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7.1. 연중 제13주간 수요일                                                                                                               창세21,5.8-20 마태8,28-34


                                                                                                       집과 무덤


오늘 말씀 묵상중 떠오른 주제는 '집과 무덤'입니다. 집은 문이 있고 무덤은 문이 없습니다. 수도원의 앞문은 세상의 사람들에게, 뒷문은 사막의 하느님께 열려 있어야 합니다. 때로는 방이 무덤같다는 생각도 듭니다만 앞문, 뒷문이 있기에 무덤이 아니라 방입니다. 


사람의 몸 역시 집도 될 수 있고 무덤도 될 수 있습니다. 바로 몸의 문 역할을 하는 것이 눈과 귀입니다. 눈과 귀를 활짝 열고 보고 들어야 하느님과 이웃 간의 소통이요 생명입니다. 눈이, 귀가 닫힐 때 몸은 그대로 무덤이 됩니다. 마음 역시 집이 될 수 있고 무덤이 될 수 있습니다. 마음의 문이 활짝 열리면 집이요, 마음의 문이 닫혀 고립단절의 상태가 되면 바로 무덤입니다.


집이 생명의 소통을 상징한다면, 무덤은 죽음의 불통을 상징합니다. 오늘 1독서에서 집의 아브라함과 복음의 무덤에서 나온 마귀들린 사람 둘이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하느님과 이웃에 활짝 열린 집에서 살아야 비로소 아브라함 같은 온전한 사람이요, 하느님과 이웃에 단절되어 닫힌 무덤같은 집에서 살 때 마귀들린 사람입니다. 오늘날 무덤같은 집에서 자폐적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지요. 하여 무수한 정신질환이나 치유 불능하다 싶을 정도의 중독 현상 역시 일종의 마귀들린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본능적으로 소통의 생명을 추구하는 사람들입니다. 저절로 눈들어 하늘을 바라보는 것이나, 방이나 집에 들어갔을 때 저절로 창문으로 향하는 눈길 역시 문을 찾는 사람임을 보여 줍니다. 마음 문이 닫혀 무덤이 될 때 누구나 마귀들린 사람의 가능성입니다.


"마귀들린 사람 둘이 무덤에서 나와 그분께 마주 왔다. 그들은 너무 사나워 아무도 그 길로 다닐 수가 없었다.“


오늘 복음의 장면이 섬찟합니다. 누구나 닫힌 자폐적 삶을 살다보면 사나워지고 거칠어지기 마련입니다. 열두해 하혈병을 앓으며 재산을 탕진한 여자가 주님을 만나 치유되었듯이 마귀들린 이들의 치유도 파스카의 주님을 만날 때만 가능합니다. 주님을 만남으로 마귀로부터 해방된 마귀들린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치유보다는 유비무환의 예방이 백배 낫습니다. 마귀들린 중독 상태에서 벗어나기가 너무 힘들기 때문입니다.


바로 1독서의 아브라함이 그 모범입니다. 하느님이 계신 곳을 찾지 말고 하느님을 찾으라는 사막교부의 권고도 있습니다. 하느님은 어디에나 계시기 때문입니다. 아브라함은 사제도 아니었고 수도자도 아닌 세상속의 평범한 신앙인이었습니다. 말그대로 평범한 성인입니다. 오늘 1독서 창세기에서 사라와 하가르 사이에서 갈등하고 고뇌하는 아브라함의 모습은 얼마나 인간적인지요. 


무덤의 마귀들린 사람과는 달리 늘 하느님 향해 문을 활짝 열고 하느님과 부단한 소통중에 살아온 기도와 믿음의 사람 아브라함이었습니다. 고뇌의 밤샘 기도후 주님 말씀대로 아침 일찍 일어나 하가르 모자에게 만반의 준비를 갖춰준 후 집에서 내보내는 아브라함입니다. 


아브라함의 분별력의 지혜가 빛을 발합니다. '비정非情의 사람' 아브라함 같지만 하느님의 뜻에 따른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모든 것을 다 혼자 해결한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뜻을 따랐고 하느님은 광야에 버려진 하가르와 그 아들 모자를 살려 주셨습니다.


오늘 새벽 잠시 수도원 정자에 누워 사방 하늘과 이웃에 활짝 열려 있는 집, 정자같은 사람, 아브라함에 대해 묵상했습니다. 미사 퇴장 후 빠코미오 원장수사와 웃으며 나눈 대화입니다.


"원장은 사방 하늘과 이웃에 활짝 열려 있는, 또 언제나 누구든 쉬어갈 수 있는 집, 정자같은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하느님과 이웃에 문을 활짝 열때는 아브라함이요, 문을 닫고 살 때는 무덤의 마귀들린 사람입니다. 이 둘다 우리의 가능성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마음의 문을 활짝 열어주시어 필요한 은총을 풍성히 나눠 주시고 우리 안에 내재해 있는 온갖 어둠의 세력을 일소시켜 주십니다.


"주님을 경외하여라. 그분을 경외하는 이에게는 아쉬움이 없으리라. 부자들도 궁색해져 굶주리게 되지만, 주님을 찾는 이에게는 좋은 것뿐이리라.(시편34,10-11).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7 어머니인 교회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2024.5.20.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0 109
1746 어제나 내일이 아닌 오늘! -오늘, 처음처럼, 마지막처럼, 평생처럼-2019.11.20.연중 제33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20 162
1745 언제 어디서나 일하시는 하느님 -하늘 나라의 실현-2019.7.10. 연중 제1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10 158
1744 여러분은 무슨 맛으로 살아 가십니까? -하느님 맛, 또는 돈 맛-2019.4.17.성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7 121
1743 여여如如한 삶 -수행자의 삶-2017.9.23. 토요일 피에트첼치나의 성 비오 (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3 166
1742 여전如前한 삶 -영원한 현역現役, 영원한 학생學生-2016.5.15. 월요일 성 빠코미오 아빠스(287-34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5.15 107
1741 역사는 반복되는가 -날마다 주님 ‘파스카의 꽃’으로 삽시다-2023.12.28.목요일 죄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프란치스코 2023.12.28 134
1740 역사는 현재現在다 -하느님은 조화調和이시다-2018.3.27. 성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27 134
1739 연대의 힘-2015.8.29. 토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5.08.29 303
1738 연민(compassion)의 사람-2015.10.30. 연중 제30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5.10.30 178
1737 연민과 겸손 -참여형과 은둔형-2015.1.15. 연중 제1주간 목요일(뉴튼수도원 66일째) 히브3,7-14 마르1,40-45 1 프란치스코 2015.01.15 764
1736 연민과 겸손의 바다같은 신비가 -오, 자비와 지혜, 신비의 하느님이여!-2023.11.6.연중 제3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06 155
1735 연옥에서 천국을 사는 사람들 -온유와 겸손-2017.11.2. 목요일 위령의 날 1 프란치스코 2017.11.02 153
1734 열매 풍성한 삶 -부단한 나눔과 비움의 사랑-2019.8.10.토요일 성 라우렌시오 부제 순교자(+258)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0 204
1733 열정과 환대-2015.11.17. 화요일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1207-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11.17 315
1732 영광스러운 죽음-2015.5.22. 부활 제7주간 금요일 - 프란치스코 2015.05.22 180
1731 영광스런 삶과 죽음 -예수님이 답이다-2018.3.18. 사순 제5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3.18 144
1730 영성의 대헌장; 진복팔단 -행복은 발견이다-2016.6.6. 연중 제10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06.06 259
1729 영성의 시냇물 -“한결같은 주님 사랑, 말씀 사랑, 형제 사랑”-2023.5.8.부활 제5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5.08 279
1728 영성이 없다! -참 좋은 영성을 위한 기도, 회개, 용서의 삶-2019.6.25.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1 프란치스코 2019.06.25 224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