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6.10.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2코린3,4-11 마태5,17-19


                                                                                                         율법의 완성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사랑없이 율법의 완성은 불가능합니다. 아무리 율법을 지켜도 여전히 지켜야 할 율법은 남아있고 마음의 평화도 없습니다. 결코 율법주의는 하느님이 원하는 바도 아니고 우리를 자유롭게 하지 않습니다. 예수님은 율법을 폐지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율법을 완성하러 오셨습니다. 예수님은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하셨습니다. 


예수님은 결코 율법주의자가 아닙니다. 그러면 어떻게 율법의 완성입니까? 사랑을 통해서입니다. 사랑뿐이 답이 없습니다. 사랑과 율법은 별개의 것이 아닙니다. 하느님의 무한한 사랑의 표현이 율법입니다. 그러니 사랑으로 행할 때는 율법에 거스르는 일이 없습니다. 사랑은 분별의 잣대입니다. 예전에 써놓은 짧은 자작 애송시가 생각납니다.


-나무에게 하늘은 가도 가도 멀기만 하다.

 아예 고요한 호수가 되어 하늘을 담자.-


나무는 부단한 율법준수를 통해 완성을 지향하는 자의 모습을 상징하는 반면 호수는 하늘 사랑을, 사랑의 하느님을 마음에 담은 '사랑의 사람'을 상징합니다. 그러니 나무가 되어 살 것이 아니라 사랑의 호수가 되어 사는 것입니다. 이런 호수같은 사랑의 사람을 통해 비로소 율법의 완성입니다. 


율법을 지키려는 노력보다는 사랑 실천에 집중해야 합니다. 율법준수에 집착할 때는 자유롭지 못하고 사랑에 힘쓸 때는 자유롭습니다. 사랑이 진정 자유롭게 합니다. 비단 율법만이 아닙니다. 수도자의 모든 수행도 사랑의 표현이요 궁극엔 자유를 목표로 합니다. 


어제의 경우가 지금도 마음에 걸립니다. 아침 식사후 집무실에서 일을 보고 있을 때 몹시 힘들어 보이는 한 자매가 문 앞에 서서 고백성사를 보고 싶다 했습니다. 

"3시경 기도 후에 오십시오. 그때 고백성사 드리겠습니다.“

기도후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았습니다. 시간상 기다릴 여유가 없어 떠난 듯 했습니다. 참 마음이 걸렸습니다. 힘들게 오신 분이 분명한데, 이런 예외적인 경우는 기도를 못하더라도 사랑의 분별로 우선 불쌍해 보이는 자매부터 성사를 드렸어야 하는 건데 많이 후회되었습니다. 


성령은 사랑입니다. 분별의 사랑도 성령의 선물입니다. 사랑의 성령에 따라 살 때 저절로 율법의 완성입니다. 1독서의 새 계약의 일꾼은 비단 바오로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해당됩니다.


"우리의 자격은 하느님에게서 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새 계약의 일꾼이 되는 자격을 주셨습니다. 이 계약은 문자가 아니라 성령으로 된 것입니다. 문자는 사람을 죽이고 성령은 사람을 살립니다.“


그렇습니다. 사람을 위한 율법이지 율법을 위한 사람이 아닙니다. 사람이 빠진 문자 그대로의 율법주의는 사람을 죽이고 성령의 사랑은 사람을 살립니다. 하느님께서는 세례 받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 모두에게 새 계약의 일꾼이 되는 자격을 주셨습니다. 새 계약의 사람들은 성령의 사람들, 사랑의 사람들입니다. 사랑의 분별로 율법의 완성에 이르게 하는 사랑의 성령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 성령으로 충만케 하시어 사랑의 삶을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7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주님의 위로와 치유-2018.12.17.대림 제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17 123
1446 회개를 통한 주님 은총의 선물 -기쁨, 평화, 희망, 찬미, 감사, 겸손-2018.12.16.대림 제3주일(장미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2.16 196
1445 “나는 누구인가?” -주님과의 관계-2018.12.15.대림 제2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15 118
1444 하늘을 가리지 마라 -경청傾聽이 답이다-2018.12.14.금요일 십자가의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2.14 136
1443 주님을 사랑하십시오 -기쁨, 초연, 순수-2018.12.13.목요일 우리 연합회의 수호자 성녀 오딜리아 동정(662~720)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13 155
1442 삶은 선물인가 짐인가? -기도가 답이다- 1 프란치스코 2018.12.12 104
1441 환대의 하느님 -우리 모두가 작은 이들이다-2018.12.11. 대림 제2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11 120
1440 살아 계신 주님과의 만남 -무지와 영육의 병에 최고의 치유자-2018.12.10. 대림 제2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10 155
1439 인생 광야 여정 -주님의 길을 마련합시다, 주님의 길이 됩시다-2018.12.9. 대림 제2주일(인권주일-사회 교리 주간) 1 프란치스코 2018.12.09 230
1438 은총이 가득한 행복한 삶 -정주, 찬미, 순종-2018.12.8.토요일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2.08 164
1437 영적 성장 -개안의 여정-2018.12.7.금요일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2.07 129
1436 반석위에 세워진 인생집 -사랑의 수행자-2018.12.6.대림 제1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06 136
1435 희망이 최고의 명약名藥이다 -희망과 구원의 하느님-2018.12.5.대림 제1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05 145
1434 성령이 희망이다 -하늘 나라 유토피아 꿈의 실현-2018.12.4. 대림 제1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04 136
1433 주님을 감동시키는 간절하고 겸손한 믿음 -하느님 꿈의 실현-2018.12.3.월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12.03 130
1432 대림의 기쁨 -오늘이 바로 그날이다!-2018.12.2. 대림 제1주일 1 프란치스코 2018.12.02 101
1431 하늘나라 꿈의 현실화 -이제부터 다시 시작이다-2018.12.1.연중 제3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01 115
1430 주님은 ‘구원의 출구出口’이시다 -부단한 탈출의 여정-2018.11.30. 금요일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1 프란치스코 2018.11.30 102
1429 아름다운 세상, 아름다운 사람들 -아름답고, 행복하게-2018.11.29.연중 제34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29 125
1428 영적 승리의 삶과 찬가讚歌 -영적 전쟁-2018.11.28.연중 제3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1.28 150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