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2.11. 연중 제6주일                                                               레위13,1-2.44-46 1코린10,31-11,1 마르1,40-45




삶의 목표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



당신은 내 피신처避身處시니, 구원의 기쁨으로 나를 휘감아 주시나이다.”(시편32,7)


오늘 화답송 후렴 고백이 위로와 기쁨이 됩니다. 하느님의 영광을 위해 살 때 주님은 우리의 피신처가 되어 주십니다.


“하느님의 영광!”


우리 삶의 목표입니다. 살아있는 사람은 하느님의 영광입니다. 성 이네네오의 말씀입니다.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이 우리 믿는 이들 삶의 목표이자 삶의 의미요 삶의 잣대입니다.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은 거창하거나 비상하지 않습니다. 평범한 일상의 삶 모두가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이 될 수 있습니다. 바로 하느님 중심의 삶을 뜻합니다. 


“하느님은 모든 일에 영광받으소서.”(성규57,9)


수도원 정문을 들어서며 커다란 바위판에 새겨진 글자가 선명합니다. 하느님의 영광은 바로 우리 분도수도회의 모토이기도 합니다. 오늘 바오로 사도 역시 하느님의 영광이 바로 우리 삶의 모두임을 천명하고 있습니다.


“형제 여러분, 여러분은 먹든지 마시든지, 그리고 무슨 일을 하든지 모든 것을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십시오.”


하느님의 영광이 인생 허무와 무의미에 대한 유일한 답입니다. 예수님이나 바오로의 전 삶이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이었습니다.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일 때 저절로 주님의 위로와 치유의 구원도 뒤따릅니다. 어떻게 하면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이겠습니까?


첫째, 주님만을 찾는 삶입니다.

우리의 모든 결핍된 상황이 주님을 찾으라는 신호입니다. 오늘 복음의 나병환자가 그 모범입니다. 나병환자가 상징하는 바 결핍된 우리 인간입니다. 바로 나병환자의 간절한 기도와 믿음은 주님을 찾는 갈망의 표현입니다. 고립단절된 지옥같은 환경의 삶에서 오늘 복음의 나병환자는 절망하지 않고 주님을 찾았습니다. 


‘그는 악성 피부병에 걸린 사람이므로 부정하다.---그는 부정한 사람이므로, 진영 밖에 자리를 잡고 혼자 살아야 한다.’


바로 레위기에서 말하는 악성 피부병 역시 나병이었을 것입니다. 따로 격리되어 혼자 살아야 하는 그 상황이 바로 지옥입니다. 아마 복음의 나병환자도 그런 상황이었을 것입니다. 그 당시 얼마나 많은 이들의 나병환자가 있었겠는지요. 그러나 주님을 만난 이는 복음의 나병환자 하나였습니다.


비단 육신의 나병환자만이 아닙니다. 고립단절의 자폐적 삶을 자초해 사는 이들 역시 영적 나병환자라 할 수 있습니다. 이어져 연결되면 살고 끊어져 단절되면 죽습니다. 간절히 주님을 찾을 때 주님을 만납니다. 주님과 연결되어 소통해야 비로소 탈출의 구원입니다. 주님께서 우리를 텃치할 때 치유의 구원입니다.


“스승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무릎을 꿇은 나병환자의 간절한 믿음의 기도입니다. 간절한 기도에 대해 주님은 치유로 응답하십니다. 바로 여기에서도 예수님의 삼박자 치유의 구원이 분명해집니다. 가엾이 여기는 마음, 사랑의 텃치, 권능의 말씀에 의한 치유의 구원입니다. 


“내가 하고자 하니 깨끗하게 되어라.”


그러자 나병이 가시고 그는 깨끗하게 되었습니다. 하느님의 영광이 환히 드러나는 순간입니다. 바로 치유의 구원을 통해 환히 빛나는 하느님의 영광입니다.


둘째,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려고 애쓰는 삶을 사십시오.

이웃의 기쁨이 나의 기쁨입니다. 자기 중심이 아닌 이웃 중심의 삶을 살라는 것입니다. 바로 주님을 본받는 삶입니다. 자기실현은 역설적으로 이웃을 위한 삶을 살 때 이루어집니다. 


이 또한 하느님의 영광이 환히 드러나는 삶입니다. 예수님의 삶이 온통 그러했습니다. 하느님과 이웃을 위한 삶에 전념하셨던 예수님의 삶이었습니다. 주님을 닮으며 노력했던 바오로의 고백입니다.


“무슨 일을 하든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려고 애쓰는 나처럼 하십시오. 나는 많은 사람이 구원을 받을 수 있도록, 내가 아니라 그들에게 유익한 것을 찾습니다.”


아, 바로 이것이 그리스도를 본받는 삶입니다. 기쁨의 사도 바오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쁨의 삶이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입니다. ‘항상 기뻐하라’(1테살5,16)는 바오로 사도의 권고도 기억하실 것입니다. 기쁨으로 빛나는 삶은 바로 하느님 영광으로 빛나는 삶입니다.


셋째, 복음선포의 적극적 삶입니다.

치유받은 나병환자의 응답이 바로 복음선포의 적극적 삶이었습니다. 그는 떠나가서 이 이야기를 널리 알리고 퍼뜨리기 시작합니다. 이 또한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입니다. 말로만이 아니라 전 삶으로 주님이 얼마나 좋으신지 선포하는 것입니다. 이런 적극적 복음선포의 삶이 우리의 영육을 건강하게 합니다.


여기서 주님의 처신이 주목됩니다. 바로 많은 이들의 호기심의 대상이 되자 지체없이 물러나 바깥 외딴곳에 머무르십니다. 결코 세상 인기의 유혹에 빠질 주님이 아니십니다. ‘공성이불거功成而不居’라 공을 이룬 후 사라짐으로 하느님의 영광만 환히 드러나게 하기 위함입니다. 외딴곳에 머물러 내적으로 충전시키는 일 역시 궁극적으로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입니다.


하느님의 영광이 우리 삶의 목표이자 의미입니다.

항구히 간절히 주님을 찾으십시오.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려고 애쓰십시오. 적극적 복음선포의 삶을 사십시오. 바로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구체적 삶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하느님의 영광이 환히 드러나는 삶을 살도록 도와 주십니다.


“주님, 바르고 진실한 마음 안에 머무르시겠다고 하셨으니, 저희에게 풍성한 은총을 내리시어, 하느님의 마땅한 거처가 되게 하소서.” 아멘.

  • ?
    안젤로 2018.02.12 09:40
    하느님의 영광을 위한 삶이 우리 믿는 이들 삶의 목표이자 삶의 의미요 삶의 잣대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25 주님과의 만남 -"와서 보시오."2017.8.24. 목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2 프란치스코 2017.08.24 133
2324 주님과의 만남 -치유의 구원-2019.1.11.주님 공현 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1.11 169
2323 주님과의 만남 -주님의 형제답게 삽시다-2019.4.22.부활 팔일 축제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22 151
2322 주님과의 만남 -주님은 우리 삶의 중심中心이시다-2018.3.13. 사순 제4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13 228
2321 주님과의 만남 -예수님은 봄(春)이십니다-2022.3.29.사순 제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2.03.29 229
2320 주님과의 만남 -부르심과 응답-2016.9.21. 수요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프란치스코 2016.09.21 217
2319 주님과의 만남 -무지, 회개, 겸손, 지혜, 사랑-2021.3.20.사순 제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3.20 111
2318 주님과의 만남 -만남의 은총-2016.10.9. 연중 제28주일 프란치스코 2016.10.09 117
2317 주님과의 만남 -“삶의 중심 자리를 마련하십시오!”-2021.8.3.연중 제18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8.03 213
2316 주님과의 만남 -"일어나라!"-2016.9.13. 화요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학자(344/49-40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9.13 178
2315 주님과의 끊임없는 만남-2015.7.15. 수요일 성 보나벤투라 주교 학자(1217-127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5.07.15 287
2314 주님과의 관계가 답이다 -해처럼 빛나는 의인들의 삶-2018.7.31. 화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7.31 135
2313 주님과의 관계 -그분 안에 머무르십시오-2019.1.2.수요일 성 대 바실리오(330-379)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329/30-389/90)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1.02 174
2312 주님과 항상 함께 하는 삶 -주님과 우정友情의 여정-2020.4.2.사순 제5주간 목요일 ​​​​ 프란치스코 2020.04.02 188
2311 주님과 함께하는 행복한 삶의 여정 -기쁨, 자유, 감사, 겸손-2020.12.13.대림 제3주일(자선주일) 1 프란치스코 2020.12.13 177
2310 주님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삶의 여정 -찬미와 감사, 희망과 기쁨-2021.9.25.연중 제2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9.25 126
2309 주님과 함께, 늘 새로운 시작 -광야 인생 여정-2019.7.20.연중 제1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7.20 124
2308 주님과 함께 하는 삶의 여정 -기도, 탈출, 변모-2019.3.17.사순 제2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3.17 225
2307 주님과 함께 늘 새로운 시작 -새롭고, 놀랍고, 아름답고, 감동스런 은총의 기적같은 삶- 1 프란치스코 2020.05.01 322
2306 주님과 함께 기쁨을 나누는 삶-2016.8.27. 토요일 성녀 모니카(332-38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6.08.27 152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