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9.11.6.연중 제31주간 수요일                                                     로마13,8-10 루카14,25-33

 

 

 

예수님의 제자가 되는 일

-사랑은 율법의 완성- 

 

 

 

‘예수님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부활은 우리 삶의 목표요 목적이다. 우리는 죽기위하여 태어난 것이 아니라 부활하기 위하여 태어났다.’ 최근 교황님 강론 중 인상적 주제입니다. 우리 믿는 이들의 신원은 너 나 할 것 없이 예수님의 제자들이며, 예수님의 제자가 되는 일은 우리의 평생 과업이기도 합니다.

 

예수님의 제자는 동시에 예수님의 전사이자 예수님의 학인이고 예수님의 형제도 됩니다. 또 예수님은 우리의 벗이기도 합니다. 정말 스승은 친구도 될 수 있는 법입니다. 이 모두의 중심에는 사랑이 있습니다. 참으로 예수님은 우리 삶의 중심이자 의미이며 목표이자 방향임을 깨닫습니다. 

 

어제도 놀라운 자매들 여러분을 만나 고백성사를 드렸고 저는 지체없이 성녀들이라 격찬했습니다. 희망이 보이지 않는 지옥같은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주님께 희망을 두고 자신이 희망이 되어 결코 좌절함이 없이 수십년을 한결같이 천국을 살아가는 예수님의 여제자들이었습니다. 참으로 주님의 전사, 사랑의 전사, 믿음의 전사에 손색없는 분들이었습니다. 믿음의 여장군들이라 별을 달아도 몇은 달아야 할 분들이었습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것은 우리의 평생 과제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당신의 제자가 되기 위한 세가지 조건을 말씀하십니다. 복음 중에 망대와 전쟁의 이중 비유가 이채롭습니다. 망대를 세우려면 미리 경비를 계산하고 전쟁을 하려면 미리 승산을 따져야 하는 것처럼, 예수님을 따르려면 끝까지 따를 수 있는지 늘 성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평생 주님을 따라 나선 우리 삶의 여정입니다. 하루하루 날마다 항구히, 충실히 주님을 따르고 있는지 늘 성찰하면서 각오를 새로이 하자는 것입니다. 하여 우리가 늘 성찰하고 따라야 할 평생 숙제 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누구든지 나에게 오면서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 아내와 자녀, 심지어 자기 목숨까지 미워하지 않으면,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누구든지, 예외없이 적용되는 원리입니다. 말그대로 친족이나 자신을 미워하라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우선적으로 사랑하라는 것입니다. 참으로 예수님을 사랑할 때 친족들과 자신은 물론 세상 만물에 대한 집착없는 이탈의 순수한 사랑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누구든지 제 십자가를 짊어지고 내 뒤를 따라오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역시 ‘누구든지’ 예외없이 해당되는 진리입니다. 각자 고유한 운명의, 책임의 십자가를 사랑하여 지고 끝까지 주님을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교할 것도, 부러워할 것도, 부끄러워할 것도, 원망할 것도 없이 용감하게 끝까지 지고 가야할 고유의 내 십자가입니다. 

 

참으로 예수님을 사랑할 때 짊어질 수 있는 내 십자가입니다. 과연 내 십자가는 무엇인지요. 날마다 짊어지고 예수님을 잘 따르고 있는지 늘 살펴봐야 하겠습니다. 참으로 예수님을 사랑할 때 십자가는 선물이 되지만 예수님 사랑이 식어 버리면 무거운 짐이 될 수 있습니다.

 

3.“누구든지 자기 소유를 다 버리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참으로 예수님을 사랑할 때 자발적 가난이요, 소유욕의 점차적 포기입니다. 포기의 여정에 항구할 때 비로소 자유롭습니다. 참으로 무소유의 정신으로, 무욕의 사랑으로 살 수 있습니다. 참으로 예수님을 사랑할 때 날마다 평생 버리고 비우고 내려 놓고 겸손히 주님을 따를 수 있습니다. 버림의 여정, 비움의 여정, 따름의 여정에 항구할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제자직의 조건을 자발적 기쁨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예수님께 대한 한결같은 열렬한 사랑입니다. 예수님은 늘 우리 마음 안에서 타오르고 있는 사랑의 불입니다. 참으로 이런 예수님 사랑이 이웃에 대한 사랑에도 항구하고 충실할 수 있게 합니다.

 

맹목적 이기적 눈먼 사랑이 아니라 눈밝은 사랑, 생명을 주는 사랑, 자유롭게 하는 이타적 아가페 사랑입니다. 그러니 예수님 사랑과 이웃사랑은 하나됨을 깨닫습니다. 저절로 바오로 사도의 말씀에 공감하게 됩니다.

 

“남을 사랑하는 사람은 율법을 완성한 것입니다. 모든 계명은 이 한마디 곧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는 말로 요약됩니다. 사랑은 이웃에게 악을 저지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사랑은 율법의 완성입니다.”

 

참으로 예수님을 사랑할 때 이런 자발적인 자연스런 이타적 이웃 사랑의 열매들입니다. 예수님 사랑에서 시작하여 이웃사랑으로 끝날 때 사랑의 완성이자 참 아름다운 삶임을 깨닫습니다.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은총으로 우리 모두 예수님 사랑과 이웃사랑에 항구할 수 있는 힘을 주십니다. 예수님 사랑의 성체를 모심으로 우리 또한 예수님 사랑의 성체와 하나되어, 예수님의 사랑이 되어 하느님과 이웃을 한결같이 사랑하며 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올곧은 이들에게는 어둠 속에서 빛이 솟으리라. 그 빛은 너그럽고 자비로우며 의롭다네. 잘 되리라, 후하게 꾸어 주고, 자기 일을 바르게 처리하는 이!”(시편112,4-5). 아멘. 

 

 

 

  • ?
    고안젤로 2019.11.06 08:17
    사랑하는 주님, 주님 주신 말씀대로 저희 지금 가지고 있는 모든것을 언제든지 버릴수 있는 마음으로 주님만을 바라보게 하소서.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6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순교적 삶-2016.9.20. 화요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프란치스코 2016.09.20 312
1765 어떻게 예수님을 따라야 합니까? -자기를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2016.8.5. 연중 제18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6.08.05 422
1764 어떻게 예수님의 친구가 되어 살 수 있는가? -그의 삶은 메시지였다-2017.5.19. 부활 제5주간 금요일 프란치스코 2017.05.19 115
1763 어떻게 잘 사랑할 수 있을까요? -정주, 공부, 실천-2021.5.9.부활 제6주일 1 프란치스코 2021.05.09 122
1762 어떻게 좋은 땅의 사람이 될 수 있는가? -항구한 수행의 노력-2017.7.28. 연중 제16주간 금요일 2 프란치스코 2017.07.28 147
1761 어떻게 주님을 맞이할 것인가? -누가 아름다운 사람인가?-2015.12.20. 대림 제4주일 프란치스코 2015.12.20 378
1760 어떻게 주님의 길을 잘 닦을 것인가? -회개, 위로, 기쁨-2017.12.10. 대림 제2주일 프란치스코 2017.12.10 172
1759 어떻게 죽어야 하나? -귀가준비-2018.10.2.연중 제26주간 화요일 1 프란치스코 2018.10.02 140
1758 어떻게 죽어야 합니까? -마지막 유언-2017.4.14.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예식> 1 프란치스코 2017.04.14 175
1757 어떻게 참으로 살 수 있을까요? -꿈, 찬양, 기억, 사랑-2022.9.10.토요일 한가위 프란치스코 2022.09.10 219
1756 어떻게 하늘 나라를 지킬 것인가? -주님과 함께-2017.12.14. 목요일 성 요한 사제 학자(1542-1591) 기념일 프란치스코 2017.12.14 165
1755 어떻게 해야 영생을 받을 수 있나? -사랑 실천이 답이다-2019.7.14.연중 제15주일 1 프란치스코 2019.07.14 140
1754 어떻게 해야 영적전쟁에 승리할 수 있습니까? -비전, 비움, 탄력, 연대- 이사56,1.6-7 로마11,13-15.29-32 마태15,21-28 1 프란치스코 2017.08.20 145
1753 어린이 같은 사람이 됩시다 -경외fear와 섬김serve- 여호24,14-29 마태19,13-15 1 프란치스코 2019.08.17 160
1752 어린이 예찬 -하늘 나라의 삶-2023.8.19.연중 제19주간 토요일 프란치스코 2023.08.19 267
1751 어린이를 사랑하라 -“우리는 누구나 ‘하느님의 어린이’입니다“-2022.8.13.연중 제13주간 프란치스코 2022.08.13 291
1750 어린이와 같이 되라 <어린이들을 사랑하신 예수님>2024.5.25.토요일 성 베다 베네라빌리스 사제 학자(672/673-735)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5 111
1749 어린이처럼-2015.10.1. 목요일 아기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1873-1897) 축일 프란치스코 2015.10.01 739
1748 어머니를 그리며 -어머니 예찬-2019.8.15.목요일 성모 승천 대축일 1 프란치스코 2019.08.15 221
1747 어머니인 교회 -교회의 어머니 마리아-2024.5.20.월요일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프란치스코 2024.05.20 109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73 Next
/ 173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