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7.24.연중 제16주간 수요일                                                                        탈출16,1-5.9-15 마태13,1-9

 

 

 

‘씨뿌리는 삶’에 항구한 사람들

-믿음이 답이다-

 

 

 

마태오는 13장에서 하느님 나라에 관한 7개의 비유를 모아 놓았습니다. 모든 비유가 예수님 자신의 생애를 상기시킵니다. 비유를 통해 은연중 드러나는 예수님의 삶이요 믿음입니다. 새삼 하느님 나라는 먼 미래나 밖에서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 지금 여기서 살아야 하는 현실임을 깨닫습니다. 예수님의 삶이 바로 그러했습니다.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셨고 그 하느님 나라 신비를 사셨던 예수님이셨습니다.

 

오늘 첫째 하느님 나라 비유는 '씨뿌리는 사람'입니다. 바로 예수님의 항구하고 진실하고 절실한 삶의 자세, 지극한 인내의 믿음의 자세를 보여줍니다. 일체의 원망이나 절망, 회의가 없습니다. 저변에는 하느님 향한 깊은 믿음과 희망이 자리잡고 있음을 감지합니다. 저 역시 매일 씨뿌리는 마음으로 강론을 씁니다. 강론을 통한 말씀의 씨앗들은 참으로 다양한 영혼의 밭들에 뿌려질 것이고 하느님만이 아실 것입니다.

 

문득 연상되는 것이 프랑스의 작가 지오노가 실화를 바탕으로 썼다는 ‘나무를 심은 사람’이란 소설입니다. 이 소설에 나오는 ‘엘제아르 부피에’는 실제로 1913년부터 1945년 까지 황폐한 산에 나무를 심어 울창한 숲으로 변화시킨 사람으로 흡사 복음의 씨뿌리는 사람 예수님을 연상케 합니다.

 

-“나는 그동안 한 번도 그가 실의에 빠지거나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해 의심을 품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하느님은 그가 겪은 시련을 잘 아실 것이다. 나는 그가 겪었을 좌절에 대해선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이런 숲을 이루기까지 수많은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고 자신의 신념을 이루기 위해 수없이 절망과 싸웠을 것이다. 1년 동안 1만 그루가 넘는 단풍나무를 심었으나 모두 죽어버린 일도 있었다.” -

 

바로 소설에 나오는 한 대목입니다. 한결같은 믿음의 사람이 주인공인 나무를 심은 사람입니다. 그대로 복음의 씨뿌리는 사람 예수님을 보는 듯합니다. 결국은 믿음이 답입니다. 믿음의 사람은 환경에 일희일비하지 않습니다. 얼마전 써놨던 ‘믿음’이란 짧은 자작시도 생각납니다.

 

-“하늘 배경에/날씨에

일희일비一喜一悲하지 않는

늘/거기 그 자리

한결같은/정주定住의 불암산이다

믿음은 그런 것/나도 그렇다”-

 

씨뿌리는 사람은 믿음의 전형적 모범입니다. 결코 절망이나 좌절이 없습니다. 하느님은 우리 모두를 아십니다. 넘어지면 즉시 다시 일어나 씨뿌리는 삶에 항구합니다. 삶은 과정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그의 시야는 하느님을 닮아 저 멀리 열려 있습니다. 참 깊고 넓은 시야입니다. 그러니 오늘 지금 여기가 전부가 아님을 압니다. 하나의 과정일 뿐입니다. 진인사대천명의 자세로 결과는 하느님께 맡기고, 환경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현재의 과정에 충실할 뿐입니다. 하느님은 목표가 아닌 과정을 보십니다. 아니 순간순간이 과정이자 목표일 수 있습니다.

 

100% 완벽한 삶은 없습니다. 씨뿌리다 보면 어떤 것들은 길에 떨어져 새들이 와서 먹을 수도 있고, 어떤 것들은 흙이 많지 않은 돌밭에 떨어져 싹은 곧 돋아 났다가 말라 버릴 수도 있습니다. 또 어떤 것들은 가시덤불 속에 떨어져 숨을 막아 버릴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인생입니다. 참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하게 전개되는 삶입니다. 그러나 이런 외적 환경에 좌우되지 않고 내 삶의 제자리에서 항구히 씨뿌리는 삶에 전념하는 것입니다. 적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안에 있는 내가 바로 적입니다. 나와의 싸움이 바로 믿음의 싸움입니다. 이런면에서 삶은 매순간 ‘신뢰(trust)’의 ‘시험(test)’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고진감래입니다. 믿음의 승리입니다. 바로 어떤 씨앗들은 좋은 땅에 떨어져 열매를 맺었는데, 어떤 것은 백배. 어떤 것은 예순 배, 어떤 것은 서른 배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때가 될 때까지 끝까지 견뎌 인내하며 씨뿌리는 삶에 항구했기 때문입니다. 사실 사람 눈에 실패지 하느님 눈엔, 믿음의 눈엔 성공일 수 있습니다. 소소한 일상의 영적전투에는 패할 수 있어도 궁극의 영적전쟁에는 승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설상 기대한 결과가 없다해도 좌절은 금물입니다. 결과는 하느님께 달린 것이니 과정에 충실하며 결코 인간 품위를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순수한 믿음입니다. 결코 걱정하지도 두려워하지도 않는 믿음입니다. 하느님께서 보시는 바 결과의 양이 아닌 순수한 믿음에 당신 자녀다운 고결한 품위있는 삶입니다. 그러니 매사 하느님께 감사합니다. 이런 점에서 탈출기의 이스라엘 백성은 얼마나 믿음이 부족하고 허약한지 깨닫습니다. 

 

믿음은 기억입니다. 믿음은 감사입니다. 믿음은 기다림의 인내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느님의 놀라운 기적들을 까맣게 잊고 배고프고 목마른 현실에 일희일비하며 하느님과 모세에게 불평하고 원망합니다. 감사의 기억을 까맣게 잊었습니다. 이집트 탈출후 모세와 함께 불렀던 감사와 찬미의 노래 기억을 까맣게 잊었습니다. 탈출기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대로 예나 이제나 인간의 부정적 보편적 믿음 부족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하느님 보시기에 참 대책없는 사람들입니다. 자비하신 하느님은 저녁에는 메추라기로 또 아침에는 만나로 이들을 배불리 먹이십니다. 

 

똑같이 자비하신 주님은 매일의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천사의 양식으로 우리 모두의 영육의 배고픔과 목마름을 일거에 해소시켜 주시며 오늘 지금 여기서 하느님 나라를 살게 하십니다. 또 하루하루 씨뿌리는 삶에 항구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씨뿌리는 삶에 항구함은 바로 우리 분도회 수도자들의 정주서원이 목표하는 바입니다.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좌우명 첫 연으로 강론을 마칩니다.

 

-“하루하루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하늘 향한 나무처럼

비가 오든, 눈이 오든, 덥든 춥든, 

봄, 여름, 가을, 겨울

늘 하느님 불러 주신 이 자리에서

하느님만 찾고 바라보며 정주(定住)의 나무가 되어 살았습니다. 

하루하루 살다보니 작은 나무가 

이제는 울창한 아름드리 하느님의 나무가 되었습니다.

하느님은 영원토록 영광과 찬미 받으소서”-아멘.

 

 

 

 

 

 
 

 

 

  • ?
    고안젤로 2019.07.24 12:29
    주님께서 주신 소중한 순간들을 주님이 말씀하신 방법으로 최선을 다하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6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왕 -온 누리의 참 임금-2021.11.21. 주일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성서주간) 1 프란치스코 2021.11.21 198
2025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 -삶의 목표, 삶의 방향, 삶의 중심, 삶의 의미-2024.1.6.주님 공현 대축일 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4.01.06 126
2024 우리 영혼의 본향(本鄕)이신 예수님 -집에서 집을 그리워함- (homesick at home)2024.2.5.월요일 성녀 아가타 동정 순교자(231-25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2.05 150
2023 우리 삶의 중심이신 하느님 -관계의 깊이-2018.12.20.대림 제3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2.20 100
2022 우리 삶의 중심(中心) -하느님의 아드님, 주 예수 그리스도님-2021.6.30.연중 제30주간 수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6.30 126
2021 우리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주님의 뜻을 이루는 것-2017.3.25. 토요일 주님 탄생 예고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7.03.25 203
2020 우리 삶의 영원한 모범이신 성모 마리아 -성모 마리아 예찬禮讚-2022.12.20.화요일 12월20일 프란치스코 2022.12.20 343
2019 우리 삶의 영원한 모델 -주님의 충복忠僕인 성 요한 세례자-2020.6.24.수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6.24 139
2018 우리 삶의 궁극 목표 -성인이 되는 것-2017.11.1. 수요일 모든 성인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7.11.01 258
2017 우리 삶의 궁극 목표 -자비로운 아버지를 닮는 것-2016.2.27. 사순 제2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2.27 198
2016 우리 삶의 指標 -주님의 종-2016.7.16. 연중 제15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16.07.16 208
2015 우리 삶은 ‘믿음의 수련장修鍊場’이다-2016.1.14. 연중 제1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1.14 199
2014 우리 삶에서 무엇이 본질적인가? -주님과 사랑의 일치- 2017.5.17. 부활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7 138
2013 우리 사람에게 다가 오시는 하느님 -예수 그리스도-2023.8.26.연중 제20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26 238
2012 우리 믿는 이들의 영적靈的 족보族譜 -뿌리 살이 없이는 꽃도 없다-2021.9.8.수요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탄생 축일 1 프란치스코 2021.09.08 219
2011 우리 믿는 이들은 누구인가? -안으로는 주님의 제자弟子, 밖으로는 주님의 사도使徒- 2017.1.20. 연중 제2주간 금요일 히브8,6-13 마르3,13-19 프란치스코 2017.01.20 158
2010 우리 믿는 이들은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 주님의 소작인, 주님 공동집의 수호자-2020.10.4.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2-122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0.04 170
2009 우리 모두 하느님의 천사들이다 -찬미와 심부름-2020.9.29.화요일 성 미카엘, 성 가브리엘, 성 라파엘 대천사와 모든 거룩한 천사 축일 1 프란치스코 2020.09.29 138
2008 우리 모두 하느님의 나라를 삽시다 -꿈과 실현-2022.10.25.연중 제30주간 화요일 PACOMIO 2022.10.25 186
2007 우리 모두 성인聖人이 됩시다 -은총, 선택, 훈련-2022.2.9.연중 제5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22.02.09 167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