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2.6.2.부활 제7주간 목요일                                                      사도22,30;23.6-11 요한17,20-26

 

 

예닮의 여정

-공동체 일치는 선물이자 과제이다-

 

 

시국이 어수선하고 답답할 때는 시詩를 읽게 됩니다. 존재의 빈터에서 존재의 소리를, 하느님의 소리를 듣게 됩니다. 자신을 다시 추스르며 영적靈的 전의戰意를 새로이 하게 됩니다. 죽어야 끝나는 끝까지 싸워야 하는 주님의 전사로서의 영적전쟁입니다. 어제 40대 초반의 객관적 상황으로는 아주 절망적인 젊은이와 면담성사시 충고입니다.

 

“어쩝니까. 살아야지요. 이미 지난 삶에 아파할 것이 아니라, 주어진 삶에 절망할 것이 아니라 오늘부터 용기를 내어 다시 시작하는 것입니다. 삶은 선택입니다. 행복도 희망도 기쁨도 선택입니다. 희망의 주님을, 행복의 주님을 선택하여 사는 것입니다. 참으로 용기가 필요합니다. 주님께서 용기를 주십니다.”

 

오늘 지금부터 주님을 선택하여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력할 것을 격려했습니다. 참으로 주님을 선택할 때 주님을 닮아가는 예닮의 여정과 더불어 기쁨도 희망도 행복도 날로 더해 질 것입니다. 여기서 명심할 바 우리의 여정은 혼자가 아닌 주님과 형제들과 더불어의 여정이라는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삶은, 행복은 선물이자 동시에 선택이자 과제입니다. 공동체의 일치도 마찬가지입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 복음도 계속되는 예수님의 고별기도입니다. 흡사 세상을 떠나기전 예수님의 간절한 소원이 담긴 유언같습니다. 어제는 제자들을 위한 기도였다면 오늘은 믿는 이들의 일치를 위한 기도입니다. 참으로 주님의 간절한 기도가 있어 주님의 선물같은 공동체의 일치입니다. 

 

“저는 이들만이 아니라 이들의 말을 듣고 저를 믿는 이들을 위해서도 빕니다.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 계시고 제가 아버지 안에 있듯이, 그들도 우리 안에 있게 해주십시오.”

 

저절로 공동체의 일치가 아닙니다. 공동체의 일치는 주님의 선물이자 우리의 평생 과제라 했습니다. 공동체의 일치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것입니다. 정말 큰 죄가 공동체의 분열을 조장하는 것입니다. 악은 공동체의 분열을 획책하며 우리를 유혹합니다. 

 

답은 주님께 대한 사랑뿐입니다. 주님의 기도에 대한 우리의 너무나 자연스럽고 당연한 응답입니다. 공동체 일치의 중심인 그리스도 예수님을 향한 사랑입니다. 우리의 사부 성 베네딕도 역시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보다 그 무엇도 앞세우지 말라 하셨습니다. 참으로 예수님을 사랑할 때 아버지와 예수님의 일치에 참여함으로 공동체의 일치는 날로 깊어갑니다. 아주 오래전 주님께 대한 사랑을 고백한 시가 생각납니다.

 

당신이 꽃을 좋아하면

당신의 꽃이

당신이 별을 좋아하면

당신의 별이

당신이 하늘을 좋아하면

당신의 하늘이

되고 싶다

늘 당신의 모두가, 무엇이 되고 싶다-1998.12.25.

 

무려 24년전 시입니다. 사랑의 진리는 영원합니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습니다. 새삼 삶은 반복임을, 그러나 새로운 반복, 거룩한 반복임을 깨닫습니다. 예나 이제나 공동체의 일치를 위한 우선적 응답은 공동체 일치의 중심인 주님께 대한 한결같은 열렬한 사랑입니다. 

 

참으로 주님을 사랑하면서 주님의 우리 위한 사랑을 깨닫습니다.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는 계명을 지키게 됩니다. 이렇게 주님 사랑과 이웃 형제 사랑은 함께 갑니다. 이런 공동체 일치를 위한 노력의 모범이 제1독서 사도행전의 주인공 바오로입니다. 참으로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 사도 바오로입니다. 최고의회에 출두하여 주님을 증언하는 바오로 사도입니다.

 

“형제 여러분, 나는 바리사이이며 바리사이의 아들입니다. 나는 죽은 이들이 부활하리라는 희망 때문에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주님은 뱀같이 지혜롭고 비둘기 같이 순결하라 했습니다. 지혜와 순수는 주님의 전사의 기본적 자질입니다. 참으로 주님을 사랑할 때 주님의 선물이 지혜와 마음의 순수입니다. 마침내 부활을 주장하는 바리사이와 부활을 믿지 않는 사두가이와의 싸움으로 번져 바오로는 위기를 모면합니다. 바오로 사도에게 부활하신 파스카의 주님은 영원한 사랑의 대상이자 희망의 대상입니다. 참으로 부활하신 파스카의 주님께 희망을 두었기에 이런 백절불굴의 선교여행입니다. 

 

바리사이와 사두가이 사이에 논쟁이 격렬해지자 천인대장은 기민하게 바오로를 그들 가운데 빼내어 진지 안으로 옮깁니다. 이런 모든 정황이 늘 바오로와 함께 하시는 주님을 증거합니다. 바오로뿐 아니라 참으로 주님을 사랑하는 이들과 늘 함께 하시는 주님이십니다. 그날 밤, 주님은 바오로 앞에 서시어 그를 격려하십니다.

 

“용기를 내어라. 너는 예루살렘에서 나를 위하여 증언한 것처럼, 로마에서도 증언해야 한다.”

 

저절로 “용기를 내어라. 내가 세상을 이겼다”(요한16,33ㄷ) 라는 예수님 말씀이 떠오릅니다. 마침내 바오로의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선교여정은 온 세상의 중심인 로마에서 절정을 이룰 것임을 보여주는 환시입니다. 혼자가 아니라 부활하신 파스카의 주님이 늘 함께 했던 바오로 사도의 선교 여정임을 깨닫습니다. 

 

예닮의 여정입니다. 공동체의 중심인 파스카 예수님과 늘 함께 하는 예닮의 여정에 항구하며 주님을 사랑하고 형제들을 사랑할 때 주님과의 일치도 깊어질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의 주님의 간절한 소원인 공동체의 일치도 이뤄질 것입니다. 날마다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당신 중심의 공동체의 일치를 날로 깊이해 주십니다. 

 

“용기를 내어라. 두려워하지 마라.” 늘 우리와 함께 하시며 격려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7 참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 -하느님 중심의 초연한 깨어 있는 삶-2020.9.9.연중 제2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09 109
1366 사랑의 예닮 여정 -무지와 허무에 대한 답은 예수님뿐이다-2020.9.10.연중 제23주간 목요일 ​​​​​​​ 1 프란치스코 2020.09.10 100
1365 개안開眼의 여정 -무지로부터 깨달음의 앎으로-2020.9.11.연중 제23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1 105
1364 반석 위의 인생 성전聖殿 집 -말씀과 기도, 성찬례 실행의 생활화-2020.9.12.연중 제2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2 117
1363 어떻게 살 것인가? -사랑하라, 화내지 마라, 자비로워라-2020.9.13.연중 제24주일 1 프란치스코 2020.09.13 139
1362 성 십자가 예찬 -기도와 회개의 표징이자 구원의 이정표-2020.9.14.월요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14 173
1361 아, 어머니! 고통의 성모 마리아님! -관상, 연민, 비움, 초월-2020.9.15.화요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9.15 195
1360 선물이냐 짐이냐? -하느님이, 기도와 사랑이 답이다-성 고르넬리오 교황(+253)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25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9.16 130
1359 부활 은총의 삶 -사랑, 만남, 회개, 용서, 구원-2020.9.17.연중 제2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7 136
1358 더불어 여정 중의 공동체 -중심(믿음), 비전(희망), 역할(사랑)-2020.9.18.연중 제2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18 107
1357 참된 수행자의 삶 -희망, 간절함, 항구함, 인내-2020.9.19.연중 제2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0.09.19 108
1356 구원의 여정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2020.9.20(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1821-1846)와 성 정하상 바오로(1795-1839)와 동료 순교자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20 150
1355 부르심의 여정 -부르심, 들음, 따름-2020.9.21.월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20.09.21 113
1354 멋지고, 맛있고, 아름다운 삶 -말씀 예찬-2020.9.22.연중 제25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2 120
1353 파견된 복음 선포자의 삶 -선물, 비전, 믿음, 환대, 활동-2020.9.23.수요일 피에트첼치나 성 비오 사제(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9.23 118
1352 충만한 삶 -허무와 무지에 대한 답은 하느님뿐이다-2020.9.24.연중25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4 123
1351 때를 아는 지혜 -모든 것은 다 때가 있다-2020.9.25.연중 제25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5 102
1350 기억하라, 사랑하라, 찬미하라 -창조주 하느님, 파스카 예수님을!-2020.9.26.연중 제2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6 106
1349 참 멋지고 아름다운 삶 -끊임없는 회개-2020.9.27.연중 제26주일(이민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9.27 108
1348 하느님의 종 -믿음의 대가;예수님과 욥-2020.9.28.연중 제26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9.28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