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12.6. 대림 제2주간 화요일                                                                             이사40,1-11 마태18,12-14



가장 아름다운 섬

-그래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지상천국의 섬이 하느님의 ‘그래도’ 섬입니다. 착한목자 하느님을 사랑할수록 하느님을 닮아 ‘그래도’ 섬이 됩니다. 얼마전 어느 작가의 고백을 읽으며 가장 아름다운 섬이 ‘그래도’ 임을 알았습니다. 내용의 요지인즉 이렇습니다.


“저는 아버지를 한없이 원망했습니다. 너무나 가족에 무책임했거든지요. 그래서 어느날 아버지와 어머니가 함께 있을 때 아버지를 추궁했어요. 그랬더니 어머니가 ‘그래도 네 아버지는 나를 때리지 않았단다.’하시며 아버지를 두둔하시는 것이었어요. 아버지는 미안하다 하셨고 저는 더 이상 할 말이 없었지요. 그순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섬이 ‘그래도’임을 깨달았습니다.”


사실 제 어머님도 그러하셨습니다. 제가 어렸을적 아버지를 원망해도 어머님은 절대 제 말에 동조하지 않았습니다. ‘네가 아버지 없이 어디서 나왔느냐고, 아버지는 마음이 모질지 못하고 속이 한없이 깊은 분이셨다. 그래도 네 아버지는 좋은 분이셨다.’고 아버지를 두둔하셨고, 이점에서 제 어머님은 참으로 훌륭하셨습니다. 자식들 앞에서 아버지 원망하는 적은 한번도 들은 적이 없었으니 말입니다. 제 어머님 역시 아름다운 ‘그래도’ 섬같은 분이셨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줄임말이 ‘그래도’입니다. 그래도 기뻐해야 합니다. 그래도 기도해야 합니다. 그래도 감사해야 합니다. 그래도 사랑해야 합니다. 그래도 믿어야 합니다. 그래도 희망해야 합니다. 그래도 용서해야 합니다. 그래도 절망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래도 다시 일어나 시작해야 합니다. 그래도 살아야 합니다. 참 아름다운 섬이 그래도입니다. 언제나 낙관적 절대 긍정의 삶이 그래도 섬같은 삶입니다.


그래도 섬같은 착한목자 하느님이십니다. 지칠줄 모르는 사랑의 하느님입니다. 그래도 사람을 믿고, 사랑하고, 희망하는 하느님이십니다. 아무리 못나도 그래도 우리를 찾아 오시는 착한목자 하느님이십니다. 오늘의 이사야서 말씀도 참 아름답고 위로와 힘이 됩니다. 참 아름다운 ‘하느님의 시인詩人’ 이사야 예언자입니다.


“너희는 광야에 주님의 길을 닦아라. 우리 하느님을 위하여 사막에 길을 내어라. 이에 주님의 영광이 드러나리니 다 함께 그것을 보리라.”


대림광야시기는 삶의 사막에 길을 내는 시기입니다. 그래도 아름다운 섬같은 삶을 사는 것입니다. 바로 우리가 닦는 이 길을 통해 착한 목자 하느님은 오십니다. 이사야가 묘사하는 하느님 왕림枉臨의 모습이 장관입니다.


“보라. 주 하느님께서 권능을 떨치며 오신다. 당신의 팔로 왕권을 행사하신다. 보라, 그분의 상급이 함께 오고. 그분의 보상이 그분 앞에 온다. 그분께서는 목자처럼 당신의 가축들을 먹이시고, 새끼 양들을 팔로 모아 품에 안으시며 젖 먹이는 어미 양들을 조심스럽게 이끄신다.”


온 인류의 착한목자 하느님께서 우리를 찾아오시는 은총의 대림시기입니다. 그래도 매일 미사를 통해 권능을 떨치시며 우리를 찾아오시는 주님이십니다. 착한목자 하느님의 세 면모를 배우고 싶습니다.


첫째, 위로의 하느님이십니다.

오늘 이사야서는 ‘이사야 예언서의 제 2 부’로 ‘위로의 책’이라 부릅니다. 오늘 말씀의 소제목도 ‘위로와 구원의 선포’입니다. ‘위로하여라, 위로하여라. 나의 백성을’ 말씀으로 시작하는 말마디가 우리의 심금을 울리며 우리를 위로합니다. 하느님의 위로만이 진정 우리를 위로할 수 있습니다.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끊임없이 우리를 위로하고 격려하고 치유하는 착한 목자 주님이십니다. 하여 그래도 수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착한목자 주님의 위로와 평화를 찾아 하느님의 집인 수도원에 옵니다.


둘째, 말씀의 하느님이십니다.

말씀을 통해 우리를 끊임없이 창조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진정한 내적변화도 말씀의 은총입니다. 모든 것이 다 변합니다. 모든 것이 다 지납니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도 하느님의 말씀만이 영원합니다.


“모든 인간은 풀이요, 그 영화는 들의 꽃과 같다. 주님의 입김이 그 위로 불어오면,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들지만, 우리 하느님의 말씀은 영원히 서 있으리라.”


사라지는 모든 것들에 대해 한없는 연민을 갖게 하는, 또 끝없이 우리를 위로하는 하느님의 말씀입니다. 영원하신 하느님의 말씀에 희망을 둘 때, 영원한 위로의 삶입니다. 하느님의 말씀만이 삶의 허무에 대한 유일한 해답입니다. 하느님의 말씀과 하나될수록 ‘그래도’의 영원히 아름다운 삶입니다.


어제 읽은 글귀가 잊혀지지 않습니다. ‘최악의 사람은 악한 의지의 사람이 아니라 알수 없는 사람’이란 말입니다. 자기가 누군지 모르는 정체성이 희박한 사람이 정말 무서운 악한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느님의 말씀과 하나될수록 정체성 또렷한 참나가 될 수 있습니다.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앎으로 무지에서 해방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하느님의 말씀과 하나되는 수행뿐입니다.


셋째, ‘작은 이들’의 하느님이십니다.

아흔 아홉 마리 양들을 놔두고 한 마리 잃은 양을 찾아나서는 착한 목자 하느님이십니다. 잃은 양이 상징하는바 존재감이 미미한 작은 이들입니다. 아무리 못난 자식도 그 어머니에겐 천하에 없는 소중한 자식이듯이 착한목자 하느님에겐 모든 사람이 그러합니다. 그래도 참으로 보잘 것 없는 작은 이들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이와같이 작은 이들 가운데 하나라도 잃어 버리는 것은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뜻이 아니다.”


그러니 존재감이 미미해 보이는 작은 이들에 대한 무시나 멸시나 차별이 얼마나 큰 대죄인지 깨닫습니다. 정말 큰 죄가 자포자기의 절망이며 작은 이들에 대한 무시입니다. 


어찌보면 하느님의 눈에는 우리 모두가 작은 이들일 수 있습니다. 특별히 은총의 대림시기, 그래도 작은 이들인 우리를 구원하시고자 끊임없이 찾아오시는 착한목자 주님이십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당신을 닮아 언제 어디서나 아름다운 ‘그래도’ 섬같은 삶을 살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7 떠남의 여정 -버림, 비움, 따름-2019.6.11.화요일 성 바르나바 사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6.11 184
2026 주님의 성전聖殿 -생명수生命水의 강江이 흘러내리는 세상의 중심中心-2017.5.30. 화요일 수도원 성전 봉헌 축일(2006년) 1 프란치스코 2017.05.30 184
2025 "주님을 찾아라." -우리의 유일한 평생과제-2017.1.29. 연중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7.01.29 184
2024 하늘 나라의 삶 -참 부자의 삶-2016.8.16.연중 제20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6 184
2023 아름다운 영혼 -섬김의 사랑-2016.5.25.수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5.25 184
2022 환대의 축복 -사랑하라, 경청하라, 훈련하라-2022.7.17.연중 제16주일 프란치스코 2022.07.17 183
2021 희망의 여정 -영원한 희망의 도반道伴이신 주 예수님-2022.7.16.연중 제1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2.07.16 183
2020 성인이 됩시다 -주님의 전사, 믿음의 전사, 사랑의 전사-2022.6.29.수요일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낮미사 프란치스코 2022.06.29 183
2019 선교활동의 본질적 요소 -성령과 환대-2022.5.23.부활 제6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5.23 183
2018 예수님은 누구인가? -예수님 믿음, 예수님 따름, 예수님 닮음-2022.4.5.사순 제5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05 183
2017 삶의 중심인 하느님 -하느님의 자녀답게 삽시다-2022.3.30.사순 제4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3.30 183
2016 하느님의 참 좋은 최고의 선물 -성체성사의 가르침-2022.2.12.연중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2.12 183
2015 영적 승리의 삶, 지상 천국의 삶 -기도, 고요, 증언, 인내-2020.11.25.연중 제34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0.11.25 183
2014 의인義人 성聖 요셉 예찬禮讚 -연민, 믿음, 순종-2020.3.19.목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배필 성 요셉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3.19 183
2013 성령에 따른 삶 -무지에 대한 답은 예수님과 미사뿐이다-2019.1.28.성 토마스 아퀴나스 사제 학자(1225-1274)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1.28 183
2012 아름다운 고별사 -사랑, 아름다움, 감동-2018.5.15. 화요일 성 빠코미오 아빠스(292-34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5.15 183
2011 참 중요한 일 -삶의 중심中心을 찾는 것-2017.1.19. 연중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1.19 183
2010 그리스도께 희망을 두라 -하느님의 영광을 찬양하는 삶-2016.10.14. 연중 제2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10.14 183
2009 자기인식(self-knowledge) -하느님의 도구-2016.7.13. 연중 제1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7.13 183
2008 구원의 행복은 발견이자 선택이다 -하느님 중심의 삶-2016.4.6. 부활 제2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4.06 183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