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5.12.30. 수요일 성탄 팔일 축제 내 제6일                                                       1요한2,12-17 루카2,36-40


                                                                   정주(定住)의 축복


오늘은 ‘정주의 축복’에 대한 묵상을 나눕니다. 정주자체가 축복이요 구원입니다. 오늘 복음의 한나는 진정 ‘정주의 사람’이자 ‘축복의 사람’입니다. 절집(寺刹)의 두 큰 자산은 노목老木과 노승老僧이라 합니다. 한나같은 노성녀老聖女는 진정 하느님의 집인 교회의 큰 자산임을 깨닫습니다. 남편과 일곱해를 살고서는, 여든 네 살이 되도록 과부로 지내면서 성전을 떠나는 일 없이 단식하고 기도하며 밤낮으로 하느님을 섬긴 한나입니다. 마침내 봉헌되시는 아기 예수님을 만났고 예루살렘의 속량을 기다리는 모든 이에게 기쁜 소식을 전합니다.


성전이 상징하는바 하느님입니다. 진정 정주할 곳은 하느님뿐입니다. 하느님 중심안에 정주할 때 지나는 세상 것들로부터 이탈의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덧없는 세상 것들로부터 초연할 수 있습니다. 정주의 중심을 잃을 때 혼란이요 방황입니다. 세상 것들에 집착하게 되고 욕망의 노예가 되어 버립니다. 오늘 사도 요한은 세상 것들에 집착하지 말라고 우리 모두에게 간곡히 당부합니다.


“여러분은 세상도 또 세상 안에 있는 것들도 사랑하지 마십시오. 누가 세상을 사랑하면, 그 사람 안에는 아버지의 사랑이 없습니다. 세상에 있는 모든 것, 곧 육의 욕망과 눈의 욕망과 살림살이에 대한 자만은 아버지에게서 온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온 것입니다.”


세상에 대한 사랑과 아버지에 대한 사랑은 양립할 수 없습니다. 아버지를 사랑하여 아버지 안에 정주할 때 비로소 세상 것들에 초연할 수 있으며 집착함이 없이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사랑할 수 있습니다. 하느님께 집착할 때 세상 것들부터 저절로 이탈하게 됨으로 세상을 떠나지 않고서도 세상 안에서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새삼 하느님 안에 정주하여 하느님을 사랑함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정주하지 못하는 사람은 존재하지 못한다.’라는 하이덱거 철학자의 말도 생각이 납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역시 정주하지 못함을 묘사한 말입니다. 


정주하지 못할 때 하느님도 나도 모르니 존재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너희는 멈추고 하느님 나를 알라.’는 시편 말씀도 멈추어 정주할 때 하느님을 알 수 있음을 보여 줍니다. 하여 분도수도원의 으뜸 서원도 ‘정주(stability) 서원’입니다. 오래전의 ‘호수’라는 애송 자작시도 생각이 납니다.


“나무에게 하늘은 가도가도 멀기만 하다.

 아예 고요한 호수가 되어 하늘을 담자.”


정주의 마음 호수위에 가득 담기는 하느님의 얼굴인 하늘입니다. 바로 이것이 정주의 축복입니다. 오늘 복음의 후반부, 나자렛이 상징하는바 하느님의 정주처定住處입니다. 막연한 정주가 아니라 눈에 보이는 가시적 중심의 정주처가 중요합니다. 한나의 가시적 정주처가 성전이었다면 예수님의 성장과정중의 가시적 정주처는 나자렛이었습니다.


‘주님의 법에 따라 모든 일을 마치고 나서, 예수님의 부모는 갈릴래아에 있는 고향 나자렛으로 돌아갔다. 아기는 자라면서 튼튼해지고 지혜가 충만해졌으며 하느님의 총애를 받았다.’


이 또한 정주의 축복입니다. 예전에는 대부분 어머니의 품같은 자연이라는 가시적 중심의 고향이라는 정주처가 있었는데 오늘날 이런 정주처들은 대부분 사라져 감으로 사람들 역시 많이 거칠어지고 사나워졌습니다. 정주처의 손실은 다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세상은 지나가고 세상의 욕망도 지나갑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사람은 영원히 남습니다.’


하느님 안에 정주하여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며 사는 사람은 지나는 세상에서도 영원히 남습니다. 세월의 격랑에, 욕망의 격랑에 휘말리지 않고, 허무주의에 침몰하지 않고 늘 안정과 평화를 누립니다. 


바로 오늘 지금 내 몸담고 있는 여기가 정주처이자 하느님이 계신 곳입니다. 한나의 성전과 같은 곳이자 성장기 예수님의 나자렛 같은 곳입니다. 주님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이 우리 모두 정주의 중심인 하느님 안에 깊이 뿌리내리게 해 줍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06 생명의 좁은 문, 구원의 좁은 문 -은총, 분별의 지혜, 황금률-2023.6.27.연중 제1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7 297
3105 떠남의 여정 -자기인식의 복(福)된, 겸손하고 지혜로운 삶-2023.6.26.연중 제1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6 311
3104 민족의 화해와 일치 -평화공존-2023.6.25.주일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프란치스코 2023.06.25 324
3103 모두가 “신(神)의 한 수(手)”이다 -성소, 주님과의 관계, 훈련-2023.6.24.토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6.24 316
3102 하늘에 보물을 쌓는 삶 -“눈은 마음의 등불, 부단한 온갖 사랑의 수행”-2023.6.23.연중 제11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3 334
3101 주님의 기도 -기도가 답이다-2023.6.22.연중 제1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2 329
3100 하느님 중심의 삶 -무욕의 맑고 향기로운 섬김의 삶-2023.6.21.수요일 성 알로시오 곤자가 수도자(1568-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21 322
3099 사랑의 여정 -평생과제- “사랑은 은총이자 선택이요, 훈련이자 습관이다”2023.6.20.연중 제11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06.20 323
3098 하닮의 여정 -주님의 일꾼, 주님의 전사, 자비의 전사-2023.6.19.월요일 성 로무알도 아빠스(951-102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19 336
3097 참된 신자의 행복한 삶 -성소, 친교, 선교-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2023.6.18.연중 제11주일 프란치스코 2023.06.18 314
3096 “성화(聖化)되십시오!” -성화의 여정-2023.6.17.토요일 티 없이 깨끗하신 성모 성심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17 315
3095 사랑의 여정, 사랑의 학교 -“예수 성심의 사랑이 답이다”- 사랑도 선택이자 훈련이요 습관이다-2023.6.16.금요일 지극히 거룩하신 예수 성심 대축일(사제성화의 날) 프란치스코 2023.06.16 313
3094 “화해하여라!” -사랑의 화해도 은총이자 선택이요 훈련이자 습관이다- 내 안의 괴물들을 사랑의 인내와 훈련으로 길들이기2023.6.15.연중 제1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5 308
3093 사랑은 율법의 완성 -사랑이 답이다-2023.6.14.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4 308
3092 세상의 소금과 빛 -“예수님을 열렬히 한결같이 사랑하십시오”-2023.6.13.화요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195-123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06.13 303
3091 성덕(聖德)의 여정 -진복팔단(The Beatitudes)의 실천- 2023.6.12.연중 제10주간 월요일 ​​​​​​​ 프란치스코 2023.06.12 319
3090 예닮의 여정 -사랑의 성체성사의 은총-2023.6.11.주일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프란치스코 2023.06.11 275
3089 떠남의 여정 -찬미, 봉헌, 자선, 사랑이 답이다-2023.6.10.연중 제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6.10 273
3088 하느님 찬미가 답이다 -찬미 예찬-2023.6.9.연중 제9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9 275
3087 찬미받으소서 -사랑의 찬미, 찬미의 기쁨, 찬미의 행복-2023.6.8.연중 제9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3.06.08 270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