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6.6.20. 연중 제12주간 월요일                                                    열왕기하17,5-8.13-15ㄱ.18 마태7,1-5


                                                                            “너 자신을 알라.”


요즘은 마태복음 5장에서 시작된 주님의 산상수훈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마지막장 7장의 시작입니다. 오늘의 주제는 ‘남을 판단하지 마라.’입니다. 남을 판단하지 않는 것이 사랑입니다. 사랑에서 나오는 것은 분별이요 미움에서 나오는 것은 판단입니다. 


남 판단하는 것이 죄입니다. 정말 착각, 오해, 편견, 선입견에 따른 판단에서 자유롭기는 얼마나 힘든 지요. 겉을 보고 판단했다가 막상 대화하면서 나의 선입견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깨닫는 경우도 참 많습니다. 하여 예수님 동시대의 가장 유명한 율사 힐렐은 ‘이웃의 상황에 있기 전에는 이웃을 판단하지 마라.’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남을 심판하지 마라. 그래야 너희도 심판받지 않는다. 너희는 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 네 눈 속에 들보가 있는데, 어떻게 형제에게 ‘가만, 네 눈에서 티를 빼내 주겠다.’하고 말할 수 있느냐? 위선자야, 먼저 네 눈에서 들보를 빼내어라. 그래야 네가 뚜렷이 보고 형제의 눈에서 티를 빼낼 수 있을 것이다.”


새삼 설명이 필요없는 너무나 자명한 금과옥조의 말씀입니다. 자기를 몰라서 판단이요 심판이지 자기를 알면 절대 남을 판단하지 않습니다. 자기를 아는 것이 가장 힘들고 남 판단하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정말 자기를 아는 이들은 절대로 남의 눈에서 티를 빼내려 하지 않습니다. 자기 눈의 들보를 너무 잘 알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제 눈의 들보를 빼내려 노력합니다. 자기를 모르고 남의 잘못을 지적하거나 판단할 때 즉시 반발을 당할 수 있습니다.


“네가 뭔데?”

“너나 잘해!”


남을 판단하려는 유혹이 들 때마다 되뇌어 봐야 할 경계의 말마디입니다. “남을 판단하지 마라.”에 즉시 떠오르는 말마디가 “너 자신을 알라.”입니다. 자신을 아는 ‘자기 인식(self-knowledge)’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자기를 모르기에 남을 판단합니다. 자신을 아는 것이 바로 지혜요 겸손입니다. 하여 강론 제목은 ‘너 자신을 알라.’로 정했습니다.


삶은 자기를 발견해가는, 자기를 깨달아 알아가는 겸손의 여정입니다. 하느님 탐구와 자기 탐구는 함께 갑니다. 하느님을 알아야 나를 알 수 있고 나를 알아야 하느님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느님은 물론 이웃은 나를 비춰주는 거울입니다. 하느님의 거울, 이웃의 거울에 나를 끊임없이 비춰봐야 나를 알 수 있습니다. 


얼마나 많은 이들이 자기를 잊고 바쁘게 살아가는 지요. 자기를 찾는 일이, 자기를 아는 일이 우선입니다. 자기를 찾아 알기 위해 하느님을 찾는 것입니다. 바로 이 거룩한 미사시간은 잠시 멈추고 주님의 거울에 나를 비춰보는 시간이입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이런 마음의 순수가 수도생활의 직접적 목표입니다. 모든 수행도 마음의 순수를 지향합니다. 마음의 순수가 사랑이요 지혜요 겸손입니다. 마음이 순수할 때 ‘마음의 눈’으로 하느님을 보고 ‘있는 그대로’의 나를 보고 이웃을 봅니다. 순수한 마음에서 편견없이, 선입견 없이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바로 분별의 지혜입니다.


자기를 모를 때 반복되는 죄요 악행입니다. 오늘 제1독서의 아시리아 제국에 멸망한 사마리아가 그렇습니다. 예언자들의 경고를 무시하여 주님의 계명을 지키지 않고 하느님의 은혜를 까맣게 잊고 우상을 섬긴 결과 패망입니다. 끊임없이 하느님을 기억하며 자기를 알아 주님의 계명을 지키며 지혜롭게 처신했더라면, 사마리아는 결코 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런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말마디 역시 ‘너 자신을 알라.’입니다.


진정 자신을 알아 갈 때 남을 판단하지도 단죄하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자신의 한계와 부족을 알아감으로 주님을 닮아 너그러워지고 자비로워지며 겸손해 집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눈에서 들보를 빼내 주시어 맑고 밝은 '마음의 눈'으로 ‘있는 그대로’의 주위 현실을 보게 하십니다. 살아 계신 주님을 만나고 ‘참 나’를 만나는 복된 미사시간입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65 공동체의 일치 -일치의 중심인 파스카의 예수님-2019.4.13. 사순 제5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04.13 169
1664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사랑 예찬-2019.7.29.월요일 성녀 마르타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07.29 169
1663 주님과 만남의 여정 -치유와 구원, 정화와 성화, 변모의 여정-2020.1.10. 주님 공현 대축일 후 금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1.10 169
1662 파스카 예수님과 ‘우정友情의 여정’ -주님을 증언하는 삶-2020.4.23.부활 제2주간 목요일 1 프란치스코 2020.04.23 169
1661 참된 그리스도인의 영적 삶 -옷(衣), 밥(食), 집(住)-2021.8.29.연중 제22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8.29 169
1660 찬양과 감사 -구원의 행복은 선택이요 선물이다-2021.11.10.수요일 성 대 레오 교황 학자(400-46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1.11.10 169
1659 희망의 빛, 부활의 희망, 희망의 천국 -“죽음은 새 새명의 시작입니다”-2021.11.20.연중 제33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21.11.20 169
1658 주님 부활 증인의 삶 -회개, 평화, 기쁨-2022.4.21.부활 팔일 축제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2.04.21 169
1657 영적 승리의 삶 -꿈, 사랑, 선교-2022.5.15.부활 제5주일 프란치스코 2022.05.15 169
1656 참 좋은 겸손의 덕 -“끝자리의 겸손을 사랑합시다!”-2023.10.4.토요일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1538-1584)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3.11.04 169
1655 모든 것은 다 지나간다 -파거불행(破車不行), 노인불수(老人不修)- 오늘 지금 여기를 살라2023.11.28.연중 제34주간 화요일 프란치스코 2023.11.28 169
1654 구원의 행복은 선택이자 은총이다 -회개하자, 감사하자, 믿자- “지상 천국의 삶”2024.3.10.사순 제4주일(Laetare 주일) 프란치스코 2024.03.11 169
1653 예지의 삶-2015.8.16. 연중 제20주일 프란치스코 2015.08.16 170
1652 주님과 우정友情의 관계-2016.3.17. 사순 제5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3.17 170
1651 하늘 나라 축제祝祭의 삶 -삶은 은총恩寵이자 평생 과제課題이다-2016.8.18.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16.08.18 170
1650 환대의 영성 -주님과 이웃을, 농민을 환대합시다-2019.7.21.연중 제16주일(농민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21 170
1649 예닮의 여정 -하느님 말씀의 생활화-2019.10.12.연중 제27주간 토요일 1 프란치스코 2019.10.12 170
1648 순교 영성 -희망과 기쁨-2019.12.14. 토요일 십자가의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19.12.14 170
1647 떠남의 기쁨, 만남의 기쁨 -성령의 은총-2020.5.21.부활 제6주간 목요일 프란치스코 2020.05.21 170
1646 우리 믿는 이들은 누구인가? -주님의 전사, 주님의 소작인, 주님 공동집의 수호자-2020.10.4.연중 제27주일(군인주일: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1182-1226 기념일) 1 프란치스코 2020.10.04 170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