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8.29. 월요일 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일                                                  예레1,17-19 마르6,17-29


                                                                         하느님의 시야視野

                                                                       -여기 사람 하나 있다-


예수님의 ‘열 두 제자의 파견’과 ‘오천명을 먹이신 기적 사이에 마치 샌드위치처럼 자리 잡고 있는 ’세례자 요한의 죽음’입니다. 바로 이게 하느님의 시야입니다. 세례자 요한의 죽음으로 하느님의 구원역사가 끝난 것이 아니라 예수님이 그 뒤를 잇습니다. 어제 읽은 ‘저런게 하나 있음으로 해서(정세훈)’라는 시를 나누고 싶습니다.


-“저런 게 하나 있음으로 해서/새로운 세상이 열리는 거지

 아무 쓸모없는 듯/강폭 한가운데에 버티고 선/작은 돌 섬 하나

 있음으로 해서,

 에돌아가는/새로운 물길 하나 생겨난 거지”-


바로 오늘 복음의 세례자 요한의 죽음이 그러합니다. 참 무의미한 죽음 같은데 그분의 죽음으로 새로운 세상이 예수님을 통해 열렸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물론 제자들까지 세례자 요한의 죽음은 복음 선포의 삶에 끊임없이 분발케 하는 기억이 되었을 것입니다. 분명 예수님은 세례자 요한의 순교의 죽음을 통해 자신의 죽음도 예감했을 것입니다.


여기 사람 하나 있습니다. 세례자 요한입니다. 세례자 요한의 죽음이 참으로 인상적입니다. 죽음에 대해 깊이 묵상하게 됩니다. 누구나 겪는 죽음이요 죽음보다 더 중요한 일도 없습니다. 하여 사막교부들은 물론 성 베네딕도 역시 ‘죽음을 날마다 눈앞에 환히 두고 살라’고 권고합니다. 


‘진리와 정의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그를 본받아, 저희도 끝까지 하느님의 진리를 믿고 증언하게 하소서.’ 오늘 본기도가 삶의 지침을 제공하며 복된 죽음의 길을 보여줍니다. 하느님의 진리를 믿고 증언하는 삶이요 죽음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세례자 요한은 이야기의 중심이 됩니다. 참 사람은 세례자 요한 하나뿐입니다. 세례자 요한의 의로운 죽음을 통해 인간 군상들의 정체가 환히 폭로됩니다. 우유부단한 헤로데, 악의 화신 같은 헤로디아, 생각없이 헤로디아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그녀의 딸 등 제대로 된 사람이 하나도 없습니다. 


모두가 어둠의 존재들입니다. 한 사람 세례자 요한만이 어둠을 환히 비추는 빛입니다. 존재 자체로 이들을 심판하는 세례자 요한입니다. 인간 눈에는 불행하고 무의미한 죽음이겠지만 하느님의 눈에는 천상탄일이요 새로운 삶의 시작입니다. 


하느님의 시야로 보면 세례자 요한의 죽음으로 끝난 주님의 구원사가 아니라, 예수님과 제자들을 통해 또 우리를 통해 계속되고 있음을 봅니다. 그러니 끝까지 하느님의 진리를 믿고 증언하며, 하느님의 자녀로서 존엄과 품위를 유지하며 사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음의 세례자 요한처럼 순교적 삶에 항구했던 예레미야입니다. 그의 믿음의 비밀이 1독서를 통해 환히 계시됩니다. 하느님과의 끊임없는 소통의 기도입니다. 세례자 요한의 기도가 소개되지 않지만 분명 예레미야처럼 기도했을 것이며 기도를 통해 힘을 얻었을 것입니다. 


“너는 허리를 동여매고 일어나, 내가 너에게 명령한 모든 것을 그들에게 말하여라. 너는 그들 앞에서 떨지 마라. 그들이 너와 맞서 싸우겠지만 너를 당해 내지 못할 것이다. 내가 너를 구하려고 너와 함께 있기 때문이다.”


하느님께서는 어느 누구에게 사명을 주실 때, 당신의 현존을 약속하시며 ‘함께 계시는 하느님’(임마누엘)이 되어 주십니다. 예레미야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하느님은 세상 만물 하나하나의 주인이신 동시에 세상 전체의 전능하신 주님이시며, 개개인의 주인이신 동시에 세상 역사의 주인이십니다. 끊임없는 하느님과의 소통인 기도를 통해 하느님의 시야를 지닌 예언자들임을 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하느님의 시야를 닮게 하시며, 우리들 통해 이웃을 위한 ‘새로운 세상 하나’ 열어 주십니다.


“행복하여라, 의로움 때문에 박해를 받는 사람들!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이다.”(마태5,10).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5 최후심판 -나는 오른쪽인가 왼쪽인가?- “우리 모두가 가장 작은 이들 가운데에 ‘한 사람’이다”2024.2.19.사순 제1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4.02.19 159
664 최후심판 -심판의 잣대는 사랑-2022.11.11.금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 학자(316-39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2.11.11 186
663 최후심판 -자비하신 하느님-2016.11.11. 금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6-397) 축일 3 프란치스코 2016.11.11 356
662 최후심판의 잣대-2016.2.15. 사순 제1주간 프란치스코 2016.02.15 141
661 최후의 심판 -“오늘 지금 여기서부터 시작된다!”-2023.11.11.토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6-397) 축일 프란치스코 2023.11.11 145
660 최후의 심판 -사랑 실천이 최후심판의 잣대이다-2018.2.19. 사순 제1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19 131
659 최후의 심판 -심판의 잣대는 사랑의 실천-2019.11.11.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 학자(316-397) 축일 1 프란치스코 2019.11.11 158
658 최후의 심판 -사랑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2017.11.11. 토요일 투르의 성 마르티노 주교(317-397) 축일 프란치스코 2017.11.11 218
657 최후의 심판 -심판의 잣대는 사랑-2017.11.26. 연중 제34주일 그리스도왕 대축일(성서주간) 프란치스코 2017.11.26 159
656 추억의 힘, 추억의 기쁨, 추억의 향기 “죄를 짓지 마십시오, 서로 사랑하십시오”2024.5.23.연중 제7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4.05.23 133
655 추종追從의 여정 -주님, 사랑, 버림, 따름-2022.3.1.연중 제8주간 화요일(3월 성 요셉 성월) 프란치스코 2022.03.01 157
654 축! 성모 마리아 탄생 축일 -기뻐하고 즐거워합시다-2023.9.8.금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프란치스코 2023.09.08 216
653 축, 주님 성탄 -하느님께 영광, 사람들에게 평화-2021.12.24. 주님 성탄 대축일 밤미사 프란치스코 2021.12.24 143
652 축祝! 성모님 탄일誕日-어머님 은혜-2015.9.8. 화요일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프란치스코 2015.09.08 578
651 축복 받은 삶 -‘신의 한 수’이자 ‘축복의 선물’인 우리들-’2022.1.1.토요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2.01.01 195
650 축복 받은 우리들! -영광과 평화, 침묵과 관상, 찬미와 감사-2020.1.1.수요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세계 평화의 날) 1 프란치스코 2020.01.01 215
649 축복 받은 인생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2023.1.1.주일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세계 평화의 날) 프란치스코 2023.01.01 207
648 축복받은 사람들 -행복의 발견, 행복의 노력-2017.1.1. 천주의 모친 성모 마리아 대축일(세계 평화의 날) 프란치스코 2017.01.01 300
647 축복받은 삶 -하느님은 축복의 근원이시다-2018.2.16. 금요일 설 1 프란치스코 2018.02.16 160
646 축복받은 삶-2016.2.8. 월요일 설 프란치스코 2016.02.08 202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