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2.화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230년?) 기념일

요한묵14,14-19 루카21,5-11

 

 

정주의 영성

-하루하루, 한결같이-

 

 

 

"태양이 솟아 오를 무렵, 성녀 체칠리아는

'그리스도의 전사여, 어두움의 행실을 벗어버리고

빛의 갑옷을 입으라'하고 부르짖었도다."(아침성무일도 즈카르야의 노래 후렴)

 

“보라, 이제 순결한 예물, 정결한 희생 제물인 용감한 동정녀 체칠리아가,

우리를 위하여 십자가에 달리신 어린양을 따른다.”(입당송)

 

더불어 생각나는, 오늘 하루 종일 부르고 싶은 모든 성인의 날, 저녁성무일도 때 마리아의 노래 후렴입니다.

 

“성인들이 그리스도와 함께 기뻐하는 그 나라가 얼마나 영광스러운가.

흰옷을 입고 어린양을 따라가는도다.”

 

오늘은 3세기 중엽 순교한 체칠리아 동정 성녀 기념일입니다. ‘천상의 백합’이란 이름 뜻대로, 배교의 강요를 물리치고 동정으로 순교한 성녀의 삶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성녀 체칠리아는 음악과 음악인들의 수호성인입니다. 

 

성녀가 원치 않았던 결혼식때 결혼 음악과 환호하는 소리를 듣지 못하였고, 내심으로 하느님을 찬양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행적에 근거합니다. 성녀의 문장은 오르간입니다. 끝까지 신앙을 지키며 참혹한 순교를 맞이했던, 참으로 하느님 사랑에 깊이 뿌리 내린 정주의 성녀였습니다. 

 

지난 11월20일 주일, 그리스도왕 대축일 삼종기도후 교황님의 강론 끝부분중 공감이 갔던, “우리는 평화의 기근 시대를 살고 있다” 말마디가 지금도 생생합니다. 베네딕도 수도회의 평화의 정주, 정주의 영성, ‘하루하루, 한결같이’의 삶이 참으로 절실한 시절입니다. 제 좌우명일뿐 아니라 성인들의 특징이 하루하루, 한결같이, 정주의 삶이었습니다. 제 사랑하는 좌우명시 “하루하루 살았습니다”중 “산과 강”에 연관된 두 연을 소개합니다. 

 

1.“하루하루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언제나 그 자리에 불암산佛巖山이 되어 가슴 활짝 열고

모두를 반가이 맞이하며 살았습니다.

있음 자체만으로 넉넉하고 편안한 산의 품으로,

바라보고 지켜보는 사랑만으로 행복한 산이 되어 살았습니다.

이제 오랜 연륜과 더불어 

내적으로는 장대한 ‘하느님의 살아 있는 산맥山脈’이 되어 살았습니다.

하느님은 영원토록 영광과 찬미받으소서.”

 

2.“하루하루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끊임없이 하느님 바다를 향해 흐르는 강이 되어 살았습니다.

때로는 좁은 폭으로 또 넓은 폭으로

때로는 완만緩慢하게 또 격류激流로 흐르기도 하면서

결코 끊어지지 않고 계속 흐르는 ‘하느님 사랑의 강江’이 되어 살았습니다.

 

제 사랑하는 성 베네딕도 수도회의 영성이 바로 한결같이, 하루하루,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 살아가는 정주의 영성, 산과 강의 영성입니다. 오늘 지금 여기서 영원한 현재를 사는 영성입니다. 역시 다음 좌우명시 '산과 강'이라는 짧은 시가 이를 요약합니다.

 

“밖으로는 산, 천년만년 임기다리는 정주의 산,

 안으로는 강, 천년만년 임향해 맑게 흐르는 강”

 

바로 산과 강의 정주의 영성이 오늘 말씀에 대한 답을 줍니다. 정주의 영성은 그대로 평화의 영성입니다. 하느님 중심에 깊이 믿음의 뿌리 내리기에 흔들림 없는 요지부동의 평화입니다. 심판을 염두에 둘수록 더욱 정주 영성에 박차를 가하며 하루하루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평생처럼 삽니다. 제1독서 묵시록의 최후심판의 장면이 실감나게 전달됩니다.

 

“낫을 대어 수확을 시작하십시오. 땅의 곡식이 무르익어 수확할 때가 왔습니다.” 의인의 구원이 이에 해당됩니다.

“그 날카로운 낫을 대어 땅의 포도나무에서 포도송이들을 거두어 들이십시오. 포도가 다 익었습니다.” 악인의 심판이 이에 해당됩니다.

 

이런 마지막 심판을 염두에 둘수록 하루하루의 삶에 한결같이 최선을 다하는 진인사대천명의 삶입니다. 오늘 복음의 경우 역시 정주 영성의 결핍을 보여 줍니다. 갈팡질팡, 우왕좌왕, 일희일비, 경거망동, 부화뇌동, 모두가 정주의 뿌리가 없어 혼란으로 방황하고 표류하는 모습들입니다. 성전의 호화로운 외관에 마음을 뺏기는 것도 정주 영성의 빈약함의 표현입니다. 예수님의 말씀이 그대로 오늘 우리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너희는 속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여라. 많은 사람이 내 이름으로 와서, ‘내가 그리스도다.’, 또 ‘때가 가까웠다.’하고 말할 것이다. 그들 뒤를 따라가지 말라. 그리고 너희는 전쟁과 반란이 일어났다는 소문을 듣더라도 무서워하지 마라.”

 

정주의 영성에, 정주의 삶에 한결같이 충실할 수 있음은 늘 함께 하시는 주님의 은총입니다. “주님은 나의 목자, 아쉬울 것 없어라”, “주님은 나의 목자, 두려울 것 없어라.” 저절로 정주의 삶에서 솟아나는 믿음의 고백, 사랑의 고백입니다. 주님의 날마다의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한결같이, 하루하루 정주의 삶에 충실하도록 도와 주십니다. 며칠전 읽은 참 좋은 말마디를 나눕니다. 주님 안에서 정주의 삶에 항구할 때 주어지는 은총입니다.

 

-“정수유심(靜水流深), 심수무성(深水無聲)”

 “고요한 물은 깊이 흐르고, 깊은 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67 오소서, 성령님 -행복한 사람들이여, 성령께 마음을 열라-2023.12.5.대림 제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5 151
3266 행복하여라 -겸손과 평화의 참 좋은 믿음의 사람들!-2023.12.4.대림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4 158
3265 대림의 희망과 기쁨 -깨어 있어라, 회개하라, 감사하라-2023.12.3.대림 제1주일 프란치스코 2023.12.03 162
3264 영적승리의 삶 -“늘 깨어 기도하여라”-2023.12.2.연중 제3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2 166
3263 하느님 나라의 여정 -“하루하루 날마다,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2023.12.1.연중 제34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1 173
3262 버림과 따름, 믿음의 여정 -제자이자 사도의 삶-2023.11.30.목요일 성 안드레아 사도(1세기 초반-1세기 중반) 축일 프란치스코 2023.11.30 171
3261 하느님의 궁극의 승리 -너희는 인내로서 생명을 얻어라-2023.11.29.연중 제3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9 161
3260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파거불행(破車不行), 노인불수(老人不修)- 오늘 지금 여기를 살라2023.11.28.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8 169
3259 나는 누구인가? -자기인식의 겸손과 지혜, 자유와 행복-2023.11.27.연중 제34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7 154
3258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을 사랑하고 섬깁시다 -“하루하루, 날마다, 늘, 끝까지. 한결같이, 평생을”-2023.11.26.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11.26 152
3257 희망의 여정 -죽음은 새로운 삶의 시작-2023.11.25.연중 제33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5 147
3256 성전정화 -성전정화의 일상화- “하루하후, 날마다, 평생-”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9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마카4,36-37.52-59 루카19,45-48 프란치스코 2023.11.24 160
3255 주님 평화의 전사 -평화사랑, 평화훈련, 평화습관-2023.11.23.연중 제3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3 150
3254 성화(聖化)의 여정 -성인(聖人)이 되는 것은 우리의 거룩한 소명(召命)이다-2023.11.22. 수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23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22 160
3253 예수님의 참가족, 한가족이 된 우리들 “복되신 동정 마리아와 함께” -성모님 예찬-2023.11.21.화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21 167
3252 개안(開眼)의 여정 -날로 좋아지고 지혜로워지는 삶-2023.11.20.연중 제33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0 159
3251 참 행복한 삶 -사랑하라, 깨어 있어라, 책임을 다하라-2023.11.19.연중 제33주일(세계 가난한 이의 날) 프란치스코 2023.11.19 145
3250 간절하고 항구한 기도 -기도, 믿음, 삶-2023.11.18.연중 제3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1.18 147
3249 사랑과 지혜 -무지에 대한 답은 주님이시다- 프란치스코 2023.11.17 156
3248 정주(定住)의 지혜 -지혜 예찬(禮讚), 지혜를 사랑합시다-2023.11.16.목요일 성녀 대(大) 젤투르다 동정(1256-1302)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16 161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