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5.25.수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3-735) 기념일 

                                                                                                                  1베드1,18-25 마르10,32-45


                                                                             아름다운 영혼

                                                                              -섬김의 사랑-


오늘 기념하는 성 베다 사제에 관한 간략한 전기를 읽으며 참 아름다운 영혼이란 감탄을 금할 수 없었습니다. ‘아름다운 영혼’은 우리 믿는 이들이 궁극으로 소망하는 바입니다. 오늘 복음도 독서도 참 아름답습니다. 하느님은 아름다움 자체이며 미사 역시 하느님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바로 하느님의 말씀이 우리를 아름다운 영혼으로 만들어 줍니다. 구체적으로 섬기는 사랑의 삶이 우리를 아름다운 영혼으로 변화시켜 줍니다. 예수님의 세 번째 수난과 부활의 예고 후 제자들은 물론 우리 모두에게 유언같은 말씀을 주십니다.


“그러나 너희는 그래서는 안된다. 너희 가운데에서 높은 사람이 되려는 이는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또한 너희 가운데에서 첫째가 되려는 이는 모든 이의 종이 되어야 한다. 사실 사람의 아들은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마르10,43-45).


참 아름다운 영혼의 예수님입니다. 하느님의 말씀이신 예수님을 닮아갈 때 아름다운 영혼입니다. ‘너희는 그래서는 안된다.’ 지배하고 다스리고 통치하는 일방적 강압적 방식으로 사람을 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못박으시는 주님이십니다. 이와 반대로 주님은 섬김의 삶, 종의 삶을 살라고 하십니다. 


새삼 우리의 영성은 섬김과 종의 영성임을 확인하게 됩니다. 섬김의 서비스service와 종의 서번트servant의 영어 단어를 봐도 같은 어원임을 알게 됩니다. 오늘 복음의 마지막 구절(마르10,45)은 저의 서품 상본 성구이기도 합니다.


어제 주님은 ‘거룩한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셨는 데, 오늘은 ‘섬기는 사람이 되라’고 말씀하십니다. 모든 이의 종이 되어 섬기는 사람이 바로 거룩한 사람임을 깨닫습니다. 하여 분도수도공동체도 ‘주님을 섬기는 배움터’라 정의합니다. 평생 주님과 형제들을 섬기는 삶을 배우는 학교가 수도공동체라는 것입니다. 


섬기는 사람이 진정 아름다운 영혼입니다. 영성의 진위를 판가름 하는 잣대도 섬김의 사랑 하나뿐입니다.하느님 말씀의 은총이 우리를 끊임없이 섬김의 사람으로 변모시켜 줍니다. 베드로 사도의 다음 말씀이 이를 입증합니다.


“여러분은 진리에 순종함으로써 영혼이 깨끗해져 진실한 형제애를 실천하게 되었으니, 깨끗한 마음으로 서로 한결같이 사랑하십시오.”


진리의 말씀에 순종할 때 영혼은 깨끗해져 진실한 형제애를 실천할 수 있으니 바로 말씀의 은총입니다. 말씀의 은총이 우리를 깨끗한 마음으로 서로 한결같이 사랑을 실천할 수 있게 합니다. 이어지는 주님의 말씀이 우리를 한층 고무시킵니다. 


“여러분은 썩어 없어지는 씨앗이 아니라 썩어 없어지지 않는 씨앗, 곧 살아계시며 영원히 머물러 계시는 하느님의 말씀을 통하여 새로 태어났습니다.”


그대로 이 거룩한 미사은총입니다. 날마다 ‘살아계시며 영원히 머물러 계시는’ 주님의 말씀을 통하여 새롭게 태어나는 우리들이기에 ‘아름다운 영혼’으로 섬김의 사랑에 항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유한하지만 하느님의 말씀은 영원합니다. 영원하신 주님의 말씀의 은총이 우리 모두 영원한 삶을 살게 합니다. 베드로 사도는 이사야서의 말씀을 인용하며 주님의 말씀을 찬양합니다.


“모든 인간은 풀이요

 그 영화는 들의 꽃과 같다.

 진정 이 백성은 풀에 지나지 않는다.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들지만

 우리 하느님의 말씀은 영원히 서 있으리라.”(이사40,6-8)


우리를 더욱 겸손하게 하는 주님의 말씀입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우리 모두에게 영원한 생명을 선사하시어, 아름다운 영혼으로 섬김의 사랑에 항구할 수 있게 하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86 예수님과 더불어 우리도 부활하였습니다! -빛과 생명과 희망으로-2021.4.3. 성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04.03 160
1885 선택받은 우리들의 복된 삶 -환대歡待와 경청敬聽-2021.10.11.연중 제28주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0.11 160
1884 바라봄의 관상 -하느님 나라의 표징을 읽고 삽시다-2021.11.26.연중 제34주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26 160
1883 새해 2022년 소원 -“어둠속의 빛”-2022.1.3.주님 공현 대축일 후 월요일 1 프란치스코 2022.01.03 160
1882 성화(聖化)의 여정 -성인(聖人)이 되는 것은 우리의 거룩한 소명(召命)이다-2023.11.22. 수요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 순교자(+230)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22 160
1881 성전정화 -성전정화의 일상화- “하루하후, 날마다, 평생-”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1795-1839)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1마카4,36-37.52-59 루카19,45-48 프란치스코 2023.11.24 160
1880 하느님 믿음-2015.10.29. 연중 제3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5.10.29 161
1879 떠남의 여정-2016.2.4. 연중 제4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2.04 161
1878 “내 말을 들어라(Listen to my voice)” -예수님파냐 사탄파냐?-2016.3.3. 사순 제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3.03 161
1877 “행복하여라, 수평선水平線의 바다가 된 사람들!” 프란치스코 2016.05.04 161
1876 하느님 중심의 삶`-2016.6.8. 연중 제10주간 수요일 프란치스코 2016.06.08 161
1875 공동생활의 축복祝福 -빛과 어둠이 공존共存하는 공동체-2016.9.6.연중 제23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6.09.06 161
1874 기도의 힘-2016.10.28. 금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 프란치스코 2016.10.28 161
1873 복음 선포의 사명-세상의 중심, 세상의 빛-2016.12.3. 토요일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사제(1506-1552) 축일 프란치스코 2016.12.03 161
1872 영원한 반려자伴侶者 주님과의 행복한 삶 -깨어있음, 회개, 따름-2018.1.21. 연중 제3주일 1 프란치스코 2018.01.21 161
1871 성령충만한 삶 -위에서 태어난 사람들-2018.4.10.부활 제2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8.04.10 161
1870 믿음의 여정 -시험, 침묵, 순종, 축복, 치유-2019.7.4.연중 제13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9.07.04 161
1869 "걱정하거나, 두려워하지 마십시오" -모두가 하느님 손안에 있습니다-2019.11.26.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19.11.26 161
1868 평생 화두 -“너는 나를 사랑하느냐?”-2020.5.29.금요일 복자 윤지충 바오로(1759-1791)와 123위 동료 순교자들 1 프란치스코 2020.05.29 161
1867 회개와 구원 -무지에 대한 답은 회개뿐이다-2020.7.31.금요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1491-155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07.31 161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