람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2021.5.19.부활 제7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5.19 139
1413 성령의 사람 -영적인 삶-2015.12.1. 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5.12.01 303
1412 성령의 내적 혁명가가 됩시다 -유토피아의 실현-2017.12.5. 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7.12.05 131
1411 성령을 사랑하십시오 -성령과 믿음-2019.10.19.연중 제28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9 141
1410 성령을 따르는 삶 -회개의 삶-2015.10.24. 연중 제2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4 281
1409 성령에 따른 삶 -무지에 대한 답은 예수님과 미사뿐이다-2019.1.28.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1.28 183
1408 성령에 따른 삶 -기도와 순종-2020.10.17.토요일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주교 순교자(35-11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0.10.17 121
Board Pagination Prev 1 ...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