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10.23.연중 제29주간 수요일                                                     로마6,12-18 루카12,39-48

 

 

 

참 훌륭한 삶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

 

 

 

평범한 일상을 잘 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고 힘든 일인지 깨닫습니다. 비상한 삶이 아니라 각자 삶의 자리에서 훌륭하게, 참으로 평범히 사람답게, 하느님의 자녀답게 사는 것입니다. 사실 이보다 더 중요한 일도 없을 것입니다. 어느 자매가 전해 준 고등학교 조카 이야기를 듣고 웃은 기억이 새롭습니다.

 

“부모가 바라는 것이 끝이 없습니다. 정말 피곤하고 힘들어요.”

 

고등학교 조카의 ‘끝이 없다’라는 이야길 듣고 참 많은 사람들이 끝없는 어려움중에 살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면담하다보면 정말 대다수 분들이 끝없는 어려움이요 갈수록 힘든 삶임을 알게 됩니다. 남녀노소 모두에게 해당됩니다. 

 

참으로 제자리에서 자기를 지켜내며, 하느님의 자녀답게 사는 분투奮鬪의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습니다. 말 그대로 영적전쟁입니다. 마침 힘든 삶중에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낙천적으로 힘껏 살아가는 형제의 문자 메시지도 그의 삶이 얼마나 고단한지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엄청나게 이기적인 사람들과 엄청나게 이기적인 한국에서 예수님 밖에 무기가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싸워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답은 오늘 지금 여기 제자리입니다. 제자리에서 제정신으로 제대로 제일을 하며 깨어 힘껏 살아가는 것입니다. 어제 복음은 모든 제자들에게 내리는 권고였다면 오늘은 관리자로서 형제들을 책임진 이들에게 내리는 권고입니다. 그렇지만 넓게 보면 모두에게 해당됩니다. 역시 깨어 제 삶의 자리에서 제 직분에 충실할 것을 권하는 내용입니다.

 

“너희도 준비하고 있어라. 너희가 생각하지 않은 때에 사람의 아들이 올 것이다.---주인이 자기 집 종들을 맡겨 제때에 정해진 양식을 내주게 할 충실하고 슬기로운 집사는 어떻게 사람이겠느냐? 행복하여라. 주인이 돌아와서 볼 때에 그렇게 일하고 있는 종!”

 

늘 깨어 준비하며 제자리에서 충실하고 슬기롭게 주어진 소임을 다하는 이들은 얼마나 아름다운지요! 비단 관리자로서의 집사만이 아니라 누구나 나름대로 ‘삶의 집사’라 할 수 있습니다. 

 

주인이 가리키는 바 주님입니다. 제멋대로 무책임한 소임 수행이 아니라 늘 주님과의 만남을 염두에 둔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으로서의 수행입니다. 깊이 들여다보면 우리는 모두 주님의 종입니다. 그러니 우리의 집사직은 특권이 아니라 ‘시험test’이자 ‘신뢰trust’임을 깨닫습니다. 참으로 주님의 종답게 살기위해서는 부단히 깨어 주님 앞에서 시험받는 느낌으로 충실해야 할 것이고, 주님께 신뢰받을 수 있도록 충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누구와 비교할 것도 없습니다. 행복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 지금 여기 있습니다. 포기할 것은 빨리 포기하고 받아들일 것은 빨리 받아들이며 깨어 주어진 일을 충실하고 슬기롭게 수행할 때 바로 행복입니다. 

 

그러니 순간순간이 시험이자 신뢰가 입증되는 시간이니 깨어 훌륭히 주어진 소임에 충실하는 것입니다. 어려움이 끝이없다 탄식할 것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깨어 기쁘게 충실히 사는 것입니다. 바오로의 권고도 참 적절합니다.

 

“여러분의 지체를 불의의 도구로 죄에 넘기지 마십시오. 오히려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살아난 사람으로서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고 자기 자체를 의로움의 도구로 하느님께 바치십시오.---여러 분이 전에는 죄의 종이었지만 이제는 죄에서 해방되어 의로움의 종이 되었습니다.”

 

참으로 주님으로부터 주어진 사명을 깨어 충실하고 슬기롭게 수행하는 이들이야 말로 주님의 의로움의 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죄의 종에서 벗어나 주님의 의로운 종이 되어 충실하고 슬기롭게 제 책임을, 집사직을 수행하며 살아가는 이들이 참으로 아름답고 훌륭한 사람들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각자 주어진 제자리에서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이, 의로움의 종이 되어 살게 하십니다. 아멘.

 

 

  • ?
    고안젤로 2019.10.23 08:29
    사랑하는 주님, 주님 주신 생명의 양식으로 세상속에서 어떠한일이 있어도 항상 깨어있어 기쁘게 주님의 삶을 살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27 미사가 답이다 -“행복하여라, 주님을 신뢰하는 사람!”-2017.3.16. 사순 제2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7.03.16 167
1726 우리의 참 좋은 가장(家長)이자 최고의 디자이너 -하느님-2017.2.6. 월요일 성 바오로 미끼(1564-1597)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02.06 167
1725 우리를 찾아 오시는 하느님-하느님 찬양讚揚의 삶-2016.12.5. 대림 제2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16.12.05 167
1724 영적승리의 삶 -“늘 깨어 기도하여라”-2023.12.2.연중 제34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12.02 166
1723 2023.10.25.연중 제29주간 수요일 깨어 준비하고 있어라 -“행복하여라, 책임을 다하는 충실하고 슬기로운 종!”- 프란치스코 2023.10.25 166
1722 참제자의 삶 -사랑, 이탈, 따름-2022.6.26.연중 제13주일(교황주일) 프란치스코 2022.06.26 166
1721 예수님의 제자답게 사는 삶 -앞문은 세상에, 뒷문은 사막에 열려 있는 삶- 프란치스코 2022.05.21 166
1720 우리는 주님의 종이다 -사랑의 관상가-2022.4.11.성주간 월요일 프란치스코 2022.04.11 166
1719 성소聖召에 충실한 삶 -성소는 은총의 선물膳物이자 평생 과제課題이다-2022.1.15.토요일 사부 성 베네딕도의 제자들 성 마오로와 성 쁠라치도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2.01.15 166
1718 영원한 주님이자 스승이신 하느님 -겸손, 경청, 배움, 순종-2021.12.10.대림 제2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2.10 166
1717 지혜를 사랑합시다 -예수님은 하느님의 지혜이십니다-2019.11.14. 연중 제32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1.14 166
1716 신의 한 수 -성 요한 세례자와 우리들- ​​2019.6.24.월요일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6.24 166
1715 평생과제, 평생공부 -행복한 성인聖人이 되는 것-2019,2,24 연중 제7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2.24 166
1714 참 좋은 공동체의 세 원리 -모여라, 들어라, 행하라-2019.1.27.연중 제3주일(해외 원조 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1.27 166
1713 봄이 온다 -부활의 희망-2018.3.30. 주님 수난 성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3.30 166
1712 영원한 반려자 -주님은 우리와 함께 계시다-2018.2.6. 화요일 성 바오로 미끼(1164-1597)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8.02.06 166
1711 지혜가 답이다 -외딴곳을 마련하라-2018.2.3. 연중 제4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2.03 166
1710 여여如如한 삶 -수행자의 삶-2017.9.23. 토요일 피에트첼치나의 성 비오 (1887-1968)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7.09.23 166
1709 하느님의 소원, 우리의 평생과제이자 목표 -자비로운 사람이 되는 것-2018.9.13. 목요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344/49-407)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8.09.13 166
1708 사랑은 분별의 잣대 -하느님 중심의 삶-2018.9.10. 연중 제23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09.10 166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